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30주기…'재난'은 현재진행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6.26 15:38:50
조회 2066 추천 1 댓글 1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30주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부실 겹친 인재
건설 현장 여전히 '안전 사각지대' 놓여
"현장 구조적 여건과 제도 함께 개선돼야"



[파이낸셜뉴스] #.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7분. 서울 서초구에 있던 초대형 건물인 삼풍백화점이 폭삭 주저앉았다. 지하 4층, 지상 5층 규모의 건물이 무너지는 데 걸린 시간은 단 20초에 불과했다. 당시 백화점 안에는 약 1500명의 고객과 종업원이 있었지만, 이들은 순식간에 건물 잔해에 깔렸다. 이 사고로 502명이 숨지고 937명이 다쳤다. 한국 역사상 단일 사고로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참사로 기록됐다.
502명의 목숨을 앗아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가 올해로 30주기를 맞았다.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총체적 부실이 겹친 인재(人災)였지만, 건설 현장은 여전히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복되는 비극을 막기 위해선 건설 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삼풍 참사 30주기…재난은 현재진행형
26일 전국건설노동조합(건설노조)이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건설노동자 10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안전보건 및 견실시공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1.7%가 '2025년에도 삼풍백화점처럼 부실공사로 건물이 무너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22.7%는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는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의 부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인재다. 당초 4층 규모의 대단지 상가로 설계됐으나, 정밀한 구조 진단 없이 5층 백화점으로 변경돼 완공됐다. 이후 무리한 확장 공사가 반복됐고, 붕괴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경영진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삼풍백화점 참사 이후 재발을 막기 위해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특법)'이 제정되고 건축법도 강화됐지만,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는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21년 6월 광주 학동 4구역 재개발 현장에서는 철거 중이던 건물이 무너지면서 도로변을 덮쳐 9명이 숨지고 8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이듬해 1월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신축 현장에서도 내외부 구조물이 무너져 현장 작업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송성주 건설노조 광주전남지역본부 사무국장은 "붕괴 참사 이후 사고 발생 원인과 대책을 마련한다고 야단법석을 떨었지만 건설 현장은 아직 변화된 게 없다"며 "3~4일에 한 개 층씩 올라가는 빨리빨리 공사,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콘크리트 양생기간, 타설 공정 물량 도급,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은 사고 등은 그때와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현장 여건·제도 개선돼야
실제 전문가들은 건설 현장 안전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최저가 낙찰제 △불법 하도급 △공사 기간(공기) 단축 등을 꼽는다. 최저가 낙찰제로 원가에도 못 미치는 금액에 공사가 진행되고, 여기에 다단계 불법 하도급 구조가 겹쳐지면서 이윤을 남기기 위해 무리하게 공기를 단축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홍성걸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는 "건설 현장에선 하도급을 여러 차례 거치면서 최종 실행 예산이 줄어들고, 과도한 가격 경쟁이 발생한다"며 "경제 논리만 앞세우다 보니 복잡해진 사회 현실을 제도와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해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도 "공사 입찰 단계에서 금액을 무시할 수 없다 보니 공사비와 공기가 지나치게 빠듯하게 설정되는 부분이 있다"며 "적정 수준의 공사비 상승을 사회가 반드시 필요한 비용으로 인식해야 각종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참사가 다시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현장 여건과 함께 제도적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창식 한양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충분한 공사 기간을 확보하고 공사비·인건비 등 제반 여건을 제대로 마련해 줘야 한다"며 "이런 기반 위에서 안전에 무게중심을 두고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현재의 건설 안전과 관련한 법 정책이 실효성을 갖추지 못해 실질적인 안전 확보보다는 형식적인 안전에 그치는 경우가 있다"며 "정치권과 행정기관이 안전 문제에 대해 전문성과 진정성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김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남편 '덜렁덜렁' 모습에 성욕이..." 아내 속마음 사연▶ 남편에게 모유 수유하는 아내, 남편은 2년 동안..반전▶ 초밥집서 사용한 콘돔 투척한 10대 "여기서 성관계한 사람이.."▶ 故최진실 딸 "뼈 썩고 있다" 안타까운 근황, 병명이...▶ 바람 피운 개그맨 남편, 개그우먼 아내에게 망언 "내 매력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19308 김밥 한 줄이 부른 파장…130여명 식중독 증세로 병원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7 1
19307 청양 고속도로서 SUV 차량 화재..."운전자 사망" [9]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196 2
19306 오세훈 시장, '비냉방 지상역사' 점검…"쉼터·냉방보조기 확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1 0
19305 내란특검팀, 尹 전 대통령에 "14일 출석하라"...출석 불투명 [4]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3753 0
19304 李 대통령 "외식 동참해달라...골목 상권 살아야 경제가 살아" [19]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048 0
19303 저출산위, 청소년·청년 국민위원회 발족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2 0
19302 오늘, 전국 '찌는듯한 무더위' 계속…서울 최고 기온 36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8 0
19301 다음주도 폭염·열대야 이어진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4 0
19300 내일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발효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6 0
19299 해경 서부정비창 하반기 목포서 준공...연간 최대 160척 수리 가능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1 0
19298 "사람도 견디기 힘든데"…폭염에 가축폐사 급증, 지난해보다 11.4배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8 0
19297 김태효, "尹 화냈다"...'VIP 격노설' 첫 인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48 0
19296 "과일 깎으려 했다" 며느리 흉기로 7번 찌른 80대 시아버지 징역 [27]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7325 13
19295 가정법원에서 본 기상천외한 이혼 사례[부장판사 출신 김태형 변호사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75 0
19294 "8년간 '허위 등록비' 청구해 7억 횡령"...법무법인 등기담당 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5 0
19293 “진짜 화냈다”…김태효, 윤 전 대통령 격노설 인정 [9]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6080 4
19292 창문 열자마자 숨 막혔다…오늘 전국이 '찜통 지옥'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59 0
19291 내란 특검, 尹 14일 오후 2시 재소환..."불응시 법대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3 0
19290 경찰청장 직무대행, 현장 찾아 '기초질서 확립' 강조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8 0
19289 김건희 특검 "김건희 집사, 직접 출석해 뜻 전달하라"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7 0
19288 尹, '건강상 이유'로 조사 불출석…특검 "계속 불응 시 강제구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1 0
19287 카카오 'SM 시세조종' 내달 29일 결심…방시혁 증인 불출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2 0
19286 "감귤들아 우리가 간다" 의사 커뮤니티 협박글 경찰 수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11 0
19285 尹, 재구속 후 내란특검 첫 조사 불응…불출석 사유서 제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78 0
19284 채상병 특검, 'VIP 격노설' 尹·조태용 압수수색...전방위 수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5 0
19283 특검, 尹 사택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3 0
19282 채상병 특검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자택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4 0
19281 “밖은 지옥이다”…오늘 전국 ‘찜통지옥’ 경보 발령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87 0
19280 69세 노인 버스에 치어 숨졌지만 무죄받은 운전기사, 이유는?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926 2
19279 "경찰 부르기 전에 연락주세요"… 초등생 수배 전단, 공익성 인정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02 0
19278 尹, 재구속 후 첫 내란특검 조사…불응 시 강제구인 가능성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90 0
19277 尹, 서울구치소 2평대 독방 수감…수용번호는 '3617'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60 0
19276 면허 취소됐는데 또 음주운전 한 40대男 구속 [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38 0
19275 내란 특검, '재구속' 尹 전 대통령에 11일 오후 2시 출석 통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03 0
19274 "선관위서 중국 간첩 99명 체포" 보도한 기자 등 2명 검찰 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23 0
19273 압박수위 높이는 김건희 특검…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줄소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04 0
19272 "尹 퇴진 집회서 불법행위 주도" 경찰, 민주노총 위원장 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9 0
19271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웰바이오텍 경영진 13일 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3 0
19270 "윤석열 사단은 하나회" 발언한 이성윤…법원 "해임 처분 정당"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00 0
19269 내란특검, 尹 신병확보 후 곧바로 소환…수사 급물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86 0
19268 "술 마시고 실종된 아들, 순찰팀이 찾아냈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89 0
19267 20·30 청년 울린 전세사기…단속했더니 피해액 3조 넘어 [27]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558 6
19266 "윤석열 정부 때보다 인색" 최저임금 최대 4.1% 인상에 노동계 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12 0
19265 내란특검, 尹 신병 확보 후 내일 첫 조사…"본인동의시 외환 수사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4 0
19264 검찰, '합성대마 투약' 이철규 의원 아들에게 징역 5년 구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01 0
19263 '재구속' 尹 전 대통령, 내란재판 불출석…"건강상 이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7 0
19262 "日 역사왜곡에 화나"…일본문화센터 불 지르려 한 60대 검거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54 0
19261 채상병 특검, 'VIP 격노설' 이종섭 전 장관 등 전방위 압색[종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062 0
19260 채상병 특검팀, 국방부·국가안보실 등 압수수색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0 0
19259 윤석열, 재구속 후 첫 법정 등장…‘침묵 깨고 폭탄 발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07 0
뉴스 사유리 아들 젠, 10일만에 퇴학당했다…“많이 혼내고 있어” 디시트렌드 07.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