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이노우에 대담 산왕전 외 이모저모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22.118) 2023.01.30 18:08:47
조회 4113 추천 43 댓글 15
														

SWITCH 2002 vol.20 No.3



Q. 산왕전을 끝으로 슬램덩크를 끝내자는 건 언제쯤 생각했나요? 애초에 사쿠라기가 다친다는 것도 전 놀랐어요.

(이노우에) 사쿠라기가 다친다는 것은 전혀 결정하지 못했는데요. 하지만 그것도……이제자연스러워 졌죠 전부. 그때 그대로 코트 밖으로 공이 나와 있으면 상대방 공이 되어 버려요. 이제 누가 파고들어서 가지러 갈 수밖에 없는 장면이거든요. 그렇게까지 무턱대는 애는 하나미치 말고는 없어요. 그래서 하나미치가 "비켜!" 하고 파고든 겁니다. 그때 하나미치가 뛰어드는 방식이 심상치 않아서 '이거 다쳤구나!' 하고 스스로도 깜짝 놀랐을 정도예요. 그리고, 「팡!」하고 번뜩이는… 스스로 만든 것을 보고 번뜩이는 그런 느낌인 거죠. 저번 주에 그린 걸 다시 봐야 '아, 이러면 이렇게 되는 거구나' 이런 걸 처음 깨달은 겁니다. 별로 의도나 테크닉은 없어요, 저 같은 경우는.



Q. 연재 종료라는 것에 대하여는? 새로운 것을 시작하고 싶었나요?

(이노우에) 그렇군요….음……그렇겠지요, 음……산왕전에서 해냈다, 다 쏟아냈다, 라는 감각은 있었습니다. 나를 몰아넣고 몰아 넣어서, 그래서 마지막 한 경기를 그리고 '이거면 되는거야' 이런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아, 이제 이 시합으로 됐어」 하게 되었죠.



Q. 구체적으로 이것으로 끝내기로 결정한 것은 언제쯤이었는지 기억하십니까?

(이노우에) 인터하이가 시작될 때 '산왕전까지'라는 건 이미 거의 정했어요. 산왕전이라는 게 결승에 해당하는 경기였으니까요. 자기 작품의 밀도로서 말이죠. 한번 아슬아슬하게 올라갔던 밀도를 다시 낮춰버리는 걸 '좋아‘라고 생각하지 않았었죠. 그때는, 이렇게 밀도가 한꺼번에 높아져서 '그 아슬아슬한 꼭대기에서 끝나는 거야' 이런 마음으로 그렸거든요. 당초 예선 때 상당히 긴장감을 높여 팽팽하게 그렸습니다. 그래서 예선이 드디어 끝났고, 그 후에 "인터하이를 위해서 다섯 경기도 여섯 경기도 그릴 수 있어!"라고 생각했어요. 카나가와 현 대회에서부터 그토록 강한 팀을 내보내 버린 거예요. 그리고 전국에는 그 다섯 배, 여섯 배나 강한 녀석이 있고, 대단한 팀이 있다니 그건 말이 안 되구요. 그렇게 가다보면 작품으로서의 앞날이 보이잖아요. 그런 건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쓸 수 없었어요.



Q. 산왕공고전으로 끝나버린 탓도 있을지 모르지만, 예를 들어 아이와학원의 모로보시(마성지)라든가 메이호공업의 모리시게 히로시(김판석)라든가 만약 그대로 연재가 계속되고 있었다면 반드시 등장했을 전국의 라이벌들이 몇 명 있었습니다. 하지만 꽤 강할 그들은 그때까지 등장했던 팀들보다 캐릭터적으로 약하죠 역시. ‘얘네들이 정말 센 놈들인가?' 이런생각이 들더라고요.

(이노우에) 강하게 만들 수는 없네요, 그들을.



Q. 이런말은 실례일지 모르지만 분명히 존재감이 희박해요.

(이노우에) 아니, 맞아요. 그건 이제 당연한 거죠. 제 스타일로는 꼭 그런 일이 일어나거든요. 아까 이야기에 나왔던 미츠이도 그렇고 해남의 마키(이정환)같은 애는 특히 그런 것 같은데 등장한지 얼마 안 됐을 때는 '그 정도는 아니다'였죠 역시. 점점, 점점 그려감으로써 캐릭터가 완성되고, 그려감으로써 핵심이 되고, 그들 자신의 가치도 올라갑니다, 저 같은 경우. 뭐, 센도만은 예외입니다만.



Q. 그만큼은 처음부터 눈에 띄더군요.

(이노우에) 존재감 있었죠, 센도는. 뭐, 그건 우연이에요. 산왕도 다시 한 번 보면 알 수 있지만, 역시 첫 출발은 별거 아닌거죠. 제 작품의 캐릭터들은 그려가면서 변화하고 완성되는 거죠. 그렇다면 만약 저렇게 슬램덩크를 계속한다면 거기서 산왕을 이기고 말았으니 모리시게라든가 모보로시라든가 그 밖의 전국의 강자들을 더 많이 그려가며 강하게 만들어 나가야 하는 거죠. 이야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이들의 '가치 올리기' 를 할 필요가 나옵니다. '그건 이제 못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Q. 개인적으로 등장해 반가웠던 캐릭터라면 능남의 히코이치(박경태)죠.

(이노우에) 농담던지기 역



Q. 네, 그가 나오면서 얘기가 다시 커진 것 같았어요.

(이노우에) 오사카에 가주거나 자기 '생각'을 내뱉음으로써 독자의 기분을 대변하거나 그런 것은 있었지요.



Q. 미츠이의 존재도 그렇고 사쿠라기의 부상도 그렇고 히코이치의 등장도 그렇지만  「아, 그렇게 나오는군!」 하는 놀라움이 나타났을 때는 벌써 진심으로 감동하게 됩니다.

(이노우에) 새로운 캐릭터가 태어나거나 생각지도 못한 뭔가 새로운 전개를 만들어 낼 수 있었을 때는 즐거워요. 그럴 때는 그림도 잘 그려지거든요.











쿠로코의 농구 오피셜 팬북 쿠로페스



Q 이노우에 선생님은 구로코의 농구 등장인물 중 누구를 좋아하나요?

(이노우에) 역시 쿠로코입니다. 그 패스는 따라할 수 없어요! 왜냐면 농구공 무겁다구요!?

(후지마키) 그 부분은 그리던 저도 매번 츳코미를 넣었습니다(웃음). 이노우에 선생님은 슬램덩크 중에서 그리면서즐거운 캐릭터는 누군가 있었습니까?

(이노우에) 특별히 없어요. 당시에는 제 경험치가 낮아서 누구를 그려도 제 피가 되고 살이 되기 때문에 굉장히 즐거웠던기억이 납니다. 그릴 때마다 점점 달라지잖아요? 얼굴이 좋아지고. 근데 끝까지 잘 몰랐던 건 센도인가.

(후지마키) 그랬습니까!

(이노우에) 센도는 부웅 떠있어서 선수로서도 캐릭터로서도 결점이 없어요. 센도라는 인물을 알아차릴 수 없었어요. 멋있어서 슈퍼플레이를 그려낼 수 있었지만 결점이 없어 이해하기 어려웠죠. 후지마키 선생님도 그런 캐릭터는 없나요?

(후지마키) 그리는 게 힘들진 않았어요. 카가미는 저와 같은 성향이 적었기 때문에 캐릭터가 종반까지 헤맨건지도 모릅니다만. 하지만 애를 먹은 것은 쿠로코입니다. 그는 말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누군가가 말을 걸어주어야 하니까요.

(이노우에) 하지만 말이 많으면 또 쿠로코가 아니고...그건 애를 먹겠네요. 예를 들어 루카와도 플레이가 성공해도 별말 않기도 하고, 그렇게 자유롭지 못한 점이 캐릭터를 만드는 것이겠지요. 그러면서도 즐겁게 그리는 것이 만화가일지도 모릅니다.



Q. 이노우에 선생님은 슬램덩크 최종화를 그릴 때의 기분을 기억하십니까?

(이노우에) 산왕전을 다 그린 후의 만족감은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경기는 자신이 그리고 싶었던 것을 모두 담았습니다. 그야말로 이 경기로 만화가 인생이 끝나도 좋다는 생각이 들 정도. 매우 상쾌한 기분이었어요. 「연재 계속해!」라고 하려던 관계자도 계셨을지도 모릅니다만(웃음). 하지만 그것은 서로의 비즈니스로 「슬램덩크」는 이렇게 끝나고 싶다라는것은 완수해 냈습니다. 다만 예고를 못하게 한 것만은 아쉬웠어요. 독자를 놀라게 했고 불필요한 억측을 불러와 버렸습니다.

(후지마키) 저도 그때 정말 깜짝 놀랐어요!



Q. 슬램덩크가 계속될 수 있을까요?

(이노우에) 그 세계는 저에게 매우 소중한 세계입니다. 세상에 나와 있는 것은 그 중 일부를 잘라낸 것이고 당연히 그리지않은 세계도 존재합니다.  그릴 예정은 현재 없습니다. 그렇다고 그 세계와의 문을 닫는 일은 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그리지 않는다'고도 하지 않고 중립적이고 싶습니다.

(후지마키) 지금은 어른이 되어서 선생님의 마음을 굉장히 알 수 있습니다만, 어렸을 때는 단순히 「모리시게 히로는 어떻게 됐지?」라고 생각해서(웃음). 굉장히 아쉬웠답니다. 그래서 말하는 건 아니지만 쿠로코의 농구를 연재할 때 복선을 깐 경쟁자들과는 전원 대결시키기로 마음먹었어요.

(이노우에) 친절하시네요.    -> 자기가 불친절 한건 알고 있음…

(후지마키) 성격이 꼼꼼한 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은 어느 타이밍에 산왕전을 라스트로 정하신 건가요?

(이노우에) 토너먼트표가 생겼을 때에 정했습니다.

(후지마키) 그럼 그때부터 모리시게(김판석)나 츠치야(이현수)와는 싸우지 않는 거로요?

(이노우에) 「인터하이에는 이런 인물들이 있다」라고 그려낸 방식이죠. 실제 대회에서도 보고 싶었던 카드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잖아요.

(후지마키) 모리시게라든가, 최종보스적인 분위기로 그렇게 믿고 있었습니다.

(이노우에) 기대감을 너무 많이 하게 한 감은 있네요. 그런데 그런 캐릭터가 없으면 인터하이 느낌이 안 나지요? 그리지않은 부분에서 난동을 부리고 있을지도...?

(후지마키) 확실히 그런 부분이 리얼한 분위기를 만들고 있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노우에) 그리고 토너먼트 방식이라면 반드시 결승까지 주인공이 이기는 전제하에 이야기를 진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게 싫었어요. 이기기로 되어있던 시합은 상양전과 풍전전이었지만 상대에게 마음을 써버려서 그리고 있는게 힘들었어요. 풍전전 후 도저히 앞으로 5경기도 그릴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모리시게와 츠치야는 죄송합니다!(웃음)







이토히로미



(이토) 네. 하지만 '배가본드'에서는 이노우에 씨 본인이 타케조의 몸을 빌려 몸부림 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전해집니다.

(이노우에) 뭐,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이토) 자신을 내보이는 것에 대해 거부감은 없었습니까?

(이노우에) '슬램덩크'에서도 내보인 거라면 내보인 거니까

(이토) 어떻게, 어디에? 누구의 시점에서?

(이노우에) 응? 다들이잖아요.

(이토) 센도?

(이노우에) 아니 센도(仙道)는 제일 안 나온 캐릭터예요.

(이토) 센도, 제일 좋아하는데(웃음).

(이노우에) 센도는 전혀 나오지 않았어요. 저는 이해가 안 돼요.

(이토) 그러니까 그렇게 멋있어?(웃음) 그럼 료타나 미치는?

(이노우에) 쇼호쿠(북산) 애들은 나와요, 역시.

(이토) 그럼 분산되어 있었군요.

(이노우에) 네, 그렇네요





sportiva



Q. 이전 인터뷰에서 등장인물은 자신의 분신이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어요. 아카기는 동아리 활동 시절의 자신의 가장 부드러운 부분으로, 하나미치에 관해서는 즐거웠던 부분이라고. 나머지 멤버에 대해서도 묻고 싶습니다만….

(이노우에) 루카와는 (자기 자신을) 투영하고 있는 거네요, 라는 말을 들었었죠. 가장 자연스럽게 그릴 수 있었던 것은 루카와니까요. 뭐 그럴 수도 있겠네요.



Q. 미츠이는?

(이노우네) 루카와는 저의 코어나 완고함이라든지 신념 같은 부분에서, 미츠이는 좀 더 바깥쪽 부분이고 열린 부분이라고할까 인간으로서 보통 부분.



Q. 미츠이에게는 고민하거나 멈칫거리는 부분이 있는데….

(이노우에) 당시에 제가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부분을 미츠이에게 맡기지 않았을까요? 그리면서 점점 기분이 좋아진다고 해야 되나? 그만큼 그리기 쉽더라고요. 나약함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부분이고 내버리면 쾌감이 됩니다.

->미츠이가 정상이라는 게 아니고 사람으로서 약한 부분은 당연하다는 의미인듯..



Q. 료타는?

료타는 말이죠 일단은 몸집이 작다는 게 저와 닮은 부분, 내용물은 어떨까요? 료타는 다 못그린 느낌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극장판 진주인공으로 낙점..











궁금한 내용만 긁어옴 원문 볼 게이는 ->



http://ringaia.blog.fc2.com/blog-category-3.html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43

고정닉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 AD [SAZO] 메루카리 쇼핑은 무료배송으로! 운영자 25/11/18 - -
- AD 심심한 사람! 방송보러 오세요~!! 운영자 25/10/24 - -
266993 공지 신문고 [5] ㅇㅇ(211.234) 25.01.16 577 0
246049 공지 < 슬램덩크 갤러리 공지 > [1] 미음니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2 3689 24
245510 공지 슬램덩크 갤러리 정보글 모음 (통합) [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3951 64
268993 자유 SBS 더빙판 어디서 구할수 있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7 0
268989 자유 근데 백호 호열이 대햐는거보면 각별하긴한듯 ㅇㅇ(110.15) 11.18 75 1
268988 자유 김판석은 2년 뒤 최종보스 아닌가? [12] 슬붕이(110.10) 11.16 205 1
268987 자유 태웅이의 공격 열정 [1] 슬붕이(220.125) 11.16 127 4
268986 자유 철이는 걍 몸만 좋은 놈 맞지? ㅇㅇ(223.39) 11.16 66 0
268985 자유 서태웅이 양호열보다 싸움 순위 낮은게 충격임. 아니다(58.232) 11.16 119 1
268984 자유 근데 대영이 우승했더라도 [13]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6 141 0
268983 자유 원래 일본 학원 조폭 만화가 입학해서 졸업할때까지가 기본임 [3] ㅇㅇ(59.9) 11.15 114 0
268981 자유 양호열이 농구멤버가 될 뻔 했던 킹리적 의심 [6] 슬붕이(221.142) 11.15 179 0
268979 자유 텐핏 내한 예매 ㄱㄱ [2] 슬붕이(211.36) 11.14 166 7
268978 자유 북산에서 거품이 채치수고 저평가된게 송태섭인듯 [16] ㅇㅇ(222.118) 11.14 270 0
268977 자유 만약에 [2] 슬붕이(211.219) 11.13 71 0
268976 자유 나이먹으니까 서러운 점.. [3] 타미(218.152) 11.12 171 0
268975 자유 2 부가 나왔으면 [5] 불꽃남자미츠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 175 1
268974 자유 이거 살 사람있냐 슬붕이(58.123) 11.11 223 0
268973 자유 윤대협 진짜 전국대회 나갈듯 [6]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269 0
268972 자유 지학의 별 마성지 [3] 마성지(223.118) 11.10 200 0
268971 자유 근데 3학년 황금세대 아니냐? [1]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9 134 0
268970 자유 1년 후 해남 조합은 뭘까? [1] 슬붕이(175.114) 11.09 94 0
268967 자유 만화 뭘로사야하나요 [7] 슬붕이(211.49) 11.08 185 0
268966 굿즈 이노우에 뱃지점 트럼프카드 도착♤♡◇♧ [7] 슬붕이(1.234) 11.07 454 20
268965 자유 슬램덩크 30주년 중국 공식 굿즈라는데 맞음? [2] 슬붕이(1.225) 11.07 334 0
268963 정보 슬램덩크 정확한 배경년도 올려.. [5] 냥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293 3
268962 자유 친구랑 슬덩 캐릭터 밴픽 스쿼드내기 했는데 누가이김? [4] 공유빈X에이나(58.145) 11.07 147 0
268961 자유 질문 [1] 슬붕이(175.211) 11.06 86 0
268960 자유 서태웅도 곧장 유학가려나 [4]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63 0
268957 자유 1년후 북산은 1학년이 관건이네 [5]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83 0
268956 자유 카이난은 걱정하지 않아도 됨 [2] ㅇㅇㅇ(222.107) 11.06 154 0
268955 자유 다들 슬덩 몇번 정독했음? [5] 우월한전략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54 0
268954 자유 양호열도 농구하면 안되냐 [8]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97 0
268953 자유 if 1 년후 전호장은 엄청나게 성장할것 같아요 네오보수구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94 0
268952 창작 서태웅 그려봤어 [2] NBMB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74 4
268951 자유 만약 1년후 스토리가 전개된다면 [10]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34 2
268950 자유 10-feet 내한한다 [4] 슬붕이(58.151) 11.05 272 8
268949 자유 해남이 1년만에 다시 강해지는 스토리 [3]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0 0
268948 자유 북산 후보가 구린 게 그렇게 단점은 아니였던 거 같음 [2]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41 0
268947 자유 산왕 애들 캐디가 너무 아쉽긴함 [1] ㅇㅇ(219.248) 11.05 166 3
268946 자유 채치수가 3학년 센터중에서는 2등 임 ? [5] 슬붕이(175.112) 11.04 168 0
268945 자유 공백없는 정대만 피지컬은 [3] 락스락스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226 0
268944 자유 토에이샵에서 직구가 됨? [3] 지나가는나그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214 0
268943 자유 나 피규어 직구 첨 해봤는데 교훈 얻었다... [6] 냥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44 2
268942 자유 신준섭 VS 남훈 누가 위 ? [8] 슬붕이(175.112) 11.03 197 0
268941 자유 시합중 정대만 수비력이 가끔 자동문이 되버리는 이유는 [3] 슬붕이(222.112) 11.03 178 0
268940 자유 송태섭은 정대만 기억함? [3] ㄴㅋ(58.148) 11.03 187 0
268939 자유 나는 풍전에 감정이입하는 애들이 1도 이해 안됨 [7] 슬붕이(59.26) 11.02 278 1
268938 자유 안감독이 송태섭=감성, 정대만=지성이라고 한 이유가 뭘까? [10] 슬붕이(183.96) 11.02 242 1
268937 자유 정우성이 미친놈인 게 존프레스도 보면 지가 다 함 [2] ㅇㅇ(211.223) 11.02 197 0
268936 굿즈 새로 출시된 피규어 구입 [17] 아오타타츠히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2 820 57
268935 자유 이명헌은 정통파 PG [3] 네오보수구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2 190 0
268934 자유 카이난전에서 아카기한테 부상입힌건 [1] ㅇㅇㅇ(222.107) 11.02 11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