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비트박스의 역사: 단순한 기믹에서 예술 행위로의 발달

ㅇ7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1.18 14:05:58
조회 1107 추천 13 댓글 5
														

78e4897fb28a3df36ab980e64087746d04bf40f9d32e22c0826332e9cbdb85b9b8cb5f1ae97773a7180d1ae23d1af433f7


ae5837a5003576ac7eb8f68b12d21a1d9c9ee0

https://youtu.be/FC51CXj_OW0

ㄴ 원본 영상





0. 도입


1966년 9월 17일, Douglas Davis라는 이름의 아이가 바베이도스라는 작은 섬나라에서 태어납니다. 그의 가족은 곧 뉴욕의 할렘으로 이사를 하게 되고, 그는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냅니다. Douglas가 살던 거리에는 Enjoy Records라는 레코드 레이블의 상점이 있었는데, 그는 자주 그곳을 지나가며 자연스럽게 힙합에 익숙해졌습니다. 상점에서는 같은 노래들만 주야장천 흘러나왔고, 그 곡들을 외워버린 Douglas는 입으로 노래를 모방하기 시작했습니다.




1. 비트박스의 시초


그의 친구인 Barry B는 Douglas의 취미를 눈여겨보고 있었습니다. Douglas가 드럼 사운드를 흉내 내는 것을 본 Barry는 이 취미에 Human Beat box라는 이름을 붙여줍니다. 여기서 Beat box는 비트를 만드는 기계라는 뜻으로, 당시 많이 사용되던 Roland TR-808이라는 드럼머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1982년, Douglas는 공연을 다니기 시작하며 서서히 이름을 알립니다. 어릴 적에 트럼펫을 연주한 것의 영향인지, 그는 버징을 애용하곤 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Darren Robinson은 Buffy라는 예명을 사용하며 Fat Boys라는 3인조 그룹에 합류해 비트박스를 시작합니다. 누가 제일 먼저 비트박스를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가장 먼저 비트박스를 녹음한 사람은 Buffy입니다.


1984년, Douglas는 Enjoy Records에 Doug E. Fresh라는 이름으로 합류합니다. 그는 DJ Chill Will, DJ Barry Bee, 그리고 Slick Rick과 함께 The Get Fresh Crew를 결성해 활동합니다. 이들은 차례대로 ‘The Original Human Beat Box’, ‘Just Having Fun’, ‘The Show/La Di Da Di’라는 앨범을 발매하며 엄청난 성공을 거둡니다. 몇몇 곡들은 음악사에서 가장 많이 샘플링이 된 곡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당시 Douglas는 고작 만 19세였다는 점에서 그의 재능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한편 Biz Markie라는 음악가는 래퍼 Roxanne Shante와 함께 공연하러 다니며 빠르게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노래와 비트박스를 처음으로 접목시킨 사람도 Biz Markie였습니다.


정리하자면, 이 시기에는 3명의 유명한 비트박서들이 활동한 셈입니다. 클릭을 집어넣은 비트를 사용하던 Doug E. Fresh, 육성이 섞인 거친 호흡을 자주 사용하던 Buffy, 그리고 이 둘의 스타일을 섞은 Biz Markie는 각자의 위치에서 활발히 공연했습니다.


1980년 후반이 되자, 비트박스는 서서히 힙합 문화의 주류로 자리 잡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는 Ready Rock-C라는 이름의 비트박서가 당시 래퍼로 활동했던 윌 스미스와 공연하며 인지도를 높입니다. 이 시기에 활동한 또 다른 비트박서로는 Ladies Fresh 그룹에서 활동한 Queen Latifah가 있습니다. 심지어 마이클 잭슨도 비트박스를 즐기곤 했습니다.


하지만 이들로 인해 비트박스가 너무 유명해진 나머지, 수많은 사람이 비트박스를 하게 되며 점차 ‘신기함’이라는 핵심 요소가 사라져버렸고, 급속도로 잊혀갔습니다.


다음 시기로 넘어가기 이전에, 이 시기에 활동했던 몇몇 비트박서들을 짧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Bobby McFerrin은 비트박스를 응용한 보컬로 보이스 퍼포먼스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렸습니다. 그는 여러 아카펠라 그룹의 우상이 되며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 Michael Winslow는 유명한 영화 ‘폴리스 아카데미’에서 비트박스를 사용해 총소리를 흉내 내는 장면으로 화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2. 비트박스 문화의 재기


힙합 문화로서의 비트박스는 완전히 몰락했지만, 여전히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미약하게나마 그 흐름을 이어나갔습니다. 비트박스 배틀이 시작된 것도 이즈음입니다. 랩 배틀에서 파생된 비트박스 배틀은 누가 더 훌륭한 실력을 갖추고 있나 겨루는 대회가 되었고, 우승자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큰 존중을 받습니다. 물론 패자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특히 당시에는 비트박스 배틀이 꽤 진지한 문화로 받아들여진 탓에, 다른 사람의 비트를 베끼는 것이 금기시되었습니다.


당시 유명했던 두 명의 비트박서로는 Rahzel과 Kenny Muhammad가 있습니다. 우선 Kenny Muhammad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Kenny Muhammad는 비트박스의 방향을 완전히 바꿔버린 사람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이전에는 그저 랩의 부속 장르이자 힙합 문화의 일부였다면, Kenny는 ‘비트박스’를 새로운 장르 그 자체로 바꾸었습니다. 4원소 비트 중 윈드와 워터를 만든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Rahzel은 힙합 뮤지션이었지만, ‘Make The Music 2000’라는 앨범을 통해 비트박스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 앨범의 곳곳에서 비트박스를 들을 수 있으며, 마지막 트랙인 Man vs Machine에서는 Kenny Muhammad의 윈드와 워터를 피처링했습니다. Rahzel 본인의 ‘If your mother only knew’ 비트 또한 포함되어있습니다.


Rahzel은 이후 씬을 떠나지만, 그의 자리는 Scratch라는 비트박서가 채웁니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그는 보컬 스크래치로 유명했습니다. Scratch는 2003년에 은퇴하지만, 우선은 1990년대 중반으로 다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영국에서 비트박스를 하던 Lee Potter이라는 소년은 17살에 Killa Kela라는 예명으로 데뷔합니다. 그는 힙합뿐만이 아닌 드럼 앤 베이스, 일렉트로 등 여러 장르를 비트박스로 표현합니다.


이 즈음 비트박스는 다시금 문화의 주류가 되어갑니다. Jusin Timberlake, Daniel Bedingfield, Bjork 등 여러 유명한 싱어송라이터들이 자신의 앨범에 비트박스를 담았습니다.


시간이 흘러 2002년, 예명 Kid Lucky로 활동하던 Terry Lewis는 Beatboxer Entertatinment를 설립합니다. 이는 비트박스 문화상 최초의 기획사로, 앞서 언급했던 Bobby McFerrin의 아들인 Taylor mcferrin을 포함해 Doug E. Fresh, Butterscotch, D-Cross, Kaila Mullady 등의 비트박서들이 소속되었습니다. 또한 Terry Lewis는 랩과 비트박스를 동시에 한다는 의미의 단어인 ‘비트 라이밍’을 만들어내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이후 Beatrhyme Communication을 설립해 여러 대회를 개최하기도 합니다.




3.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비트박스 씬의 혁명


21세기에 접어들며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고, 비트박스를 다루는 사이트가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가장 주목할만한 사이트로는 beatboxing.de와 beatboxing.co.uk가 있습니다. 후자는 2001년에 A-Plus라는 비트박서가 개설했는데, 커뮤니티의 기능을 가진 첫 비트박스 웹사이트라는 의의가 있습니다.


2002년, 비트박서 TyTe에 의해 최초의 비트박스 영상 강좌가 업로드 됩니다. 이전에도 텍스트나 오디오 형식의 비트박스 강좌는 존재했지만, 비디오 형식의 강좌가 학습에는 훨씬 용이했습니다. 누구나 비트박스를 배울 수 있게 되자 씬이 급속도로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TyTe는 2003년까지 총 52개의 강좌를 올렸으며, 그로부터 1년 뒤에는 튜토리얼 DVD를 발매하기까지 합니다. 이후 TyTe의 웹사이트는 현재 우리가 아는 Humanbeatbox.com으로 개편됩니다.


인터넷을 통해 교류하는 전 세계의 비트박서들을 위해, A-Plus는 최초의 국제 비트박스 행사인 Human Beatbox Convention을 개최합니다.




4. 비트박스 대회의 개최


Human Beatbox Convention은 2003년 4월에 런던에서 개최되었고, 제2회 HBB Convention은 1년 뒤에 뉴욕에서 Beatboxer Entertainment의 주도로 개최됩니다.


2002년, 런던에서 King of the Jam이라는 비트박스 대회가 있었고, Mark Splinter이라는 사람이 대회를 촬영해 인터넷에 업로드했습니다. 이후 영국에서 비트박스 잼이라는 문화가 유행합니다.

이후에 개최된 영국 비트박스 대회의 대부분은 Shlomo라는 비트박서에 의해 개최됩니다. Shlomo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개막식에서 Bjork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습니다.


영국에서만 비트박스 대회가 개최된 것은 아닙니다. 최초의 지역 리그는 2002년 독일에서 있었고, 2005년에는 최초의 월드 챔피언십이 Bee Low에 의해 개최됩니다. 사실 2005년 월드 챔피언십은 Hip Hop World Challenge라는 행사의 일부였지만, 여전히 비트박스는 대회의 중심을 당당히 차지했습니다.


제1회 비트박스 배틀 월드 챔피언십의 결승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Joel Turner과 벨기에의 RoxorLoops가 맞붙었고, Joel은 세계 최초의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쥡니다. 또한, 여성 부문이 따로 개최되어 Butterscotch가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심사위원으로는 앞서 언급되었던 Scratch, Kid Lucky, Killa Kela 등이 있었습니다. 제2회 BBBWC는 2009년에 있었고, 이후부터는 3년을 주기로 개최됩니다.


이 시기에는 아시아에도 비트박스가 전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에서 2006년에 제1회 짱깨 비트박스 챔피언십이 개최되었고, 이를 기점으로 아시아 비트박스 커뮤니티가 급속도로 성장합니다. 2015년에는 홍콩, 일본, 그리고 대만의 비트박스 커뮤니티가 모여 Asia Beatbox Association을 설립한 뒤 2016년에 첫 아시아 비트박스 챔피언십을 개최합니다. 우승은 Piratheeban이 차지합니다.


다시 유럽으로 돌아가서, 2006년에 Kilian So는 Swissbeatbox를 설립하고, 2년 뒤 Pepouni가 합류합니다. Pepouni는 비트박스를 비디오 콘텐츠로 제작하는데 힘썼습니다. 그들은 여러 배틀과 잼을 주선했고, 영상으로 녹화해 SBX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합니다.


2009년, 첫 그랜드 비트박스 배틀이 스위스의 Basel에서 개최됩니다. 초창기에는 참가자의 대부분이 스위스 비트박서들이었고, 나머지도 독일에서 온 비트박서들이 많았습니다. SBX가 독일어를 사용하는 커뮤니티에서만 활동했기 때문인데, 이 문제는 2011년부터 SBX가 영어를 같이 사용하기 시작하며 자연스럽게 고쳐집니다.


이 때를 기점으로 GBB는 어엿한 국제 행사가 되었고, 전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비트박서들이 몰려듭니다. 2011년 대회에는 영국의 Hobbit, 룩셈부르크의 Slizzer, 독일의 Babeli, 캐나다의 Scott Jackson과 Krnfx, 그리고 이 대회의 우승을 차지한 Skiller이 참여했습니다.


다음 해의 GBB 챔피언은 Ball-Zee였고, 같은 해 Skiller가 제3회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합니다. 여성 부문에서는 Pe4enkata가 우승하였습니다. 참고로 여기서는 설명 없이 넘어갔지만, 제2회 월드 비트박스 챔피언은 Zede와 Bellatrix였습니다.


2013년, Pepouni는 GBB에 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와일드카드’라는 개념을 도입합니다. 또한 루프스테이션 부문이 신설됐고, GBB의 첫 루프스테이션 챔피언은 스페인의 Grison이 차지합니다. 솔로 부문에서는 싱가포르의 Dharni가 우승하였습니다. 2014년에는 7 to Smoke 배틀이 GBB에 도입되었고, 2015년에 열린 제4회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Alem과 Kaila Mullady가 우승하였습니다.


Beatbox House라는 팀이 생긴 것도 2015년입니다. 당시에는 배틀 문화가 주류였지만, 이들은 비트박스만으로 ‘음악’을 표현해보고자 했습니다. 이들은 유렵에 끌려있는 씬의 주목을 미국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했으며, 2016년부터는 미국 비트박스 챔피언십의 주최자가 되었습니다.


같은 시기에 Reeps One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일주일 동안 음성학을 가르쳤고, 이후에도 여러 대학교에서 짧은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2019년에는 노키아 벨 연구소와 협력하며 인간이 만들 수 있는 소리의 한계를 찾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We Speak Music’이라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했고, SBX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무튼, 2017년에는 제1회 World Beatbox Camp가 폴란드의 Karkow에서 지식 공유와 친목을 위해 개최되기도 하였습니다.




5. 비트박스의 오늘날


제5회 월드 챔피언십에서 Alexinho가 우승하며 현재까지 월드 챔피언 자리를 유지하고 있고, 여성 부문에서는 Kaila Mullady가, 크루 부문에서는 Berywam이, 태그팀 부문에서는 Spider Horse가, 그리고 루프스테이션 부문에서는 Saro가 각각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가져갔습니다.


정상적으로 개최된 마지막 대규모 비트박스 대회는 GBB 2019였고, 이 대회에서는 D-Low, Uniteam, Rythmind가 각각 솔로 부문, 태그팀 부문, 루프스테이션 부문에서 우승하였습니다. 이후 코로나 팬데믹이 입갤하며 오프라인 행사들은 줄줄이 취소됩니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는 여전히 활발했고, 온라인으로 개최된 GBB 2020에서 Zer0가 우승을 차지하며 화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흐름은 오늘날까지 이어집니다. 제6회 월드 챔피언십은 안타깝게도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지만, SBX가 GBB의 개최를 강행하며 오프라인 대회의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GBB 2021은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과 크루 부문으르 도입한 첫 GBB였습니다. 현재 솔로 부문 챔피언은 Colaps, 루프스테이션 부문 챔피언은 Bizkit, 태그팀 부문 챔피언은 Middle School, 태그팀 루프스테이션 부문 챔피언은 Sorry, 그리고 크루 부문 챔피언은 M.O.M입니다. 또한 7 to Smoke 챔피언 자리는 Inertia가 차지했습니다.


지금까지 비트박스 씬의 역사를 알아보았고,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보니까 가독성 왤케 ㅆㅎㅌㅊ노? 사진이라도 몇 개 넣을 걸 그랬나...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군대 예능 출연해 줬으면 싶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09/15 - -
787 공지 비트박스 갤러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6] Philipp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07 3606 30
13630 공지 비트박스 마이너 갤러리 규정 + 완장 호출글 [1] ㅇ7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1 3146 27
28509 공지 비마갤 디시콘 모음 비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13 207 0
27580 공지 글삭기준 [4] 비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7 833 13
32350 일반 하늘나래야 혹시 사과해줄수있니 ㅇㅇ(14.52) 15:01 48 6
32349 일반 갤 다시 망했노 ㅇㅇ(118.219) 14:12 40 0
32347 일반 새시도 [1] CB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8 171 4
32346 보플 멜로딕한 들숨날숨 멜로디 루틴 만들어봤음 평가좀 [3] 칠다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8 164 0
32344 일반 믿고 듣는 [14] Y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365 6
32343 영상 반응좋아서 나머지 올림 [7] Goat우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302 8
32342 일반 펀스 디지게 어려운데 뭐임?? [8/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203 0
32341 일반 님들 gbb스포 해줄게 ㅇㅇ(76.173) 09.17 191 0
32340 일반 본인 립베 탐험기 2 [3/1] ㅇㅇ(175.123) 09.17 68 0
32339 보플 본인 립베 탐험기 1 ㅇㅇ(175.123) 09.17 49 1
32338 영상 그의 근황 [2] 하늘나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254 3
32337 일반 어차피 우승은 덴 [1] ㅇㅇ(211.193) 09.17 119 0
32336 일반 리믹스의 try this ㅇㅇ(175.110) 09.17 127 3
32335 일반 AI들이 뽑은 GOAT 비트박서 [8] SH0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6 328 2
32333 보플 더워서 에어컨틀고 테크닉 ㅇㅇ(1.241) 09.16 87 1
32332 일반 한국 최고의 비트박서 이병훈 화이팅 [8] ㅇㅇ(211.252) 09.16 321 0
32330 일반 GBB solo 최종 라인업 [6] ㅇㅇ(118.235) 09.16 377 0
32329 영상 이사람 유명한 사람임?? [9] Goat우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6 397 3
32328 일반 비트박스 할줄알면 +1개국어 ㅇㅇ(222.112) 09.16 151 0
32326 일반 챗지피티가 생각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비트박서 [6] ㅇㅇ(211.234) 09.15 342 1
32325 일반 근데 Den [5] ㅇㅇ(117.111) 09.15 214 0
32324 보플 쪼개기 난사 ㅇㅇ(1.241) 09.15 70 0
32323 일반 바벨리 목틱 대체 어떻게 해야지 저렇게 남 ? [2] ㅇㅇ(223.38) 09.15 122 0
32322 일반 도파민 따라해봄+피드백좀 [4] 포화항(58.225) 09.15 138 0
32321 일반 비트박스 단계 측정이랑 피드백좀 [4] 포화항(58.225) 09.15 121 0
32320 일반 립롤 성공임? [2] 포화항(58.225) 09.15 81 0
32319 일반 임프루버 gbb23 2라 도입부 루틴 원본 있나여 [2] ㅇㅇ(183.103) 09.15 153 0
32318 일반 기계음 세기 조절 어떻게 함?? [2] ㅇㅇ(118.235) 09.15 91 0
32317 보플 . ㅇㅇ(14.52) 09.15 49 0
32316 일반 기계음 연습하려고 하는데 [2] ㅇㅇ(211.114) 09.15 79 0
32315 일반 뭔가씬이갑자기확조용해졌네 [4] ㅇㅇ(118.235) 09.15 287 0
32314 보플 루틴이라는거 만들어서 녹음해봤음 봐주셈 [5] 칠다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174 6
32313 일반 이것도 케노젠임 ? [1] ㅇㅇ(1.241) 09.15 85 0
32312 일반 팝잇 소리 내기 [2] SH0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90 0
32311 일반 케노젠은 마시는 기술임? [6/1] SH0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134 0
32310 일반 비트박스레벨 측정부탁함 [4/1] ㅇㅇ(14.52) 09.14 172 0
32309 일반 내가 생각했을때 비트박스레벨 [6] ㅇㅇ(1.241) 09.14 313 5
32308 일반 비트박스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이제 기술 습득보다 창작이 어렵다 ㅇㅇ(122.45) 09.14 171 5
32307 일반 아니 들숨으로 멜로디 만드는거 ㅈㄴ 어렵네 애초에 들숨이 맞는건가 [1] 분탕왕124.6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153 0
32306 보플 ㅇㅇ(14.52) 09.14 50 0
32305 일반 인생이 힘들더라도 CB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162 4
32303 피드백 케노젠 맞을까요? [6/2] ㅇㅇ(14.33) 09.14 155 0
32302 보플 ㅇㅇ(1.241) 09.13 55 0
32300 일반 ㅇㅇ(175.192) 09.13 61 1
32299 일반 내가 아직도 듣는거 ㅇㅇ(114.129) 09.13 189 0
32298 일반 도파민 기계음 [1] ㅇㅇ(118.235) 09.13 175 0
32297 일반 싱글벙글 3박자 디스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3 184 7
32296 일반 싱글벙글 미드템포 디스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09 5
32293 일반 싱글벙글 하우스 [4/1] 디스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331 12
32292 보플 초스피드 급한 비트박스 ㅇㅇ(1.241) 09.12 136 2
뉴스 수원문화재단, 푸른지대창작샘터 5기 시민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디시트렌드 09.1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