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922년의 워싱턴 해군 군비 제한 조약 제 2장

누헤헤 2005.12.31 01:06:22
조회 781 추천 0 댓글 0


CHAPTER II 제 2장 RULES RELATING TO THE EXECUTION OF THE TREATY 조약의 실행에 관한 제 규칙 DEFINITION OF TERMS 개념 정의    PART I 제 1부 CAPITAL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THE CONTRACTING POWERS 각 조인국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주력함의 목록 In accordance with Article II, ships may be retained by each of the Contracting Powers as specified in this Part. 제 2조에 따라, 각 조인국은 이곳에 명시된 함정들을 보유할 수 있다.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the United States   Name          Tonnage      Maryland                32,600   California                 32,300   Tennessee         32,300   Idaho                 32,000   New Mexico         32,000   Mississippi         32,000   Arizona                 31,400   Pennsylvania         31,400   Oklahoma         27,500   Nevada                 27,500   New York                 27,000   Texas                 27,000   Arkansas                 26,000   Wyoming                 26,000   Florida                 21,825   Utah                 21,825   North Dakota         20,000   Delaware         20,000   Total tonnage  500,650   미합중국이 보유할 수 있는 함정들 이름                톤수 메릴랜드                32,600   캘리포니아         32,300   테네시                32,300   아이다호                32,000   뉴맥시코                 32,000   미시시피                 32,000   아리조나                 31,400   펜실배니아         31,400   오클라호마         27,500   네바다                 27,500   뉴욕                 27,000   텍사스                27,000   아칸소                 26,000   와이오밍                26,000   플로리다                21,825   유타                21,825   노스 다코타         20,000   델라웨어                20,000   총톤수                 500,650 On the completion of the two ships of the West Virginia class and the scrapping of the North Dakota and Delaware, as provided in Article II, the total tonnage to be retained by the United States will be 525,850 tons. 제 2조의 조항에 따라 웨스트버지니아 급의 두 함정이 완성되고 노스 다코타와 델라웨어가 폐기됨에 따라서, 미합중국의 보유 총톤수는 525,850 톤이 된다.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the British Empire Name                Tonnage      Royal Sovereign        25,750   Royal Oak         25,750   Revenge                 25,750   Resolution         25,750   Ramillies                 25,750   Malaya                 27,500   Valiant                 27,500   Barham                 27,500   Queen Elizabeth         27,500   Warspite                 27,500   Benbow                 25,000   Emperor of India        25,000   Iron Duke                 25,000   Marlborough         25,000   Hood                 41,200   Renown                 26,500   Repulse                 26,500   Tiger                 28,500   Thunderer         22,500   King George V         23,000   Ajax                 23,000   Centurion         23,000   Total tonnage        580,450   대영제국이 보유할 수 있는 함정들 이름                톤수      로열 소버린        25,750   로열 오크                 25,750   리벤지                 25,750   레절루션                 25,750   라밀리즈                 25,750   말라야                27,500   발리언트                27,500   바험                27,500   퀸 엘리자베스        27,500   워스파이트        27,500   벤바우                25,000   인도의 황제        25,000   아이언 듀크        25,000   말버러                 25,000   후드                41,200   리나운                26,500   리펄스                26,500   타이거                28,500   썬더러                 22,500   킹 조지 5세         23,000   에이잭스                23,000   센츄리온                 23,000   총톤수                580,450   On the completion of the two new ships to be constructed and the scrapping of the Thunderer, KingGeorgeV, Ajax and Centurion, as provided in Article II, the total tonnage to be retained by the British Empire will be 558,950 tons. 제2장의 규정에 따라 신조함 두척이 완성되고 썬더러, 킹 조지 5세, 에이잭스, 센츄리온이 폐기됨에 따라서, 대영제국의 보유 총톤수는 558,950톤이 된다.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France name                tonnage(metric tons)      Bretagne                 23,500   Lorraine                 23,500   Provence         23,500   Paris                 23,500   France                 23,500   Jean Bart                 23,500   Courbet                 23,500   Condorcet         18,890   Diderot                 18,890   Voltaire                 18,890   Total tonnage        221,170   프랑스가 보유할 수 있는 함정들 이름                톤수(메트릭 톤) 브르타뉴                 23,500   로렌                 23,500   프로방스                 23,500   파리                23,500   프랑스                23,500   장 바르                 23,500   꾸르베                 23,500   콩도르세                 18,890   디드로                18,890   볼테르                 18,890   총톤수                221,170   France may lay down new tonnage in the years 1927, 1929 and 1931, as provided in Part 3, Section II. 프랑스는 3부 2절에 규정된 대로 1927년, 1929년, 1931년에 각각 새 함정을 기공할 수 있다.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Italy Name                        Tonnage(metric tons)    Andrea Doria                 22,700   Caio Duilio                 22,700   Conte Di Cavour                22,500   Giulio Cesare                 22,500   Leonardo Da Vinci                22,500   Dante Alighieri                 19,500   Roma                         12,600   Napoli                         12,600   Vittorio Emanuele                12,600   Regina Elena                 12,600      Total tonnage                  182,800   이름                        톤수(메트릭 톤)    안드레아 도리아                22,700   카이오 듀일리오                22,700   콘테 디 카보우르                22,500   쥴리오 체자레                22,500   레오나르도 다 빈치                22,500   단테 알리기에리                19,500   로마                         12,600   나폴리                         12,600   빗토리오 에마누엘레                12,600   레지나 엘레나                 12,600      총톤수                          182,800 Italy may lay down new tonnage in the years 1927, 1929 and 1931, as provided in Part 3, Section II. 이탈리아는 3부 2절에 규정된 대로 1927년, 1929년, 1931년에 각각 새 함정을 기공할 수 있다. Ships which may be retained by Japan name                Tonnage      Mutsu                 33,800   Nagato                 33,800   Hiuga                 31,260   Ise                 31,260   Yamashiro         30,600   FuSo                 30,600   Kirishima                 27,500   Haruna                 27,500   Hiyei                 27,500   Kongo                 27,500   Total tonnage  301,320   이름                톤수      무쯔                 33,800   나가토                 33,800   휴우가                 31,260   이세                 31,260   야마시로                 30,600   후소                 30,600   키리시마                 27,500   하루나                27,500   히에이                27,500   콩고                27,500   총톤수                301,320   --------------------------------------------------------------------------------------------------------- PART 2 제 2부 RULES FOR SCRAPPING VESSELS OF WAR 전투함을 폐기하는 데 관한 규칙 The following rules shall be observed for the scrapping of vessels of war which are to be disposed of in accordance with Articles II and III. 이하의 규칙은 제 2조와 3조에 따라 처분되는 전투함을 폐기할 때 준수되어야 한다.   I. A vessel to be scrapped must be placed in such condition that it cannot be put to combatant use. 1. 폐기될 함정은 전투함으로서 사용될 수 없는 상태로 되어야 한다.   II. This result must be finally effected in any one of the following ways: 2. 이는 다음의 방법 중 하나를 통해 초래해야만 한다: (a) Permanent sinking of the vessel; (a) 함정의 영구적인 침몰; (b) Breaking the vessel up. This shall always involve the destruction or removal of all machinery, boilers and armour, and all deck, side and bottom plating; (b) 함정의 해체. 이는 항상 모든 기계류, 보일러와 장갑, 모든 갑판, 측면 및 함저의 철판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c) Converting the vessel to target use exclusively. In such case all the provisions of paragraph III of this Part, except subparagraph (6), in so far as may be necessary to enable the ship to be used as a mobile target, and except subparagraph (7), must be previously complied with. Not more than one capital ship may be retained for this purpose at one time by any of the Contracting Powers. (c) 표적함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함정을 변환한다. 그러한 경우 3항에서, 이동 표적으로 사용할 경우 부칙(6), 그리고 부칙 (7)을 제외한 모든 조항은 사전에 적용되어야 한다. 어떠한 조인국도 한 번에 한척 이상의 주력함을 이러한 목적으로 보유할 수 없다. (d) Of the capital ships which would otherwise be scrapped under the present Treaty in or after the year 1931, France and Italy may each retain two sea-going vessels for training purposes exclusively, that is, as gunnery or torpedo schools. The two vessels retained by France shall be of the Jean Bart class, and of those retained by Italy one shall be the Dante Alighieri, the other of the Giulio Cesare class. On retaining these ships for the purpose above stated, France and Italy respectively undertake to remove and destroy their conning-towers, and not to use the said ships as vessels of war. (d) 본 조약하에서 1931년 혹은 그 이후에 폐기되어야 할 함정 가운데,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두척의 항행가능한 함정을 오직 훈련함으로, 즉 포술 혹은 뇌격학교로서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프랑스가 보유할 두 함정은 장 바르 급이어야 하며, 이탈리아가 보유할 두 함정 가운데 하나는 단테 알리기에리, 나머지 하나는 쥴리오 체자레 급 가운데 한척이어야 한다. 이 함정을 상기 목적으로 보유함에 있어서,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각각 그 함정의 사령탑을 제거하고, 그 함정을 전투함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보증해야 한다.    III. 3. (a) Subject to the special exceptions contained in Article IX, when a vessel is due for scrapping, the first stage of scrapping, which consists in rendering a ship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shall be immediately undertaken. (a) 제 9조에 포함된 특수한 예외에 대하여, 함정이 폐기될 경우, 함정이 군사적으로 사용 불가능해지도록 만드는 과정인 폐기의 첫 단계는 즉시 시행되어야 한다. (b) A vessel shall be considered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when there shall have been removed and landed, or else destroyed in the ship: (b) 함정은 다음의 각 항이 제거되거나 하역되거나 함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더이상 군사적으로 사용불가능하다고 간주된다. (1) All guns and essential portions of guns, fire-control tops and revolving parts of all barbettes and turrets; (1) 모든 함포와 함포의 주요부, 사격통제소와 모든 바벳과 포탑의 회전부; (2) All machinery for working hydraulic or electric mountings; (2) 유압 및 전기 구동부의 기계류; (3) All fire-control instruments and range-finders; (3) 모든 사격통제장비와 측거의; (4) All ammunition, explosives and mines; (5) 모든 탄약, 폭발물 및 수뢰; (5) All torpedoes, war-heads and torpedo tubes; (5) 모든 어뢰, 탄두 및 어뢰발사관; (6) All wireless telegraphy installations; (6) 모든 무선 전신장치; (7) The conning-tower and all side armour, or alternatively all main propelling machinery; and (7) 조타실 및 모든 현측장갑, 또는 모든 주 추진기관; 그리고 (8) All landing and flying-off platforms and all other aviation accessories. (8) 모든 항공기 이착함 시설 및 기타 항공관계 의장.    IV. The periods in which scrapping of vessels is to be effected are as follow: 4. 함정이 폐기되는 기간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a) In the case of vessels to be scrapped under the first paragraph of Article II, the work of rendering the vessels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III of this Part, shall be completed within six months from the coming into force of the present Treaty, and the scrapping shall be finally effected within eighteen months from such coming into force. (a) 함정이 제2조 첫째 항에 의해 폐기되는 경우, 2부의 3항의 규정을 따라 이 함정을 군사적으로 사용불가능하게 만드는 작업은, 본 조약이 발효되는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폐기는 발효 시점으로부터 18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 (b) In the case of vessels to be scrapped under the second and third paragraphs of Article II, or under Article III, the work of rendering the vessel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III of this Part, shall be commenced not later than the date of completion of its successor, and shall be finished within six months from the date of such completion. The vessel shall be finally scrapp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II of this Part, within eighteen months from the date of completion of its successor. If, however, the completion of the new vessel be delayed, then the work of rendering the old vessel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III of this Part, shall be commenced within four years from the laying of the keel of the new vessel, and shall be finished within six months from the date on which such work was commenced, and the old vessel shall be finally scrapp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II of this Part, within eighteen months from the date when the work of rendering it incapable of further war-like service was commenced. (b) 함정이 제 2조의 3항 혹은 제 3조에 따라 폐기되는 경우, 2부의 3항의 규정을 따라 이 함정을 군사적으로 사용불가능하게 만드는 작업은, 그 후계함의 완성 시점보다 늦게 시작될 수 없으며, 후계함의 완성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 그 함정은 2부 2항의 규정을 따라 후계함의 완성 시점으로부터 18개월 이내에 폐기 완료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신조 함정의 완성이 지연될 경우, 구 함정을 군사적으로 불가능화 하는 작업은 신조함의 기공시점으로부터 4년 이내에 시작되어야 하고, 6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불가능화 작업이 시작된지 18개월 내에 해당 함정은 완전히 폐기되어야만 한다. -------------------------------------------------------------------------------------------------------- PART 3 제 3부 REPLACEMENT 함정의 대체 The replacement of capital ships and aircraft-carriers shall take place according to the rules in Section I and the tables in Section II of this Part. 주력함과 항공모함의 대체는 제 3부 1절의 규칙과 2절의 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Section I 제 1절 Rules for replacement 대체에 관한 규칙 (a) Capital ships and aircraft-carriers twenty years after the date of their completion may,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Article VIII and in the tables in Section II of this Part, be replaced by new construction, but within the limits prescribed in Article IV and Article VII. The keels of such new construction may,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Article VIII and in the tables in Section II of this Part, be laid down not earlier than seventeen years from the date of completion of the tonnage to be replaced, provided, however, that no capital-ship tonnage, with the exception of the ships referred to in the third paragraph of Article II, and the replacement tonnage specifically mentioned in Section II of this Part, shall be laid down until ten years from 12 November 1921. (a) 완성시점으로부터 20년이 경과한 주력함 및 항공모함은, 제 8조 및 3부의 제 2절의 표에 따로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면, 신조함을 통해 대체될 수 있으나, 제 4조 및 7조에 규정된 제한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신조함은, 제 8조 및 2절의 표에 따로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할 분량의 함정이 완성된 시점으로부터 17년이 지난 시점보다 더 일찍 기공될 수 없으나, 어떠한 주력함도, 제 2조 3항에 따른 예외 및 3부의 제 2절에서 특별히 언급된 대체분을 제외하면, 1921년 11월 12일로부터 10년 이내에는 기공될 수 없다.    (b) Each of the Contracting Powers shall communicate promptly to each of the other Contracting Powers the following information: (b) 각 조인국들은 정기적으로 다음의 정보를 다른 조인국에 대하여 전달해야 한다: (1) The names of the capital ships and aircraft-carriers to be replaced by new construction; (1) 신조함으로 대체될 주력함과 항공모함의 함명; (2) The date of governmental authorisation of replacement tonnage; (2) 대체 건조분의 정부 승인 일자; (3) The date of laying the keels of replacement tonnage; (3) 대체 건조분의 기공 일자; (4) The standard displacement in tons and metric tons of each new ship to be laid down, and the principal dimensions, namely, length at waterline, extreme beam at or below waterline, mean draft at standard displacement; (4) 기공되는 모든 신조함의 톤 및 메트릭 톤에 의한 표준 배수량, 주요 치수 즉 수선부 전장, 수선 혹은 수선 하부 최대선폭, 표준 배수량에서의 평균 흘수; (5) The date of completion of each new ship and its standard displacement in tons and metric tons, and the principal dimensions, namely, length at waterline, extreme beam at or below waterline, mean draft at standard displacement, at time of completion. (5) 각 신조함의 완성 일자와, 완성시의 톤 및 메트릭 톤에 의한 표준 배수량, 주요 치수 즉 수선부 전장, 수선 혹은 수선 하부 최대 선폭, 표준 배수량에서의 평균 흘수;    (c) In case of loss or accidental destruction of capital ships or aircraft-carriers, they may immediately be replaced by new construction, subject to the tonnage limits prescribed in Articles IV and VII and in conformity with the other provisions of the present Treaty, the regular replacement program being deemed to be advanced to that extent. (c) 주력함 및 항공모함의 손실 및 사고에 의한 파괴에 대해서, 그 함정은 즉각 제 4조와 7조 및 본 조약의 다른 규정 하에서 신조함으로서 대체될 수 있고, 통상의 대체 계획은 그 만큼 진행된 것으로 간주된다. (d) No retained capital ships or aircraft-carriers shall be reconstructed excep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means of defence against air and submarine attack, and subject to the following rules: the Contracting Powers may, for that purpose, equip existing tonnage with bulge or blister or anti-air attack deck protection, providing the increase of displacement thus effected does not exceed 3,000 tons (3,048 metric tons) displacement for each ship. No alterations in side armour, in calibre, number or general type of mounting of main armament shall be permitted except: (d) 어떠한 주력함 혹은 항공모함에 대해서도 항공 및 잠수함 공격에 대하여 다음의 규칙에 의한 것 외에는 개장을 실시할 수 없다: 조인국들은, 상기의 목적으로, 기성함을 벌지, 블리스터, 혹은 공습방어용 갑판 방어를 그로인한 배수량 증가가 3,000톤(3048 메트릭 톤)이 넘지 않게 되는 범위 하에서 설치할 수 있다. 현측 장갑, 구경, 주포 마운트의 숫자 및 일반 유형은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변경될 수 없다: (1) in the case of France and Italy, which countries within the limits allowed for bulge may increase their armour protection and the calibre of the guns now carried on their existing capital ships so as not to exceed 16 inches (406 millimetres) and; (1)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경우, 벌지 증가를 위해 허락된 만큼의 배수량 증가분을 장갑 방호 증가 혹은 주포 구경을 16인치(406밀리미터)를 넘지않는 범위 내에서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2) the British Empire shall be permitted to complete, in the case of the Renown, the alterations to armour that have already been commenced but temporarily suspended. (2) 대영제국은 리나운의 경우에 있어서, 이미 시작되었으나 잠시 중단된 장갑의 교체를 완료할 수 있도록 허락된다. Section II 제 2절 Replacement and scrapping of capital ships 주력함의 대체 및 폐기   (이하 표 생략 -_- 그려서 올릴 예정) ------------------------------------------------------------------------------------------------------- PART 4 제 4부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Treaty, the following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in the sense defined in this Part. 본 조약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이하의 표현들은 이 부분에서 정의된 의미대로 이해되도록 한다. Capital ship 주력함 A capital ship, in the case of ships hereafter built, is defined as a vessel of war, not an aircraft-carrier, whose displacement exceeds 10,000 tons (10,160 metric tons) standard displacement, or which carries a gun with a calibre exceeding 8 inches (203 millimetres). 장차 건조될 함선에 있어서 주력함이라 함은, 항공모함이 아닌 전투함으로서, 그 표준 배수량이 10,000톤(10,160메트릭 톤)을 상회하거나, 또는 구경 8인치(203밀리미터)를 상회하는 화포를 장비한 함정을 말한다.    Aircraft-carrier 항공모함 An aircraft-carrier is defined as a vessel of war with a displacement in excess of 10,000 tons (10,160 metric tons) standard displacement designed for the specific and exclusive purpose of carrying aircraft. It must be so constructed that aircraft can be launched therefrom and landed thereon, and not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carrying a more powerful armament than that allowed to it under Article IX or Article X as the case may be. 항공모함이란 표준 배수량 10,000톤(10,160메트릭 톤)을 상회하는, 항공기 탑재를 특수하고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전투함으로 정의된다. 그것은 그것으로부터 항공기가 이함할 수 있고 또 그것으로 착함할 수 있으며, 제 9조 및 10조에 허락된 것 이상의 강력한 무장을 탑재하도록 설계되고 건조되지 않은 함정이어야 한다. Standard displacement 표준 배수량 The standard displacement of a ship is the displacement of the ship complete, fully manned, engined, and equipped ready for sea, including all armament and ammunition, equipment, outfit provisions and fresh water for crew, miscellaneous stores and implements of every description that are intended to be carried in war, but without fuel or reserve feed water on board. 함선의 표준 배수량이란, 함정이 완성되고, 완전히 충원되며, 주기관이 갖춰지고, 모든 무장과 탄약, 장비, 의장 및 승무원을 위한 식수, 기타 전쟁시에 탑재되는 모든 필요한 물자와 장비의 품목이 준비되어 있으나, 연료 및 선상의 예비 식수는 제외한 상태에서의 배수량을 말한다.    The word "ton" in the present Treaty, except in the expression "metric tons", shall be understood to mean the ton of 2,240 pounds (1,016 kilos). 본 조약에 있어서 "톤"이라는 단어는, "메트릭 톤(섭씨4도 물의 1입방미터 중량)"이라는 표현에 들어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2,240파운드(1,016킬로그램)의 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Vessels now completed shall retain their present ratings of displacement tonnage in accordance with their national system of measurement. However, a Power expressing displacement in metric tons shall be conside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Treaty as owning only the equivalent displacement in tons of 2,240 pounds. 기성함은 현재 각국 단위계를 기준으로 매겨진 배수 톤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수량을 메트릭 톤으로 표시하는 국가는 본 조약의 적용에 있어서는 그 톤수에 해당하는 2,240파운드 톤 만큼의 배수량만 보유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A vessel completed hereafter shall be rated at its displacement tonnage when in the standard condition defined herein. 장차 완성될 함정은 여기에서 정의된 표준 조건 하에서 배수 톤수가 매겨져야 한다. ================================================================================ 제 3장은 내일 올릴까요? 수정 : 함정 대체 표는 테이블태그로 그리거나, 아니면 아예 이미지파일로 만들기 전에는 불가능할듯 합니다. 그래서 일단 지웁니다...나중에 다시 올리죠. (뭐, 어차피 전혀 지켜지지 않은 가이드라인이긴 해도 말이죠 -_-) ......짤방은 이 조약에서 유일하게 배수량 상한선을 넘긴채 보유가 확정된 후드. 비스마르크, 야마토 이전까지 세계최대함의 위세를 떨쳤지만, 정작 허우대에 비해서 멧집은 영......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79665 아시아는 하나로 뭉쳐야 한다 일본해병대(222.239) 11.01.10 43 0
79664 서구열강 제압한 최초의 비서구권 국가 오다노부나가(43.244) 11.01.10 70 0
79663 4.19는 혁명이라 부를 수 없다. 쇼와 덴노(43.244) 11.01.10 42 0
79662 나는 러시아를 점령한후에 이렇게 연설할것이다. 오다노부나가(43.244) 11.01.10 55 0
79661 나는 러시아를 정벌하기전에 이렇게 물을것이다 "아유위드미?!" 쇼와 덴노(43.244) 11.01.10 46 0
79660 러시아나 터키에 1차대전 참전군인 남아있을법도 한대... [2] grrrrr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112 0
79659 친구여!형제여!나의 아들들이여! [3] 오다노부나가(43.244) 11.01.10 86 0
79658 윈터스 소령님 타계 [11] 이하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415 1
79657 만약에 이토가 안죽었으면 일본의 운명이 바뀔 수 있었을까?>? [5] 근데(119.64) 11.01.10 318 0
79656 이 사진 멋있는것 같습니다 [3] 영국군(211.47) 11.01.10 272 0
79655 꾸준글 올리는 HotGoddess님 [3] 심심해갖고(211.59) 11.01.10 110 0
79654 온갖 병신들이 다있네. [7] meltyhon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316 0
79653 ★☆★☆위대한 대일본 제국의 기갑병기☆★☆★ [2] 토끼봉개새(118.218) 11.01.10 351 0
79652 히틀러의 러시아인 절멸사례 [2] (180.229) 11.01.10 471 0
79651 2차대전 다큐에관하여 (쿡티비 시청자들 필독!!) 2차대전(61.84) 11.01.10 149 0
79650 Bletchley park 가본 횽아들 있어? blet(110.9) 11.01.10 44 0
79648 저렇게 도배한거 대략 20년뒤에 보여주면 어떨까요 ㄹㄹ(119.194) 11.01.10 140 0
79647 인류가 도달할수 있었던 또다른 미래 [6] ㅇㅍㅇㅍㄴ(211.48) 11.01.10 368 0
79640 2차대전을 스타로 비유하면.. [5] 신설동폭격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399 0
79635 소련의 5대도시에서 민스크와 키예프는 다른 나라 수도아님? [3] 루루포엑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221 0
79634 일본이 점령한 식민지는 매음굴과 감옥밖에 없었다는게 사실임? [9]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232 0
79633 동부전선에 관심 많은 횽들. [1] 조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0 118 0
79628 여러분 무개념인 초등학생은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겁니다 [3] ㄹㅎㅂ(175.215) 11.01.09 126 0
79625 HOI2 하면서 이런경우 본 적 있는사람....... [9] 음.......(116.125) 11.01.09 427 0
79624 나는 네오 684부대를 창설하고싶다 하르트만(43.244) 11.01.09 56 0
79623 나는 대통령으로 즉위하면 젤먼저 식민빠들부터 척결할것이다 마르세이유(43.244) 11.01.09 29 0
79622 난 히틀러총통님을 본받아 엑기스파워를 결성할것이다 하르트만(43.244) 11.01.09 28 0
79621 이제 한 달도 채 안남았다 초이스해라 마르세이유(43.244) 11.01.09 47 0
79620 호이2 독일군 공략 질문 [18] 야호실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85 0
79619 기관총 2자루씩이나 화염방사기를 챙기고 전투에 나갈 준비합시다!! [1] 비키니섹시194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14 0
79618 나는 전설이다 마르세이유(43.244) 11.01.09 32 0
79615 나는 초인이 돼고싶다 마르세이유(43.244) 11.01.09 44 0
79611 역시 예상대로 밥레키의 얼굴은 어려웤ㅋㅋㅋㅋ [14] 엎드려포복이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454 0
79610 로버트 팩스턴의 파시즘을 읽는 중 Wise 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98 0
79609 근데 모사드 능력치는 대체 어느정도일까? [7] 사라천존(218.37) 11.01.09 321 0
79607 "독일, 1952년부터 아이히만 행방 파악" [1] (211.173) 11.01.09 146 0
79606 2대갤 관리하시는 알바님 좀 봐주세요!!!! [32] 영국군(211.47) 11.01.09 233 0
79604 더퍼시픽 3탄 1단계완성ㅋㅋㅋㅋ [6] 엎드려포복이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81 0
79599 ●● 너 그렇게 딸치니까 좋드냐 [9] Wise 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46 0
79598 영국제1공수사단은 어디서활약을했나요? [5] 토텐코프(112.156) 11.01.09 221 0
79597 학점 4.1인데 10등이 말이됩니까??????? [4] 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193 0
79596 2차대전 때 조선인들은 뭐하고 있었어? [30]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384 0
79595 얘네들 어떻게 생각해 ??? [12] ㄹㄹ(59.152) 11.01.09 257 0
79594 이거 좋은 글이다. 2차대전 이후 미일의 밀월관계라 [20]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90 0
79593 더 퍼시픽 2탄ㅋㅋㅋ [5] 엎드려포복이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64 1
79590 님들하 [4] 일본해병대(222.239) 11.01.09 55 0
79589 니가 니 근거의 헛점을 못봐서 그러나 본데 [4] Wise 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133 0
79588 클컴유일한 영웅 토텐코프(112.156) 11.01.09 101 0
79587 고정닉 팠슴돠. [1] D. 아이젠하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82 0
79584 서구열강 제압한 최초의 비서구권 국가 [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09 275 0
뉴스 방시혁도 웃었다! 의정부고 졸업사진, LA 화제의 투샷 100% 재현 디시트렌드 07.2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