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현직검사가 말하는 수사 제대로 받는 법

ACE 2006.09.25 18:37:56
조회 1453 추천 0 댓글 4




“피의자가 됐을때 차라리 아무 것도 하지 말라” [월요기획] 현직검사가 말하는 수사 제대로 받는 법 갑자기 수사기관에 체포되거나 소환 통보를 받으면 누구나 당황하기 마련이다. 이럴 땐 법에 보장된 피의자의 권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면 큰 도움이 된다. <한겨레>는 억울한 처벌을 피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현직 검사의 조언을 매주 월요일 연재한다. 건강한 사회에서는 제대로 형벌을 가하는 것 못지않게 법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국민도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필자인 금태섭(39) 검사는 사시 34회로 현재 서울중앙지검 형사부에서 일하고 있다. 편집자주 <기고 연재 순서>  1-(1) ‘수사받는 법’ 연재를 시작하는 이유 (2) 피의자로서 수사를 받을 때의 대처방안(개관) 2. 조사받을 때의 대처방안① 3. 조사받을 때의 대처방안② 4. 조사받을 때의 대처방안③ 5. 소환 통보를 받거나 체포되었을 때 대처방안 6. 구속되었을 때의 대처방안 7. 압수수색을 당했을 때의 대처방안 8. 범죄 피해자의 권리 9. 참고인의 권리 10. 마무리 1-(1) ‘수사받는 법’ 연재를 시작하는 이유 처음 동료 검사들에게 수사를 받는 법에 관한 글을 쓰겠다고 말했을 때의 반응을 잊을 수가 없다. 이 자가 미쳤나하는 눈빛으로 한참을 바라보다가 그런 걸 다 가르쳐주면 앞으로 수사를 어떻게 하려고 하느냐는 말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한 친한 검사로부터는 반농담조로 “조직에서 추방당하고 싶냐?”라는 말까지 들었다. 그러나 수사를 둘러싼 환경은 너무나 변했다. 변호사를 동반하지 않은 피의자를 상대로 밤새도록 똑같은 질문을 해서 자백을 받는 시대는 지났다. 교통사고를 가장해서 피의자의 집 대문을 열게 한 것을 무용담으로 자랑하는 것도 그만두어야 한다. 검찰이 그런 방식으로 수사를 해서도 안 되고 여론의 지탄을 받는 범죄라고 하여 무슨 수를 써서라도 진상을 밝히라는 식의 시대착오적인 언론보도도 이제는 접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수사를 포기하고 범죄를 방치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수사기관과 피의자, 피해자 또는 참고인등 형사절차의 참여자들이 공정한 게임(fair game)을 통하여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데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취지이다. 그리고 그러한 체계를 갖추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수사기관에 종사하는 사람이 피의자의 권리를 정확히 알려주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피의자들은 법에 규정된 정당한 권리를 잘 모르거나 또는 잘 알면서도 혹시나 그런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담당 판사나 검사, 경찰관에게 나쁜 인상을 주지 않을까 걱정해서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진술거부권을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 수사과정에서 진술을 거부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금까지 수사기관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해서 증거를 수집하고 사건을 해결해 왔다. 그러나 더 이상 이런 임기응변적인 수사를 계속할 수는 없다. 먼저 사건 관계인들이 법률에 따른 권리를 잘 알고 두려움 없이 행사한다면 그러한 상황을 전제로 수사기관도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수사방법을 고안해내게 될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의 개정을 통해서 실체적 진실을 발견할 수 있는 무기를 달라는 요청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범죄자가 법망을 빠져나가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쓴 것이 아니다. 계좌추적을 피하는 법, 완벽하게 증거를 인멸하는 법, 시시각각 좁혀져 오는 체포를 피하는 방법과 같은 것은 여기에 소개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수사기관이 사용하는 흥미진진한(!) 수사기법이 등장하지도 않는다. 단지 현행법상 피의자 또는 사건 관계인들에게 인정되는 권리의 행사방법을 상세히 설명해주고 이러한 권리를 제대로 행사하라고 권유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수사기관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 피의자의 권리를 설명하는 글을 쓴 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주위의 여러 가지 상당한 근거 있는 염려에도 불구하고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이제는 우리의 형사절차도 보다 선진적이고 체계적인 것이 되어야 하고 불가피하게 수사를 받게 되는 국민들도 과학적이고 투명한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약자의 입장에 있을 수밖에 없는 피의자에게 알아서 권리를 행사해 보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수사에 있어서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먼저 다가가서 설명을 해주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순서에 맞는 것이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이 우리의 수사 관행을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것이 되게 하고 품격 있고 공정한 수사기법을 정착시키는데 일조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2) 피의자로서 수사를 받을 때의 대처방안(개관) 수사기관에 입건되어 피의자가 된 때의 곤혹스러움은 경험자가 아니면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아무런 죄가 없는 사람도 최종적으로 무혐의 처분을 받기까지 엄청난 스트레스를 겪는다. 심지어 오랫동안 판사, 검사, 변호사로 활동하던 법률가나 수사가 직업인 경찰관도 피의자가 되면 불안에 떤다. 그리고 불안과 초조에 시달리다 보면 누구나 터무니없는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피의자 약자 신세 유리한 주장 하려 하다보면 자칫 함정에 빠진다 대신 변호사에게 맡겨라 피의자가 수사에 대처하기 힘들어하고 실수를 저지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수동적으로 수사를 받는 피의자는 약자의 처지에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민주적인 사법제도를 갖춘 나라에서도 피의자와 수사기관이 실질적으로 동등한 위치에 있다는 견해는 찾아보기 어렵다. 약자인 피의자가 반드시 지켜야할 행동지침이 두 가지 있다. 첫째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둘째는 변호인에게 모든 것을 맡기라는 것이다.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말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억울함을 밝혀야 하지 않겠는가. 설사 죄를 지은 것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조금이라도 유리한 점을 찾아내서 수사에 대응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는 순간 당신은 이미 파멸로 이끄는 길에 한 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수사에는 밀행성의 원칙이 있어서 진행 상황을 비밀로 하게 되어 있다. 공개가 원칙인 재판과는 달리 수사를 받는 피의자는 충분한 정보도 없이 어둠 속에서 헤매야 하는 것이다.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섣불리 행동하면 상처를 입는다. 가만히 있으면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현명한 태도다. 더구나 수사기관에는 피의자에게 유리한 사실까지 찾아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어떤 검사도 무고한 피의자를 기소했다가 무죄를 받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다리고 또 기다려라. 스스로 만든 함정에 빠지는 것만은 피하라. 상황을 파악한 이후에도 수사에 대응할 충분한 시간과 기회가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원칙은 변호인에게 모든 것을 맡기라는 것이다. 검사나 경찰관은 수사에 있어서 프로라고 할 수 있다. 아마추어가 프로와 싸워서 이기려는 것은 요행을 바라는 것에 불과하다. 사람들은 병에 걸렸을 때는 의사를 찾아가면서도 수사를 받을 때는 스스로 무언가 해보려고 한다. 완전히 잘못된 판단이다. 의사도 아플 때면 다른 의사를 찾아간다. 자신의 운명이 걸린 승부에서 냉정을 유지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변호인에게 사건을 의뢰하는 데는 금전적인 부담이 따른다. 그러나 직업적인 범죄인이 아닌 평범한 사람이 수사를 받는 것은 일생에 몇 번 없는 일이다. 중병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야 한다.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아낌없이 투자하여 훌륭한 변호인을 구해야 한다. 도저히 그럴 수 없는 경우에도 국선 변호인 제도를 이용하는 등 다른 방법이 있다. 변호인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수사란 다른 사람이 과거에 저지른 행동을 밝혀내는 것이다. 신이 아닌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협조 없이 범죄를 완벽하게 재구성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검사나 경찰관은 피의자로부터 어떤 반응이라도 끌어내기 위해서 온갖 시도를 한다. 여기에 반응하는 것은 결코 현명한 일이 아니다. 어떤 문명국에서도 피의자에게 수사에 협조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 수사기관의 행동에 섣불리 대응하지 않고 변호인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피의자의 권리이며 이러한 정당한 권리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현명하게 수사를 받는 제1의 원칙이다. 서울중앙지검 금태섭 검사.   기사등록 : 2006-09-10 오후 06:45:16  기사수정 : 2006-09-17 오후 01:52:53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55735.html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7317 판례가 진리야? 솔로몬의 선택보면 [10] 275 06.09.27 480 0
7316 질문하나할게요 ; [1] 김형석 06.09.27 39 0
7315 우리나라가 앞으로 채택해야할 사회경제체제는 무엇일까? [1] 세줄요약 06.09.27 86 0
7314 형들 조언좀 교통사고건이야 [2] 축구왕 06.09.27 73 0
7313 경찰서에서 오라고 전화가 왔어요..ㅠ_ㅠ [5] ㅠ_ㅠ 06.09.27 322 0
7312 로비 안통하는 법정 꿈꾸는 전직 판사의 참회록 [1] judge 06.09.27 320 0
7311 횽들 사법시험 준비하려면 무조건 신림동으로 가야되? [2] ㅇㄹㅇㄹㅇ 06.09.27 366 0
7310 저번주 토요일 제가 겪은 일입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2] 알바 06.09.27 111 0
7309 이런경우 신고할수있는방법있나요?? 2 [3] ㅎㅎ 06.09.27 129 0
7305 횽들아 감나무 판례말인데... [5] 감나무 06.09.26 325 0
7304 법갤러들이 보기에 시립대 법대어때? [5] ㅇㅇ 06.09.26 354 0
7300 저작권법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ㅁㄴㄴㅇㅁ 06.09.26 78 0
7299 비법대생중에 사시공부하는 애들 횽이 좀 거칠게 충고한마디할게. [2] 뢔놀 06.09.26 487 0
7298 우리과에서 사시 공부하는 횽 있는데 [2] 약대생 06.09.26 328 0
7295 대학별 사법 행정 외무 기술 고시 합격자수 [5] 06.09.26 1289 0
7293 법조갈등 4파전을 관전하는 법 [2] l,l 06.09.26 228 0
7292 공판중심주의 기사와 관련하여 질문... [3] ㅁㄴㅇㅁㄴㅇ 06.09.26 225 0
7291 앞으로 로스쿨제도 어떻게 될까? [3] 나의투쟁 06.09.26 347 0
7290 횽들..이러면 어떤 처벌 받는지 좀 알려줘 .. 너무 분해서 그래 .. [2] ㅅㅅ 06.09.26 141 0
7289 고시공부하는데 돈많이 필요해?ㅠㅠ [2] ㅇㅇ 06.09.25 374 0
7288 [설문] 고시공부하시면서 드는 비용은? [3] ㅇㅇ 06.09.25 374 0
7285 흐미.. 뭔 강의가 이렇게 많아.. [4] 06.09.25 227 0
7284 인생을걸고 공부하는 고시생분들... [3] dd 06.09.25 410 0
7283 리포트를 써야하는데요 [4] ㅇㄹㅇㄹ 06.09.25 149 0
7281 복권 발행처의 오류로 10억 1등 당첨금 10명 나왔다는데 [3] ㅇㅇ 06.09.25 147 0
7280 노무사란 직업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6] 06.09.25 589 0
7279 법전가져가서 써볼까? [4] ㅇㅇ 06.09.25 205 0
7278 형들 좀 싸가지없는질문이긴한데 상담좀해줘...... [4] ㅅㅅㅁㅎ 06.09.25 184 0
현직검사가 말하는 수사 제대로 받는 법 [4] ACE 06.09.25 1453 0
7275 횽들 바다이야기에 관해서 좀 아려줘 JBDBD 06.09.25 30 0
7274 대검찰청 사무국장 이면 [7] 막사 06.09.25 1048 0
7273 이거 아는 변호사가 없데...ㅡㅡ^ [13] 답답 06.09.25 508 0
7272 제 커리큘럼좀 봐주세요......부탁드립니다!! 사법고시!! [8] 고시생 06.09.25 476 0
7271 새로운 주민등록법 말이야 횽들 잘봐봐. 내가 틀린건지. ㅇㅇ 06.09.25 112 0
7270 대란민국 헌법 제 13조 국민의 자유을 위해 [1] ㅎㄱㄷㄱㄷㄱ 06.09.25 77 0
7269 도와주십시요. 저한텐 중요합니다.. 재산가압류에 대해.. 돼지 06.09.25 228 0
7268 법갤 횽들 증여세에 대해서 좀 물어볼게. [4] ㅇㅇㅇ 06.09.25 99 0
7265 불상자에 대한 사기(진정)사건으로 출석 요구가 날라왔는데요... [3] ㅇㅇ 06.09.24 451 0
7264 이런경우 신고할수있는방법있나요?? [3] ㅎㅎ 06.09.24 90 0
7263 밑에 초딩이 핸드폰 훔쳐간거 말인데 [4] 아나 06.09.24 151 0
7262 저 비법대인데 사시공부하고싶습니다... [7] 123 06.09.24 611 0
7261 (급질)미래사회에 나타날수 있는 법적 쟁점 [4] 신라가시내 06.09.24 128 0
7260 법학과 학생이었는데, 너무 불안합니다.. [9] 베사메무쵸 06.09.24 548 0
7258 씨발 법과사회 [9] 06.09.24 371 0
7257 사람 고발하려고하는데 ㅅㅇ 06.09.24 60 0
7255 핸드폰을 어떤 초딩새키가 훔쳐갔는데 [3] 아나 06.09.24 145 0
7254 존내 친절한 법갤 형들 주민법 관련 질문 있어.. [2] 사탕자판기 06.09.24 100 0
7253 명예훼손죄가 성립할려면 무조건 증인이 있어야 하나요? [1] 킹콩 06.09.24 511 0
7248 횽들 외국인근로법(?)에 관한 고민인데... 도와줘..! [5] 마나 06.09.24 101 0
7247 미결사건에 대해서요.. [1] 06.09.24 4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