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동아 남시현 기자] 우리나라 각 지역 별 경찰청 및 지방자치단체, 시설관리공단, 한국도로공사 등의 기관은 도로 교통 점검이나 실시간 현황 파악을 위해 폐쇄회로(CCTV)를 운영 및 관리합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부터는 각 CCTV를 온라인으로 송출해 누구나 직접 도로 현황을 파악할 수 있죠. 이를 통해 도로 상황은 물론 날씨나 행사 상황, 사고 여부 등등을 세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알려진 서비스지만 활용 방법을 잘 모르는 독자분들을 위해 IT하는법으로 소개해드립니다.
모든 CCTV 및 도로 상황 파악하는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센터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센터로 접속하면 실시간 도로 상황 및 CCTV 화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경찰청은 지난 2007년부터 도시 내 도로 상황 및 관련 정보를 도시교통정보센터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내비게이션으로 접하는 교통 체증이나 사고 등의 실시간 정보이 도시교통정보센터에서 오는 거죠. 도시교통정보센터는 네이버 및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 ‘도시교통정보센터’를 입력해 진입하며, 스마트폰은 물론 웹브라우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처음 접속하면 현재 접속 위치를 중심으로 도로 상황이 표시되며, 취약구간 안내나 도로위험 상황예보, 소통 정보, 돌발 정보 등의 정보가 제공됩니다. 소통 정보는 특정 정체구간에서의 차량 운행 속도를 제공하고, 돌발 정보는 지도 내 사고 발생 위치를 상세히 표기합니다.
각 화면 내 CCTV 아이콘을 클릭하고 아래 풀스크린 아이콘을 누르면 고해상도로 CCTV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지도를 확대하면 지도상에 CCTV 아이콘이 있으며, 이를 통해 도로용 CCTV에 직접 접속할 수 있습니다. 방범, 단속 카메라 등 도로 정보 이외의 CCTV 정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해당 지도에서 CCTV 아이콘을 누르면 약 30초에서 1분 이전의 화면이 제공됩니다. 이 화면에서 우측 하단의 네모 버튼(FullScreen)을 누르면 전체 화면으로 CCTV 화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화상은 단순히 화면 크기를 늘리는 게 아니라 고해상도 화상을 제공하므로 더 상세하게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필터 기능을 통해 CCTV 이외의 다양한 교통 관련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이외에도 도시교통정보센터의 필터링 기능을 통해 사고, 공사, 행사, 기상, 통제 등의 돌발 정보만 간추려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교통안전 항목을 누르면 교통시설 신호기나 보호구역 위치, 합류 도로 표시 등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도에서 녹색, 노란색,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는 도로를 누르면 정체 상황은 물론 차량의 평균 속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비게이션 대신 도로 교통 상황을 직접 확인하는데 좋습니다.
네이버, 다음 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네이버 지도에서도 CCTV 화면이 제공됩니다. 다만 도시교통정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CCTV가 모두 제공되진 않습니다 / 출처=IT동아
도로용 CCTV는 도시교통정보센터 이외에도 네이버, 다음 지도 서비스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도시교통정보센터처럼 전체 화면이 제공되지 않고 작은 화면만 제공됩니다. 도로 흐름이나 날씨, 행사 정보 등만 가볍게 확인하는 용도로 적합합니다.
네이버 지도 상에서 테마-CCTV를 누른 뒤 지도내 아이콘을 누르면 화면 상에 CCTV가 뜹니다 / 출처=IT동아
우선 네이버 지도 서비스로 진입한 뒤, 우측 상단의 메뉴 바에서 ‘테마’를 클릭합니다. 테마 메뉴에서는 교통 정보, CCTV, 자전거, 등산로 등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며 이중 CCTV 아이콘을 누릅니다. 그러면 지도 화면상에서 CCTV 아이콘이 추가되며, 이를 누르면 CCTV 화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도시교통정보센터에서 제공되는 CCTV가 모두 제공되는 건 아니므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도시교통정보센터를 이용합니다.
카카오맵, 다음 지도 상에서도 레이어-CCTV를 선택하면 지도상에서 CCTV를 볼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카카오맵, 다음 지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카카오 맵 상단에서 ‘레이어’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이때 레이어 아이콘은 사각형 두 개가 겹쳐진 표시만 돼있고 이름이 없으니 상세히 찾아야 합니다. 지도 설정에서는 교통 정보나 CCTV 이외에도 지형도, 지적편집도, 법정 경계, 행정 경계 등의 정보가 제공됩니다. 이중 CCTV를 누르면 지도상에 CCTV 아이콘이 표시되며 네이버 지도와 동일하게 실시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의 CCTV 서비스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