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아이폰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아이폰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미국의 탈출 불가능한 교도소 수인갤러리
- 어제 한강 일몰 노모크롬
- 교회의 어머니.jpg 바질뿌리
- "불안증" 배우 페드로 파스칼을 사랑하는 여성 셀럽들 Hbtt
- "국민 누구나 소송 가능"‥윤석열 상대 추가 소송 줄예고 고닉팠
- 스리랑카 외노자 괴롭힘 포스팅에 달린 틱톡 댓글들 ㅇㅇ
- 간단하게 바쇼 후기 용가리치킨
- 그 찬란한 세계 (18장) ㅋㄹㄹㅇㅅ
- 2025년 현재 전세계 왕위 계승자 싱글벙글참치캔
- 남자들 힘든 일 얕보다가 참교육 당한 아줌마.jpg ㅇㅇ
- 트럼프, 캄보디아·태국 7만원
- 우려가 현실로...여름 복합재난 현실화 마스널
- 헐 옛날 만원은 이렇게 생겼대요 묘냥이
- 겐카이 원전 사고발생 닉네임정하기귀
- 한가인한테 물어본 100억 받고 얼굴 랜덤 돌리기.jpg ㅇㅇ
나사가 촬영한 목성의 극지방.jpg
NASA/JPL-Caltech/SwRI/MSSS/Gerald Eichstädt /Seán Doran(목성 상공 16,535km)주노 탐사선이 보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제 연구팀이 목성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총 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목성의 대기와 내부 구조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https://www.nasa.gov/missions/juno/nasas-juno-finds-jupiters-winds-penetrate-in-cylindrical-layers/ NASA’s Juno Finds Jupiter’s Winds Penetrate in Cylindrical Layers - NASAThe finding offers deeper insights into the long-debated internal structure of the gas giant.www.nasa.govhttps://science.nasa.gov/mission/juno/ Juno - NASA ScienceNASA's Juno spacecraft has explored Jupiter, its moons, and rings since 2016, gathering breakthrough science and breathtaking imagery.science.nasa.govhttps://www.jpl.nasa.gov/news/shallow-lightning-and-mushballs-reveal-ammonia-to-nasas-juno-scientists/1.대기 흐름은 깊이 파고든다목성의 대기 바람은 단순히 표면에 머무르지 않는다. 자전축을 따라 원통형으로 약 3,000km 깊이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흐름이 존재한다.2.목성의 중심은 흐릿하다목성 내부엔 단단한 핵이 아닌, 물질이 퍼져 있는 ‘희미한 핵’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전체 질량의 최대 30%에 이를 정도로 거대한 구조다.3.목성은 진동한다주노의 데이터는 목성 내부에서 일어나는 규칙적인 진동을 포착했다. 이 진동은 행성 전체에 파동을 일으키며 내부 구조를 드러내는 실마리가 된다.4.폭풍은 우박을 만든다강력한 폭풍 속에서 암모니아와 물이 결합해 ‘머시볼’이라 불리는 혼합 우박이 만들어진다. 이 우박은 깊은 대기로 떨어지며 목성 대기의 화학 구성을 바꿔 놓는다.목성의 북극와 남극NASA / JPL-Caltech / SwRI / ASI / INAF / JIRAM2018년 3월 첫째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한 이 사진은 태양처럼 보이지만, 사실 목성의 북극이다. NASA 주노 탐사선의 적외선 오로라 탐색장치(JIRAM)가 촬영한 것으로, 중앙의 대형 소용돌이와 이를 둘러싼 8개의 소용돌이가 보인다.밝은 부분은 구름이 얇아 복사열이 낮고어두운 부분은 구름이 두꺼워 온도가 높다. 목성의 강한 자전에도 이 소용돌이들이 하나로 합쳐지지 않고 따로 유지되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NASA / JPL-Caltech / SwRI / ASI / INAF / JIRAM (북극)NASA / JPL-Caltech / SwRI / ASI / INAF / JIRAM (남극)JIRAM 장비가 촬영한 목성의 북극(위)과 남극(아래) 적외선 이미지에는, 각각 9개와 6개의 거대한 소용돌이가 규칙적으로 모여 회전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이 소용돌이들은 지름 4,000~7,000km에 이르며지구 지름의 약 30~60%에 해당한다. 벌집처럼 정렬된 이 구조는 색을 반전시켜 형태를 더 뚜렷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같은 가스형 행성인 토성도 극지방에 소용돌이가 있지만토성은 하나로 합쳐진 반면목성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나뉘어 규칙적으로 유지되고 있다.카사니시가 촬영한 토성의 극지방NASA/JPL-Caltech/SwRI/MSSS/Betsy Asher Hall/Gervasio Robles목성의 극지방은 지구 반지름만한 태풍들이서로 따로 움직이는걸 알수있다https://youtu.be/hF0UjhPSS3A?si=VvXI43uRNNoJcUw5 NASA's Juno Spacecraft Reveals the Depth of Jupiter's Colored BandsFor hundreds of years, this gaseous giant planet appeared shrouded in colorful bands of clouds extending from dusk to dawn, referred to as zones and belts. ...youtu.be주노 탐사선은 목성 대기 내 동서 방향 제트기류가 약 3,000km 깊이까지 뻗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중력장 측정의 높은 정확도로 밝혀진 중요한 결과다.이 깊이 부근에서는 수소와 헬륨이 고체처럼 단단하게 뭉쳐 회전하는 혼합 유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목성은 기존의 기체형 행성과 달리내부에 고체와 유사한 유체층이 있어 독특한 자전 메커니즘을 가진다는 점이 확인되었다.또한, 도플러 효과를 활용한 중력장 연구에서 목성 표면 중력이 남북극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NASA/JPL-Caltech/SwRI/MSSS/ Roman Tkachenko(목성의 대기,27/03/17)NASA/JPL-Caltech/SwRI/MSSS (94,500km, 27/08/16)NASA/JPL-Caltech/SwRI/MSSS/Alex Mai - (27/08/16)NASA/JPL-Caltech/SwRI/ASI/INAF/JIRAM (남부 오로라의 적외선 촬영, 27/08/16)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우주선자랑) 우주배박이의 밀리라 컨셉 모선 (스압)
이번에 밀리라를 깔면서 기반 시설 다 때려박은 모선(Mother ship) 느낌으로 배를 만들고 싶었다밀리라는 표지부터 천사 컨셉까지 뭔가 퓨어한 화이트 느낌이라전체적으로 하얀색 느낌의 함선을 만들어보려고 함전체적인 모양은 직선, 직각미가 있는 함선 보다는 아름다운 곡선의 유선형 함선이 어울릴것 같다는 최악의 판단을 했다네모와 네모를 잇는 림월드라는 게임에서그래서 나온 1차 모양개같이 망함비행기도 우주선도 아닌 무언가가 완성되었다이대로는 자랑글은 커녕 새 지구를 파야할거 같아서 마지막 시도로 중앙 부분만 남기고 다 뜯어고쳤다난해하게 만들지 말고 남이 봐도 납득할수 있는 디자인으로 만들려고 노력했음그렇게 완성된 우주선중앙부를 중심으로 최대한 안정감있게 만들었음특징적인 부분만 확대하면제일 공들여 만든 중심부밀리라 모드의 가장 쓸데없으면서 특징적인 건물이라 가운데에 박았다태양열 때문에 지붕이 없는 구조라 좌우, 위아래로 여길 지나가면 실내 답답함 패널티를 피할수 있음그리고 외부 판정이라 풍등 이벤트도 여기서 할수있음그리고 포집탑 아래에 태양 용광로를 중앙에 최대한 가까이 붙였는데태양 단조강 제련을 하면 플레이어 무드가 + 됨승무원 거주 구역은 어쩔수없이 막사로 만들었다대신 휴게 공간을 중앙에 만들어서 잠자고 나오자마자 신나함막사라도 우주인 이데있으면 + 무드가 되긴 하더라2번째로 신경 쓴 도킹베이 (선.착장이 왜 금지단어)임무로 오는 왕복선 ㅈ대로 착륙할때마다 스트레스 받았는데중앙에 꽂히게끔 만들었다 이게 쎅스지마지막으로 이륙 움짤 남기면서 마무리할게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이제는?
아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