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먼트뉴스 박민우 기자] 본격적인 7월, 찜통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체력 저하와 함께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뜨거운 햇볕 아래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일사병, 열사병 등 온열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을 미리 알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갑작스러운 두통이나 현기증을 무시하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폭염 속에서 발생하기 쉬운 온열질환의 증상과 대처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일사병: '더위 먹었다'는 느낌이 들 때
여름철 강한 햇볕 아래서 활동하다 보면 땀이 비 오듯 쏟아지고, 갑자기 기운이 쭉 빠지는 느낌이 들 수 있다. 의식은 멀쩡하지만 몸이 축 늘어지고 두통, 어지럼증, 오한, 복통 같은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일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체온은 37~40도 사이로 오르고, 심박동이 빨라지지만 중추신경계에는 큰 이상이 없는 상태이다. 흔히 말하는 '더위 먹은 상태'가 바로 이 경우이다.
열사병: 생명까지 위협하는 '응급상황'
체온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나타나는 것이 열사병이다. 갑자기 의식을 잃거나, 심한 경우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이때 몸은 열을 식히지 못해 땀이 멈추고,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진다. 체온은 보통 40도 이상으로 급상승하며, 두통이나 오한이 심해지고 호흡과 맥박도 점점 약해진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겨 선풍기나 찬물 등으로 체온을 떨어뜨려야 한다. 의식이 없을 때는 물을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온열질환 증상 및 대처법
열실신: 더운 환경에서 체온이 상승하면 체내 열을 식히기 위해 피부 쪽으로 혈류가 몰린다.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이 일시적으로 줄어들면서 발생한다. 주로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어지럽거나 정신을 잃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그늘진 곳에 눕히고,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혈류를 안정시키는 것이 좋다.
열경련: 과도한 땀 배출로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줄어들면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격렬한 운동이나 육체노동을 할 경우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에 통증을 동반한 경련이 자주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멈추고, 시원한 곳에서 수분을 보충하며 휴식을 취해야 한다. 증상이 가라앉더라도 곧바로 움직이지 말고, 경련 부위를 부드럽게 풀어주며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열발진(땀띠): 열발진은 흔히 '열땀띠'로 불리며, 땀구멍이 막혀 땀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피부에 작은 붉은 발진이나 물집이 생기며, 주로 목이나 가슴, 사타구니, 팔·다리 안쪽 등 땀이 많이 차는 부위에 나타나기 쉽다. 증상이 생기면 해당 부위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땀띠용 파우더나 연고를 발라 증상을 완화한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 속에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필수이다. 실외 활동 시에는 햇볕을 피하고, 가벼운 옷차림으로 체온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하고, 증상이 심해지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