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행정고시 갤러리를 위한 행정고시 가이드 (1)

Mein Kampf(210.99) 2007.11.20 13:00:11
조회 68801 추천 28 댓글 19


점심시간 기다리는 중에 조금 시간이 남길래 이 황량한 행정고시 갤러리를 위해 글을 써 본다?
많은 뉴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또한 이 갤러리에도 글이 좀 올라와보기를 기대해보면서 쓰는거야. 물론 나도 할일없는 초짜지만..^^;

1. 행정고시 준비

 이 곳에 오는 뉴비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는 행시 준비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해. 그래서 이 주제부터 먼저 다뤄볼까 해. 물론 그냥 원론적이고 보편적으로 나도는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것에 불과하긴 할거야.

 A. 당신이 수능을 아직 치지 않은 고등학생 이하라면
 - 당장 디씨인사이드를 끄고 공부하러 달려가라. 고등학생 수준에서 행정고시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것은 사실상 없다고 보면 돼. 오히려 고딩이 행정고시 운운하면 엄청나게 한심해 보인다. 그냥 닥치고 내신, 수능 공부해서 일단 좋은 대학부터 가라. 그게 남는거다. 고등학교 입시 공부조차 이겨내지 못한다면 그보다 더 방대하고 어려운 고시 공부를 이겨낼 가능성은 얼마나 될런지 자문해 보기 바래.

 B. 당신이 행정고시에 뜻을 둔 수능을 친 고3이라면
 - 이 항목은 행정고시는 하고 싶은데, 이제 대학에 원서를 내는 걸 고민하는 고딩들을 위한 서술이야. 보통 고딩들의 가장 큰 착각은 [행정고등고시]가 어떤 것인지도 잘 모르면서 단순히 남들이 좋다고 하니까, 간지나니까, 높은 자리니까 그런 이유로 난 대학가서 행시할거야! 이러는데 일단 그런 고딩들은 좀 더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최소한 행정고시에 붙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하며, 합격한 또 어떤 일을 하는지, 자신만의 이미지로 그려낸 환상이 실제 행시 합격자의 진로와 얼마나 다른지 알아야 한다는 거지.

 대학 원서를 고민하는 고딩이라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겠지. 하나는 행정고시 보려면 명문대 가야 되나요? 또 하나는 행정고시 보려면 어느 과로 가야 하나요? 이 정도가 아닐까 하는데, 전자부터 답하자면 행정고시는 대학을 전혀 가리지 않아. 네 성적만 되면 방통대라도 얼마든지 행시에 합격할 수 있어. 물론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런 대학에서 행시 합격자의 상당수를 쓸어가는 게 현실이긴 해. 하지만 그 대학들을 가야지만 행시에 붙는다는 건 아니야. 앞서 A단락에서의 이야기와 비슷하게, 그런 대학에 갈 만한 애들(원래 열심히 공부했고, 또 머리도 있다고 보여지는)이 대학에 가서 또 열심히 해서 고시 공부 하니까 붙은거라고 보면 돼. 물론 끼리끼리 모여서 집단 효과나 고시 분위기 조성.. 이런 걸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건 혼자서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 이거라고 생각해. 어차피 고시 공부를 가르치는 건 신림동의 학원들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니까. (어디까지나 개인적으로) 명문대에 가면 당연히 좋고, 또 네 능력의 어느 정도의 보증수표격은 되겠지만 거기에 목 매일 필요는 없다고 봐. 물론 자기 능력을 너무 과대평가하는 것도 에러겠지만.. 대학은 가능성의 첫 단추에 불과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학과 선택을 들 수 있을텐데, 행정고시 합격자들 분포를 보면 행정학과, 경제학과에서 많이 붙는다. 단일 학과 기준으로 제일 많은 합격자가 나오는 곳은 서울대 경제학부고 그 다음이 연고대 행정학과야. 물론 행정학과가 낚시학과라는 비판도 디씨에서 예전부터 많이 존재했어. 행정 갤러리는 물론 고시 갤러리에서도 말이 많았고,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행정학과는 좀 낚시학과가 아닐까.. 생각되긴 한데, 대신 행정학과이니까 그만큼 행정고시를 해야 한다!! 이런 모티베이션은 된다고 봐. 개인적으로는 행정고시에 추천하는 학과는 경제학과야. 보통 사람들이 도전하는 행정고시 직렬은 (뒤에 더 이야기하겠지만) 일반행정, 재경, 국제통상 이런 것들인데 다들 경제학을 아주 어려워 해. 특히 가장 인기있는 재경직은 경제학의 비중이 정말 크지. 어차피 학원에서 자세히 배우게 된다 치더라도, 적어도 감각이라든가 기본기를 길러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공이 경제학과이면 좀 더 좋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해. 최소한 고시가 안되더라도 (행정고시 붙을 확률 정말 낮잖아?) 다른 시험들을 많이 준비해서 취업하기에도 좋고 말야. 그 다음에는 경영학과를 권하고 싶은데 (이제 09학번 부터는 법대가 없다지?) 경영학과는 딱히 고시 공부에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 워낙 제네럴하달까.. 그런 이유에서 한 표. 팀플이라든가 과제가 빡세긴 하지만 행시 경제학에 필요한 경제학과 과목이 전공선택으로 들을 수 있다거나, 행정학에서 나오는 잡소리(?)들과 비슷한 소리들을 전공 과목에서 종종 듣는다거나.. 혹은 공부해보니 행정고시 공부가 입맛에 안 맞는데 전문직 시험을 치고 싶다! 이런 애들을 위한 CPA 테크트리도 존재하거든. 실제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경영학과에서 행정고시 준비생들이 생각보다 제법 된다고 해.

 C. 당신이 대학교 초년생이라면

 가. 남자 군미필

 남자라면 일단 군대부터 어떻게 좀 해 봐. 군대를 먼저 갔다 올 것이냐.. 미필인 채로 고시에 올인할 것인가.. 이게 남자 고시 준비생들에겐 가장 큰 문제지. 물론 미필인 채로 붙는 게 더 좋겠지. 힘들게 사병으로 가서 고생할 일도 없고, 군 생활을 경력으로 쳐 주니 말야. 행정고시에 합격하게 되면 장교로 편입되는 법령이 있어. 덕분에 사병으로 안 가도 돼(선택하면 사병으로도 갈 수 있음). 대신 복무기간이 3년인가 그렇긴 한데, 하지만 이 기간은 모두 (연수원을 마치고 부서 배치를 받은 후 군대를 갔다면) 경력으로 인정이 되니 정말 좋은 코스지. 게다가 군대 갔다 오면 머리가 굳는다는 소리도 있으니 더 겁나지.

 하지만 고시 수험생.. 그 많은 사람들 중에 붙는 사람은 정말 소수야. 20대 후반까지 고시 공부하다가 안되서 군대 끌려가는 사람들 많아. 정말 안구에 폭풍크리 터진다. 그런 위험이 싫다면, 일찌감치 군대 갔다 와서 고시 준비하길 권해. 요즘엔 군대 안에서도 책을 좀 볼 수 있다며? 그리고 행정고시 준비할 만한 학벌을 가지고 있는 애라면 군대도 편하게 빠질 가능성이 높아. (특히나 카투사는 웬만하면 꼭 지원해보도록!) 군대 안에서 경제학이라든가.. 기본서를 좀 읽고 나오면 전역 후 고시 공부에 큰 도움이 되겠지. 고시 갤러리의 본좌로 이름 높으신 에코횽께서는 군대 안에서 몇몇 과목의 기본서를 쫙 보시고서는 전역 직후부터 계속 열공하셔서 전역 바로 다음해 행정고시 재경직에 생동차로 합격하셨다. 물론 에코 본좌횽은 아주 극단적으로 뛰어난 케이스긴 하지만.. 군대 문제는 개인의 선택이니.. 잘 생각해 봐. 군대 다녀오면 근성이 좀 늘어서, 정신차린다고 해야 하나? 정신력이 강화된다고들 하는데.. (개인차?).

 만일 공익 크리가 터졌다면 공익으로 가서 고시 공부하겠다는 애들이 있을 수도 있을텐데.. 공익도 어쨌거나 대체복무야. 공익을 놀러, 공부하러 가는 것도 아니고.. 거기 가면 널 부려먹겠다는 사람들이 수두룩 빽빽할걸? 기똥찬 빽이 있지 않은 바에야 공익하면서 공부하겠다는 데 기대 걸지 마라. 안가거나, 갔다 와서 열공하거나. 그렇게 생각하는 게 나을거야. 고시 공부란 어설프게 해선 안돼.

 나. 상술한 (가) 단락을 패스한 자들

 일단 이 분들은 축하한다는 인사부터. (가)의 경쟁자들을 제치고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가)에서 군대를 미루고 고시에 올인하겠다고 나 단락으로 온 애들은 예외이빈다. ㄳ

 그냥 닥치고 열공.. 그거 말고는 할 말이 없어. 공부방법론으로 넘어가야겠지? 아, 뭐 휴학을 언제 할 것이냐.. 고시 공부는 보통 언제부터 시작하나효? 이런 질문을 할 수도 있을텐데.. 그거야 개인차지 안그래? 요즘엔 뭐 1학년때부터 고시 공부한다는 말도 있고.. 수험 준비가 빨라진 느낌. 하지만 대학교 1학년이면 아직 인생관이나.. 자신의 진로, 자신의 적성,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거야. 좀 더 자신에 대해 성찰해 보고, 이 길을 꼭 가야겠다면 이 길을 가도록 하자. 1학년 겨울방학이나 2학년 1학기까지는 답을 내리고, 선택한 길에 후회를 남기지 않게끔 달려야겠지.

* 행정고시에 응시 가능한 나이는 만 20세가 되는 해의 시험부터 응시할 수 있다.
그러니까 198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만 2007년 행정고시에 응시할 수 있다는 거지.
나이가 너무 높아도 시험 자격이 없긴 한데.. 이건 생략. 군필 남자면 만 34세인가 까지 가능할걸.

2. 행정고시 직렬 선택

  행정고시에서 어떤 직렬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시험 과목이 다르고, 또 장래에 어떤 부서로 가서 어떤 일을 하게 될 것인가.. 어떤 직렬에 응시할 것인가는 스스로 잘 생각을 해 봐. 일단 시험 과목부터 읊어보자면, 1차는 다 똑같이 PSAT니 제끼고.. 중요한 건 2차지. 2차 시험과목은 다음과 같아.

 일반행정 :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 선택과목1개 (정책학, 정보체계론, 조사방법론 등등 중 택일)
 재경 :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재정학 + 선택과목1개 (국제경제학, 통계학 등등)
 국제통상 : 행정법 국제법 국제경제학 영어 + 선택과목1개 (경제학, 행정학, 일본어 등등)
 법무행정 : 행정법 행정학 민사소송법 민법(친상법 제외) + 선택과목1개 (상법, 국제법 등등)
 검찰사무 : 행정법 교정학 형법 형사소송법 +  선택과목1개 (민법, 노동법 등등)
 교육행정 :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교육학 + 선택과목1개 (정책학, 교육사회학 등등)
 출입국관리 : 행정법 국제법 형법 형사소송법 + 선택과목1개 (행정학, 민법 등등)
 교정 등 기타는 지면(?) 관계상 생략 ㄳ

 (더 자세히 보려면 사이버국가고시센터 http://gosi.kr 에 들어가서 시험과목 보면 돼.)
 
 참, 간혹 금융 관련 자격증 있으면 재경직에 가산점 붙나요, 워드프로세서 컴활 가산점 있나요 이런 질문을 하는 뉴비들이 있는 거 같은데, 그런 거 업ㅂ다. 그냥 시험 성적만으로 쇼부 보는거다.


....................밥 먹으러 가야겠다.
....................남은 내용은 나중에 시간 되면 마저 쓸게~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1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AD 해커스PSAT 합격예측 실시간 합격컷 확인! 운영자 25/07/19 - -
공지 ☆★☆★☆★☆★ [[공지]] 행시 갤러리 FAQ ☆★☆★☆★☆★ [40] nightfa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17 241317 60
공지 행정고시 갤러리 이용 안내 [68] 운영자 07.10.25 54348 19
1442258 행시 붙을 정도면 로스쿨 cpa 대기업 다 ㄱㄴ 행갤러(128.134) 13:49 21 0
1442257 장비에 미쳐야 "진짜" 재미를 안다 ㅇㅇ(209.97) 07.20 95 1
1442256 김치년 ㄹㄹ(118.235) 07.20 33 0
1442255 습관이란게 "무서운" 거더군 ㅇㅇ(78.141) 07.19 80 1
1442254 나이, 감정, "그리고" 억압의 문화 ㅇㅇ(45.55) 07.19 83 1
1442253 주식 강의 "시장의" 구조적 사기성 ㅇㅇ(159.203) 07.19 96 1
1442252 Born to Be "Golden" (단타의 노래) ㅇㅇ(209.97) 07.19 74 1
1442251 너는 왜 아직도 "받기만" 하며 사는가 ㅇㅇ(209.38) 07.18 70 2
1442250 지금 2차 기달리면서 조금 궁금한거 있는데요 [1] 행갤러(112.145) 07.18 94 0
1442249 랍비님 공매도 안하시는 이유는 있나요? 행갤러(211.227) 07.17 65 0
1442248 랍비님 수능 파훼법은 없나요? ㅇㅇ(112.219) 07.17 64 0
1442247 실쥐는 요새 뭐해? [1] 행갤러(211.36) 07.17 92 0
1442246 랍비야 사랑해 ㅇㅇ(39.7) 07.17 77 0
1442244 하락장이든 "상승장이든" 무조건 수익 내는 주식 매매 필승전략 ㅇㅇ(45.55) 07.17 103 2
1442242 인생이 무너질 때 "가장" 먼저 무너지는 것 ㅇㅇ(159.203) 07.16 143 3
1442241 여기는 뭔 정신병자 갤러리냐 ㅋㅋㅋㅋㅋ 행갤러(125.128) 07.16 114 0
1442240 인생이 망했을 때 "비로소" 드러나는 인간의 본질 ㅇㅇ(78.141) 07.16 149 2
1442238 변리사 1차 vs 기술고시 1차 [1] 행갤러(106.101) 07.14 225 0
1442237 소기업사장>>행정고시라는 홍팍러 ㄷㄷㄷ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3 165 0
1442236 실생활에서 종목을 찾으라는 어떤 전설적인 븅신에 대하여 ㅇㅇ(78.141) 07.13 170 1
1442235 로스쿨변호사 중에서 행시붙는사람 간혹 있냐? ㅇㅇ(222.105) 07.13 111 0
1442234 이미 정해진 길 "몸이" 먼저 알아차린 천직 ㅇㅇ(159.203) 07.12 185 2
1442233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 행갤러(117.111) 07.12 117 0
1442230 국짐당은 헌법부정하고 내란동조해서 이적단체다 행갤러(125.141) 07.10 108 1
1442229 당신이 "강의팔이"라 불리는 이유 ㅇㅇ(144.202) 07.09 230 1
1442228 고시닷컴 여름기념 종합반 60%까지 할인 어제까지했는데 ㄴㅇㅇㅇㅇㅇ(106.101) 07.09 156 0
1442226 피셋 언어논리와 "실전" 사고의 본질 ㅇㅇ(209.38) 07.07 252 2
1442223 나는 더 이상 "너희에게" 에너지를 쓰지 않는다 ㅇㅇ(78.141) 07.06 215 3
1442222 삶의 소음 속에서 "조용히" 사라지는 법 ㅇㅇ(144.202) 07.06 164 2
1442221 하.. 주식투자 했다가 학원비 날렸다. [1] 행갤러(220.93) 07.06 274 0
1442220 랍비 아저씨가 "고3이" 공부 못하면 어케 되는지 알려줄게 [3] ㅇㅇ(78.141) 07.06 419 1
1442219 고3인데 공부못하면 미래에 어케됨? [2] 행갤러(175.112) 07.05 264 0
1442217 사무관 초봉 수준 행갤러(118.235) 07.04 322 0
1442216 PSAT 7급이나 5급이나 똑같음? [1] 행갤러(106.101) 07.02 475 0
1442215 그거 답 ㅇㅇ(159.203) 07.01 228 0
1442214 이거 답 뭐냐? [1] ㅇㅇ(118.216) 07.01 376 0
1442212 내란당이 배출한 윤석열=권력을 사유화함 행갤러(125.141) 07.01 136 1
1442209 행복한 "무지(無知)에" 대하여 [1] ㅇㅇ(78.141) 06.30 272 2
1442208 비극의 "무대에서" 웃고 있는 관객들 ㅇㅇ(209.97) 06.30 172 1
1442206 유튜버 논어 "돈팔이년" 때문에 만들기 시작한 학이편 1-5 ㅇㅇ(209.97) 06.29 165 0
1442205 주거지옥 "대한민국을" 바꾸는 유일한 방법 [1] ㅇㅇ(159.203) 06.29 331 1
1442204 내란정부에서 해처먹는 놈들이 이재명포플리즘 한다고함 행갤러(125.141) 06.29 124 1
1442203 랍비가 "수능을" 앞둔 고3 빡대가리들한테 해주는 말 ㅇㅇ(209.38) 06.29 300 4
1442201 논어를 똥글이라고 "하는건" 니가 창녀라서그럼 학이편1-4 [1] ㅇㅇ(159.203) 06.28 197 0
1442199 존경의 본질과 "인간" 정신의 신성함에 대하여 ㅇㅇ(209.97) 06.28 200 1
1442198 저는 랍비님을 "존경"함 뜌우땨이뜌땨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46 1
1442197 나는 반도의 "니체로" 불리는 랍비다 [1] ㅇㅇ(198.13) 06.27 327 3
1442195 코스피 요즘 많이 올라서 랍비행님 생각나서 왔습니다 뜌우땨이뜌땨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113 1
뉴스 신지 “문원과 결혼, 아직 아냐”…신중히 생각하기로 디시트렌드 07.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