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네오스헬스케어 “의료·산업 분야 활용도 높은 저온 감응형 점착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7.09 13:11:01
조회 4656 추천 1 댓글 0
[IT동아 한만혁 기자] 인공항문을 달고 있는 환자는 배설물을 모으는 장루주머니를 착용하고 수시로 바꿔야 한다. 장루주머니는 피부에 달라붙는 힘, 즉 점착력이 강하다. 배설물이나 냄새가 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루주머니를 붙인 부위의 피부는 항상 빨갛게 붓거나 발진이 생긴다. 통증도 심하다.

네오스헬스케어는 인공항문 환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개발했다. 상온에서는 점착력이 강하지만 온도가 낮아지면 점착력이 떨어져 쉽게 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네오스헬스케어는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적용한 장루주머니 상용 샘플을 제작 중이며, 의료기기 인증 획득 후 내년 1분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인공항문 환자가 많은 영국,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네오스헬스케어는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의료, 산업 분야에도 적용하고자 한다. 저온 감응형 점착제의 특성이 창상피복재, 반도체 공정, 마이크로LED 공정 등에 사용하는 기존 점착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 네오스헬스케어의 설명이다.

박만우 네오스헬스케어 공동창업자 겸 최고운영자(COO)를 만나 저온 감응형 점착제와 다양한 활용도, 현재 사업 진행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장루주머니 상용 샘플을 소개하는 박만우 네오스헬스케어 COO / 출처=IT동아


온도가 내려가면 쉽게 떨어지는 점착제


IT동아: 안녕하세요, 박만우 COO님. 우선 COO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만우 COO: 안녕하세요, 네오스헬스케어 박만우입니다. 저는 지난 30년간 IT, 바이오 분야에서 기획과 마케팅 업무를 했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 근무한 경험도 있고요. 김성환 네오스헬스케어 대표와는 고등학교 선후배로 인연을 맺었습니다.

저희는 10년 전쯤 인공항문 환자의 고통을 알게 됐어요. 인공항문은 체외로 배설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그것을 모으는 장루주머니를 착용해야 합니다. 장루주머니는 배설물이나 냄새가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는 단단히 붙어 있어야 해요. 문제는 점착력이 너무 강하면 뗄 때 통증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같은 자리에 계속 붙였다 떼니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발진이 생깁니다.

당시 저희가 화학 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어서 그들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기능성 접착제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2018년부터 KIST와 공동 개발을 시작했고, 2021년 11월 특정 온도 아래로 내려가면 쉽게 뗄 수 있는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개발했어요.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고자 2022년 5월 네오스헬스케어를 설립했습니다. 사명은 ‘새로운’이라는 의미의 ‘네오스’와 ‘헬스케어’의 합성어입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회사가 되겠다는 저희 포부를 담은 이름입니다.

IT동아: 저온 감응형 점착제 개발 후 창업하셨다고 했는데요. 어떤 점착제인가요?

박만우 COO: 모든 점착제는 폴리머 체인으로 되어 있습니다. 저희가 개발한 저온 감응형 점착제는 기존 점착제에 첨가제를 넣어 온도가 내려가면 폴리머 체인이 빠르고 강하게 응집합니다. 점착력이 낮아지죠. 실제로 온도가 8~10도로 낮아지면 점착력이 70% 떨어집니다. 덕분에 쉽게 떼어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온도가 올라가면 응집력이 풀리면서 점착력을 회복합니다. 점착제만 보면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부나 다른 표면에 붙이는 경우 이물질이 붙어 점착력이 떨어지는데, 표면이 깨끗한 곳에 사용하면 얼마든지 다시 사용할 수 있어요.

저희는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자신합니다. 저희가 KIST, 특허조사전문기관, 특허법률사무소 등을 통해 전 세계 선행기술을 세 차례 조사했는데, 관련 기술이 없었어요. 현재 국내 특허는 등록 완료했고, 미국, EU(유럽연합), 중국에 특허 출원 상태입니다.


저온 감응형 점착제 성능을 시연하는 박만우 COO / 출처=IT동아


의료·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IT동아: 저온 감응형 점착제의 활용도가 굉장히 많을 것 같습니다.

박만우 COO: 우선 저희는 인공항문 환자를 생각하고 개발했기 때문에 아예 장루주머니까지 만들고 있습니다. 장루주머니의 경우 아이스팩으로 3분간 냉각하면 부드럽게 뗄 수 있습니다. 인공항문 환자의 고통을 충분히 덜 수 있죠. 게다가 장루주머니의 점착력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인공항문 환자는 배설물이나 냄새 유출 걱정 때문에 더 강력한 점착력을 원하는데 뗄 때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그럴 수 없거든요. 저희 점착제를 이용하면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상처 보호용 테이프나 방수 테이프 등 창상피복재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상처 부위에 붙였다가 뗄 때 점착력이 강하면 다시 상처가 나거든요. 저희 점착제를 이용하면 상처 부위에 자극을 주지 않고 부드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장루주머니는 충분한 점착력을 위해 점착제를 두껍게 바릅니다. 그래서 아이스팩으로 3분간 냉각해야 해요. 일반적인 테이프나 필름 등 창상피복재는 스포츠용 냉각 스프레이만 뿌려도 바로 효과가 나타납니다.

IT동아: 최근 산업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관심을 보이나요?

박만우 COO: 저희는 산업용 점착제를 따로 개발했습니다. 장루주머니, 창상피복재 등 의료용은 인체에 부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첨가제를 사용합니다. 산업용의 경우 원리는 동일하지만, 일부 첨가제를 바꿔 점착력 하락 특성을 강화했어요. 0도에서 점착력이 98.8%까지 낮아집니다. 점착력이 거의 없는 셈이죠.

덕분에 여러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는 분야는 반도체 공정입니다. 반도체 웨이퍼의 경우 뒷면을 갈기 위해 윗면에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테이프를 붙입니다. 그리고 다이에 붙이는 공정에서 다이싱(Dicing) 테이프를 붙입니다. 이들 테이프는 작업 후 떼어 내야 합니다. 그래서 65도 이상에서 점착력이 없어지는 자외선(UV) 경화형 테이프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65도의 열을 가하니 테이프가 흐물흐물해지면서 잔존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해당 부분의 웨이퍼는 사용할 수 없어요. 저희 점착제를 적용하면 쉽게 뗄 수 있고 잔존물도 전혀 남지 않습니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공정용 테이프 공급사와 긴밀하게 논의 중이고,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예정입니다.

이외에 마이크로 LED 공정의 LED 칩셋을 그룹별로 들어 옮기는 전사 과정에도 적용할 수 있겠다는 조언을 받아서 그쪽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산업용 점착제는 국내 특허를 준비하고 있고, 국내 특허 출원 이후 일본, 대만, 중국, 미국, EU 등에도 특허 출원할 예정입니다.

IT동아: 현재 홍릉강소연구특구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어떤 지원이 있었나요?

박만우 COO: 다양한 도움을 받았습니다. 우선 저온 감응형 점착제를 KIST와 함께 개발했고, 사업화 자금 지원으로 글로벌 선행기술을 조사할 수 있었어요. 해외 진출을 위한 시장 조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쾌적한 업무 공간을 저렴하게 사용하는 것도 홍릉강소연구특구 덕이에요. 그 외에도 사업 전개에 도움이 되는 여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온 감응형 점착제에 대해 설명하는 박만우 COO / 출처=IT동아


장루주머니로 글로벌 시장 진출


IT동아: 마지막으로 네오스헬스케어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만우 COO: 우선 장루주머니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현재 상용 샘플 제작은 완료했고, 개선 및 보완 작업 중입니다. 의료기기 인증 기간을 고려하면 내년 1분기에 정식 출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도 속도를 낼 것입니다. 사실 저희는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었어요. 국내 장루주머니 시장은 2만 명 규모입니다. 글로벌 시장이 350만 명 규모이니 1%에도 못 미치는 것이죠. 그런데 유럽, 미국, 중국은 전 세계 85~90%를 차지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인구가 비슷한 영국의 경우 25만 명 규모이거든요.

저희는 장루주머니를 영국에서 처음 출시할 계획입니다. 현재 사전 조사는 끝났고 영국 파트너사와 협약을 맺고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에는 중국에 현지 법인도 설립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실질적인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와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대응하고자 합니다. 앞서 설명한 창상피복재, 반도체 공정, 마이크로LED 공정 등에 원활하게 적용되도록 차근차근 준비할 계획입니다.

글 /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셀바스찬 “NK 세포와 고분자 복합소재로 암 치료 선택지 넓힐 것”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기술영업人] AI로 세상을 이롭게 하는 '업스테이지'의 영업 전략▶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레지에나 “혁신 기술로 메디컬 뷰티 기기 대중화에 기여합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6171 벤큐, 밝고 좁은 곳에서도 선명한 4K 프로젝터 ‘TK705i’ 출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1267 1
6170 “AI 에이전트도 협업하는 시대” 랭코드, 타사 AI도 연결하는 ‘통합 에이전트 허브’ 상용화 [SBA 초격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8 0
6169 선택이 아닌 의무 ‘카시트’…연령에 맞는 제품 종류와 설치 방법 살펴보니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826 4
6168 인천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의 결과는 성공 혹은 경험만 있을 뿐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9 0
6167 [KIDP 울산] 브랜드 디자인개발 지원사업, 협업 넘어 기업 경쟁력 강화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2 0
6166 트윈위즈 “기존 고체형 소재의 한계 극복한 액상형 항균 소재, 트윈온” [SBA 초격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5 0
6165 "AI 기술로 K-콘텐츠 언어 장벽 허문다" 트위그팜, 미디어 인텔리전스 시장 공략 [SBA 초격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52 0
6164 샷에이아이 “프로·아마추어, 손님·사장님 모두 즐거운 스포츠 AI 기술”[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4 0
6163 마인3디피, "생성형AI·3D 프린터로 메이커 문화 확산에 기여"[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55 0
6162 차세대 금융 혁신과 보안을 말하다, FICSON 2025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4 0
6161 1세대 시스템 엔지니어가 한옥 호텔을 지은 까닭은…안영환 락고재 한옥 컬렉션 회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029 10
6160 "올해 AI 승자는 구글?" 성능·사용성 다 잡은 '제미나이 3' 등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42 0
6159 네이버 지도, 예약 중심으로 재편…”일상 동선 완성하는 올인원 플랫폼”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1317 1
6158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검증된 데이터 앞세워 스케일업 나설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4 0
6157 웬디미디어,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 수상…서울과기대 초창패 쾌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6 0
615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Global Investors Bridge, 스타트업 해외진출 교두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6 0
6155 지원 스타트업 다시 한번 돕는 지속 성장 지원, 실효성은 '기대이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68 0
6154 여야 의원 디콘 2025에서 한목소리 "디지털자산 규제, 개선·보완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7 0
6153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종묘 앞 '세운4구역'... 서울이 선택할 도시 미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37 1
6152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스토어, 친환경인증 고중량포장 리펄프테이프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1 0
6151 AI 에이전트 시대 선언한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5서 '프론티어 기업' 전략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4 0
6150 DAXA, 광고·홍보 모범규준 발표 “수수료 공시·내부통제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7 0
6149 739km 주행거리 확보·슈퍼크루즈 국내 최초 적용…'에스컬레이드 IQ'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46 0
6148 디노티시아, SC25서 VDPU 기반 FPGA로 'AI 반도체' 성능 알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9 0
6147 SBA "서울형 R&D 시험·인증 생태계 완성, 규제 인증 장벽 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4 0
6146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韓 기업 두바이 자이텍스 달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9 0
6145 케어러스 “육아 불안 잠재우는 데이터 기반 돌봄 서비스, 디어맘케어”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2 0
6144 AI 커닝 사태 일파만파...부정행위 막을 기술 살펴보니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1600 1
6143 호잇스튜디오 "IP 유출 걱정 없는 AI 애니메이션 제작 솔루션” [서울과기대 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63 0
6142 엘리시안 “가상 세계 경험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고 싶어요”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37 0
6141 [자동차와 法] 급증하는 전동킥보드 사고와 법적 책임의 민낯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760 1
6140 [IT신상공개] 첫 공개될 시어스랩 AI 스마트 안경 'AInoon(에이아이눈)'... 안경으로 챗GPT, 제미나이 활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3 0
6139 [위클리AI] 오픈AI, 챗GPT 그룹 채팅 기능 시범 도입…한국 포함 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5 0
6138 성북구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에서 꿈을 키우는 스타트업 2025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84 0
6137 [투자를IT다] 2025년 11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5 0
6136 [신차공개]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혼다 '26년형 뉴 CR-V 하이브리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078 2
6135 [기술영업人] 컴퓨팅AI 인프라의 시작부터 끝을 다루는 '델 테크놀로지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40 0
6134 한국수자원공사 "로컬브랜딩·지역상생 댐 로컬 서포터즈 1기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39 0
6133 [뉴스줌인] 와이파이7 기술 더한 게이밍 공유기, 에이수스 'ROG Strix GS-BE720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08 0
6132 [주간투자동향] 클레, 16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07 0
6131 엔도로보틱스 "내시경 수술 로봇, FDA 승인…복강경처럼 표준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55 3
6130 AI 심판으로 테니스 판정 시비 줄이고 재미는 더한다…'샷에이아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38 0
6129 리벨리온, 美 법인 설립··· '삼바노바 핵심 인사' 영입해 공략 본격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123 0
6128 래블업, SC25서 ‘백앤드.AI’ 기반 AI 인프라 구축 성과 알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39 0
6127 KT 사고에서 드러난 통신사 보안 허점은?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970 4
6126 리프라이즈 "AI 기술로 봉제 산업 새로운 표준 만들 것"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57 0
6125 [리뷰] 휴대성에 AI 능력까지, 14인치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HP Z북 울트라 G1a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60 0
6124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작업복 시장 혁신, 브랜딩 전문가 손길도 더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54 0
6123 닷컴버블, 메타버스 다음은 AI? 반복되는 'AI버블론'의 정체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40 0
6122 [스타트업-ing] CIT, ‘구리플랫 패키지코어’로 FIX·CES 혁신상 2관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4 3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