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생성 AI 길라잡이] 생성형AI의 양면성 '딥페이크', 왜 문제인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04 18:13:32
조회 422 추천 0 댓글 0
※생성 인공지능이 세계를 뜨겁게 달굽니다. 사람만큼, 더러는 사람보다 더 그림을 잘 그리고 글을 잘 쓰는 생성 인공지능. 생성 인공지능을 설치하고 활용하는 방법과 최신 소식을 매주 전합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지난 9월 26일, 우리 국회가 딥페이크 성착취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성폭력범죄처벌특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성폭력처벌법 제14조의 2에는 허위 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 또는 시청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몇 년 새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며 딥페이크 기술에 대한 완성도와 성능도 크게 진보했고, 이를 범죄에 악용하는 집단이 늘어난데 따른 조치입니다.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아이작 뉴턴의 얼굴을 다른 사람의 얼굴로 교체한 사례 / 출처=lex.dk



이런 움직임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닙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딥페이크 책임 법안(DEEPFAKES Accountability Act4)을 발의해 딥페이크 기술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에게 법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고, 딥페이크 신용사기 방지법안(Preventing Deep Fake Scams Act)으로 금융 분야 기업 및 기관이 딥페이크에 대응하는 조직을 구성하고 대응에 나서도록 했습니다.

유럽연합은 디지털 서비스 법 개정을 통해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 및 검색 엔진이 조작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가 실존과 유사하게 보이는 항목에 대해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직접적으로 딥페이크를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 대형 검색엔진 및 서비스 기업이 딥페이크를 알아서 감지하고 차단하거나 표시하도록 한 셈이죠.

그렇다면 왜 전 세계적으로 딥페이크에 대한 제재에 들어가는 것일까요?

딥페이크, 첫 시작은 2017년 온라인 커뮤니티


딥페이크(deepfake)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합성어로, 생성형AI 기술의 한 갈래인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사진이나 영상에 다른 데이터를 합성해 새로운 영상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생성형 적대 신경망 기술은 실제와 유사한 데이터를 만드는 생성자, 그리고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자 입장의 신경망 두 개를 경쟁시켜, 생성자가 판별자를 속일 정도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초기에는 GPU 성능의 한계로 결과물도 형편없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용 GPU 성능도 크게 발전하며 딥페이크의 품질도 일진보 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X(전 트위터)에 올린 카멀라 해리스 관련 딥페이크 영상, 음성 딥페이크지만 사실과 교묘하게 섞어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졌다 / 출처=X



사실 오래전부터 포토샵 등으로 이미지를 조작하거나 합성하는 건 가능했고, 이로 인해 사건 사고는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영상은 이미지가 초당 수십 회 반복 재생되는 방식이어서 이미지와 달리 정교하게 합성하는 게 불가능해 조작이 어려운 영역으로 남아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2017년, 미국의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영상 결과물에 합성 데이터를 조합한 결과물이 올라오기 시작했고, 사용자들은 이를 활용해 포르노그래피나 영화배우 등을 합성한 결과물이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이 딥페이크의 시작입니다.

생성형AI의 암영을 모두 지닌 딥페이크, 현재 상황은?


첫 등장 이후 7년이 지난 지금, 딥페이크는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짓궂은 장난 수준을 넘어 범죄의 영역으로 들어섰습니다. 올해 2월, 홍콩의 한 다국적 금융기업에서 약 340억 원 규모의 금융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담당자가 본사 재무최고책임자(CFO)로부터 자금 송출을 요청받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화상회의를 개설했습니다. 이때 CFO를 포함해 동료 직원들도 회의에 참석해 의심 없이 돈을 송금했지만, 본인을 제외한 모두가 딥페이크로 분장한 사기꾼들이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유독 딥페이크를 활용한 금융, 정치 사건이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선 후보가 흑인들과 함께 찍은 듯한 사진 및 영상을 배포하고, 이를 통해 팔로워를 늘려 선거 운동에 나서는 등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인도에서도 유명 배우들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내용의 딥페이크 영상이 SNS로 유포되며 배우가 직접 가짜라고 입장을 밝히는 등의 사건이 있었죠.


넷플릭스는 지난 2023년, 딥페이크를 활용해 다섯 쌍의 출연 커플에게 진실과 허구를 가리는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한 바 있다 / 출처=넷플릭스



긍정적인 사례도 없는 건 아닙니다. 영화 산업에서는 배우의 젊은 시절을 연기하거나, 이미 사망한 배우를 배역으로 내세우는 등의 기법으로 딥페이크를 활용합니다. 방송에서도 익명으로 인터뷰에 참여하는 사람을 위해 대역과 딥페이크를 동원해 얼굴과 목소리까지 합성한 방식으로 신원을 보호한 사례가 있습니다. 향후에는 교육이나 시뮬레이션, 예술 등의 분야에서도 폭넓게 쓰일 여지가 있습니다.

딥페이크, 악의적 활용 없애고 긍정적 가치에 집중해야


딥페이크를 악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이 기술에 대한 상업적 가치나 방향성을 부정하진 않습니다. 또 딥페이크를 무조건 금지하는 것만이 해답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지난 9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대선 개입을 막기 위해 선거용 딥페이크를 방지하는 법안이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10월 3일, 미국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인공지능과 딥페이크가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지만 언론, 출판의 자유를 보장하는 수정헌법 제 1조를 위반할 수 있다며 법률의 효력을 상실시켰습니다.

판결문은 법안이 메스가 아닌 망치 역할을 하며, 미국 민주주의 토론에서 매우 중요하고 자유롭고 제약없는 사상의 교류를 위헌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즉 악의적 목적을 세밀하게 금지하지 않는다면,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국민의 목소리를 탄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해당 논쟁은 현재 진행형이지만, 이번 판결로 인해 미국 대선에는 딥페이크를 활용한 풍자나 조작 등이 여전히 개입할 여지가 남게 됐고, 반대로 관련 기술은 더욱 발전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생성형 적대 신경망 기술의 본질은 두 개의 AI가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품질로 결과물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단순히 범죄 기술로만 보아선 안됩니다 / 출처=셔터스톡



따라서 ‘딥페이크는 악마의 기술’로 호도할 것이 아니라, 기술의 긍정적인 면은 살리되 부정적인 면은 억제해야하는 것이 과제로 남습니다. 생성형 적대 신경망 기술 역시 생성형 AI 기술이며, 미래에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될 것입니다. 주홍글씨는 지우고, 기술의 본질을 이해하고 살펴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네이버 AI 검색 서비스, 어디까지 써봤니▶ [생성 AI 길라잡이] 웹캠 속 내 모습을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으로 기록하는 ‘스크루블리’▶ [SBA x IT동아] 큐빅 “민감정보 노출 위험 없는 고품질 합성 데이터, AI 혁신 앞당길 것”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이번주 설문은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5549 인포플라 VLAgent 기반 ‘셀토’, V2 업데이트로 더 똑똑해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49 0
5548 전국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확인은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56 0
5547 [기고] 아파트의 '공간'적 가치를 재정의 하는 시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4494 0
5546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인데 모니터 2대 이상 연결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119 4
5545 “경찰청·금융사 공동대응” 시티즌코난 앱, 보이스피싱 범죄 해결책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50 0
5544 [농업이IT(잇)다] 초롱팜바이오 “식물ㆍ종균 조직 배양, 미래 위한 녹색 기술에 집중하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29 0
5543 구글의 식탁 빼앗기나··· 오픈AI·퍼플렉시티도 뛰어드는 '브라우저 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27 0
5542 [생활 속 IT] AI로 간편해진 맛집 검색, 카카오맵 ‘AI메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04 0
5541 [투자를IT다] 2025년 7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73 0
5540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93 0
5539 [기술영업人] 소비재 산업의 든든한 바탕, AWS코리아 '리테일·소비재' 조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88 0
5538 [월간자동차] 25년 6월, 기아 쏘렌토·테슬라 모델 Y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71 0
5537 지스케일러 “제로 트러스트와 AI 결합해 강력한 보안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46 0
5536 [스케일업] 프론트웍스 [1] 페인터즈앤벤처스 “사업 방향성 명확히 하고 매력 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64 0
5535 [퀀텀 스타트업] 6. 작은 가능성을 큰 전환점으로... '링(Ring)' 사례로 보는 스타트업 창의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60 0
5534 [IT’s 가성비] 신형 보급형 사느니 구형 플래그십? 에코백스 디봇 X1 옴니 로봇청소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56 0
5533 자동차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차대번호'에 담긴 의미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6625 0
5532 휠체어·유모차 최적 길 안내…서울동행맵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89 0
5531 ‘무게ㆍ두께에 자존심 걸었다’ 삼성 갤럭시 Z 폴드ㆍ플립 7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315 0
5530 전기 화재의 주범은 '에어컨' ··· 화재없이 안전하게 쓰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47 0
5529 각기 다른 꿈 품은 청년 30명 태우고 출발한 “청년괴짜 인생버스 시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51 0
5528 [생활 속 IT] 여름철 해수욕장 실시간 안전 가이드 ‘안전해(海)’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35 0
5527 알아두면 유용한 자동차 버튼 속 기능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491 1
5526 [주간스타트업동향] 펀진, 2025 방위산업 부품·소재 장비대전 참가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19 0
5525 [ETF Q&A] 고배당주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998 0
5524 [IT하는법] 스마트폰 벨소리, 원하는 음악으로 바꾸는 법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222 2
5523 “예약부터 굿즈 가격까지” 네이버 검색으로 팝업스토어 정보 ‘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13 0
5522 [스타트업-ing] 픽플리 “성실 이용자 확보로 데이터 품질 향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74 0
5521 [뉴스줌인] 화면 터치하며 즐기는 프로젝터, 삼성 ‘더 프리미어 5’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326 0
5520 걷거나 퀴즈 풀면 6만 원 준다…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81 0
5519 결혼자금 빌미로 가상자산 투자 유도 ‘로맨스 스캠’ 주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009 1
5518 [신차공개] ‘BMW 뉴 iX' 사전예약 실시·’페라리 아말피' 출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803 1
5517 서울경제진흥원 “韓 초격차 스타트업·日 기업 개방형 혁신 교두보 마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93 0
5516 “판매 글·가격 자동으로” 당근마켓 AI 어떤 편의 주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952 0
5515 에이수스 젠북 팝업존 '젠세이션', 4000명 이상 방문하며 성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6543 0
5514 SKT, “7월 15일부터 해지 위약금 환급”…예상 위약금 조회하려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7877 3
5513 금융기관에 제공한 개인 정보 확인·관리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493 0
5512 [생성 AI 길라잡이] 인공지능이 작성한 표절 논문 찾아내는 무하유 카피킬러 ‘GPT 킬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512 0
5511 승용차 70배 탄소 배출 ‘대형 트럭’…친환경 전환 대책은 부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8343 0
5510 [투자를IT다] 2025년 7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05 0
5509 [IT’s 가성비] 아직도 살만한 스테디셀러, LG 32UN650K 4K 모니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92 0
5508 [리뷰] 디지털 시대 눈 건강을 위한 투자,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19 0
5507 [IT신상공개] 성능·음질·편의성 개선, 소니 WH-1000XM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08 0
5506 SaaS 기반 협업 툴 NHN두레이의 첫 인상, ‘두레이온보딩팀’을 만나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7979 0
5505 “야근 걱정 끝” 폴라리스 오피스, AI 기반 NOVA로 활용도 높였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2729 1
5504 [농업이IT(잇)다] 백로앙금 “당도 낮춘 팥 디저트로 소비자 입맛 사로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40 0
5503 지하철역·공원서 책 대출·반납…스마트 도서관, 더 편하고 가까워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71 0
5502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에 신형 SSD, 달아도 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65 0
5501 데이터이쿠 “노코드 AI 플랫폼, 누구나 AI 에이전트 개발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52 0
5500 [시승기] 안정적인 승차감과 넓은 실내, 전비 효율 두루 갖춘 '아이오닉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50 0
뉴스 ‘굿보이’ 박보검-김소현-이상이-허성태-태원석, ‘굿벤져스’ 다시 뭉쳐 오정세 본거지 급습! 목숨 건 사투 디시트렌드 07.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