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난해 전공의 월급 평균 397만원...25만원 올랐다

oo(122.44) 2024.04.27 15:21:22
조회 250 추천 2 댓글 0

 

지난해 전공의 월급 평균 397만원...25만원 올랐다 

대전협, 2022년 전공의 실태조사 결과 공개...42%, 코로나 업무 보상
당직수당, 시간 비례로 받는다...연차 높을수록 교육 만족도 낮아

2023-01-30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

 

지난해 인턴과 레지던트 월급은 평균 397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보다 25만원 더 오른 액수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해 11월 16일부터 12월 14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전공의 1만3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2022년 전국 전공의 수련 실태조사 결과를 30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설문조사에는 전체 대상의 14.8%인 1984명이 참여했다.

대전협은 전공의실태조사개편위원회를 꾸리고 '병원평가'라는 이름으로 해마다 실시하던 설문조사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결과를 도출했다. 결과도 수련환경에 초점을 맞춰 구체적인 결과에도 병원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

설문조사에는 인턴이 가장 많이(26.2%) 참여했고 레지던트 3년차(22.6%), 레지던트 2년차(19.2%) 순이었다. 수련 중인 전공의 수를 기준으로 수련병원은 크게 4개 그룹으로 구분됐다. 🔼전공의 500명 이상 대형병원 🔼전공의 500명 이내 200명 이상 중대형병원 🔼전공의 200명 이내 100명 이상 중소형병원 🔼전공의 100명 미만 소형병원이었다. 이 중 중소형병원에 근무하는 전공의가 34.5%로 제일 많았고 대형병원 27.4%, 중대형병원 20.5%, 소형병원 11.8% 순서로 나타났다.

1675046292.jpg2022년 전공의 연차별 월평균 급여(단위: 만원)

전공의들은 지난해 월평균 397만9000원의 급여를 받았다. 이는 전년도 372만원 보다 25만원 더 큰 금액이다.

레지던트 2년차가 403만원으로 가장 많이 받고 있었고 인턴이 392만원으로 제일 낮았다. 전공 진료과별로도 급여에 차이가 있었는데 흉부외과 전공의가 604만원으로 가장 많은 급여를 받고 있었고, 외과 전공의도 512만원으로 전체 평균 보다 눈에 띄게 높았다. 기피과로 전락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의 급여는 403만원 수준이었다.

가정의학과(367만원), 방사선종양학화(380만원), 병리과(363만원), 신경과(396만원), 안과(395만원), 영상의학과(380만원), 예방의학과(320만원), 재활의학과(374만원), 정신건강의학과(362만원), 직업환경의학과(355만원), 진단검사의학과(393만원), 피부과(386만원) 등 12개 진료과 급여는 평균을 밑돌았다.

종별로 보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록 급여가 높았다. 대형병원 평균 급여는 388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면 중대형병원은 402만원, 중소형병원은 408만원이었다. 전공의 숫자가 99명 미만인 소형병원의 평균 급여도 388만원 수준이었다. 이들 급여는 모두 전년 보다 오른 금액이다. 대형병원은 2021년 보다 14만원 올랐고, 소형병원은 33만원이나 오른 액수다. 특히 소형병원은 코로나19 여파로 2021년에는 오히려 급여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지난해 큰폭으로 오른 것.

당직수당은 절반이상인 58.8%가 시간에 비례해 받고 있었으며 21.3%는 고정금액을 받는다고 답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이어졌던 지난해 응답 전공의 2명 중 한 명은 관련 업무에 대한 보상을 받지 않았거나, 받았는지도 모른다고 답했다. 바꿔 말하면 41.9%만이 코로나19 관련 업무 후 보상을 받았다는 소리다.

전공의 교육 만족도는? 10명 중 4명 수련 내용 불만족

인턴 수련까지 더하면 4~5년은 수련을 받고 있는 전공의. 이들은 전공의 교육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 10명 중 단 2명만이 전공의 교육 및 수련에 도움이 되는 업무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이 42.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1675046345.jpg전공의 교육 및 수련 업무 만족도

연차가 높아질 수록 부정적인 응답은 더 커졌다. 인턴은 35%가 전공의 교육 및 수련에 도움 되는 업무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면 레지던트 1년차는 42.4%, 2년차는 46.1%, 3년차는 47.9%가 부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4년차에서 다소 줄긴 했지만 그럼에도 45.3%를 기록했다.

같은 맥락에서 전문의의 지도 및 감독 수준에 대해서도 절반에 가까운 45.5%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전문의 지도 및 감독 아래 환자에 대한 술기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는 것. 특히 당직근무 중 환자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절반이 넘는 48.6%가 전문의에게 적절한 자문을 구할 수 없었다고 했다.

대전협 강민구 회장은 "실태조사 결과는 수련병원 이름을 비롯한 개인정보를 삭제해 개인 특정 가능성에 대한 위험은 원천적으로 배제한 후 연구 목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라며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전공의 수련환경의 현재를 파악하고 이어 연속근무 제도 개선, 전담전문의 추가 채용 등 수련환경 개선 요구의 기반이 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51809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32 의사 수 부족 진실은?…인구 4.6% 늘 때 전문의 40.8%나 급증 ㅇㅇ(122.44) 05.27 45 6
131 지난 20년간 의사 수 7만5천명 증가…진료비 72조↑ OO(122.44) 05.27 28 6
130 전공의 파업 사태로 최대의 피해자들은 아마 2재류오의전방압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95 0
129 재판 과정에 밝혀진 의대 증원의 속살 oo(122.44) 05.15 125 15
128 전공의주빈 으 역겨워 전갤러(112.165) 05.08 55 1
127 스픠커 하나만 글싸고 좌표찍어서 추천만 박고 튀노 ㅋㅋ 전갤러(106.101) 05.04 40 0
126 의대정원 늘리기, 왜 의사 집단 잉여, 산업파탄 만드는 정책인가? oo(122.44) 04.30 114 24
125 전공의들은 대부분 최저시급을 받아왔다. 전공의를 얼마나 부려 먹은 걸까 oo(122.44) 04.28 132 24
지난해 전공의 월급 평균 397만원...25만원 올랐다 oo(122.44) 04.27 250 2
123 이번 전공의 파업 사태로 오구오구오구(1.249) 04.27 78 0
122 우리나라 의료계가 살아가는 원리, 낮은 수가에 병원 '박리다매' 고육책 ㅇㅇ(122.44) 04.23 134 34
121 대학병원 문 닫으면 정권도 문 닫는다?! ㅇㅇ(122.44) 04.21 135 31
120 세계의사회, 한국 정부 작심비판 편집증적 불신…충격적 ㅇㅇ(122.44) 04.20 145 32
119 진정한 의료 개혁은 보건복지부에서 시작해야 ㅇㅇ(122.44) 04.20 110 31
118 1시간 만에 끝난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보건의료정책심의위 ㅇㅇ(122.44) 04.19 172 28
117 정부가 강행하고, 의사들이 반대했던 의료정책들 모두 어떻게 됐을까?? ㅇㅇ(122.44) 04.16 121 38
116 개명 필수 글자 리스트 ㅇㅇ(117.111) 04.14 66 0
115 2024 의료대란, 정부가 실패하는 8가지 이유 [1] 용산발 의료농단(122.44) 04.08 311 42
114 주갤펌)) 의대증원 문제 상세한 설명.txt [2] 전갤러(218.38) 04.07 300 15
113 좌파 vs 우파 차이 (feat. 개념글) 대검찰청좌파1부(223.39) 04.07 129 1
112 펌글) 의료현안협의체 의대증원 관련글 용산발 의료농단(122.44) 04.06 174 32
111 대화하자면서 의사 카르텔 직격한 윤 대통령 의사 카르텔?(122.44) 04.05 160 31
110 박단이 의대 2천명 증원에 대한 정당성만 부여함. 탄핵해야 할 듯 전갤러(223.39) 04.05 130 5
109 전공의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가 알던 의료는 끝났다 ㅇㅇ(122.44) 04.04 159 24
108 "2,000명 증원은 불변, 확인"…의정 대화 이어갈지 논의 ㅇㅇ(122.44) 04.04 95 23
107 의사들 단톡방 캡쳐.jpg [3] 전갤러(106.101) 04.04 237 0
106 ★★전공의 예측 가능 시나리오 [3] 전갤러(223.39) 04.04 180 2
105 규모 논의할 수 있단 정부, 말로만? "배정부터 중지해야" ㅇㅇ(122.44) 04.03 92 25
104 🌑🌑🌑🌑전공의들 의대증원타협 조언해준다🌑🌑🌑🌑 [3] 전갤러(223.39) 04.03 389 22
103 대한민국 의료 금자탑 무너지는데 고작 한달 반 푸도(122.44) 04.01 179 29
102 ILO, 대전협 전공의 대표 자격 인정…의협 "노동부 대국민 사기극"확인 국제노동기구(122.44) 03.30 137 30
101 필수의료정책패키지 이해하기 | 이화여자대학교 의학교육학교실 권복규 교수님 투비닥터(122.44) 03.29 116 31
100 저수가·대학병원 쏠림 선결이 우선…의대증원은 한국 의료시스템 붕괴 초래 바른의료연구소(122.44) 03.28 152 30
99 펌] 전공의 여러분 절대로 타협하지 마십시요. [1] 민주주의 수호(122.44) 03.27 341 36
98 전공의 사직서 내분들 뭐함 [2] 09(121.172) 03.27 157 3
97 전공의기존3000에 2000플러스는 ㅇㅇ(106.101) 03.27 61 0
96 "깊은 한숨만 나옵니다" - 정지태 고려대 명예교수 전대한의학회장(122.44) 03.25 168 33
95 의대증원 어케봐야할까 ㅡㅡ 아플까무셔(125.177) 03.24 63 1
94 마이쮸 맛있음 ㅇㅇ 시필리스(112.219) 03.24 26 0
93 의대 2천명 강행에 의료현장 지켜온 의대교수들 줄사직 용산발 의료대란(122.44) 03.22 144 30
92 정부가 필수·지역의료·의학교육 파괴하고 있다 - 대한의학회·26개 전문과 대한의학회(122.44) 03.21 129 31
91 "수도권 의대증원 1위" 가천대 발 빠른 홍보에 의료계 '눈살' 40 ㅇㅇ(211.202) 03.21 79 0
90 메디컬 窓] 의사 늘리면 필수의료 살아날까 낙수과(122.44) 03.20 119 32
89 눈덩이 적자에 휘청이는 '빅5'...전공의 의존의 '민낯' 전공의 착취(122.44) 03.17 161 37
88 의협 전 회장 "이건 '의대증원 게이트'…尹 레임덕 반드시 온다" 용산발 의료대란(122.44) 03.17 133 34
87 전공의 돌아와도 필수의료 사망, 응급실 뺑뺑이 심해질 것 용산발 의료대란(122.44) 03.17 126 32
86 필수의료를 전공과목으로 지원할 의사 급격히 감소 용산발 의료대란(122.44) 03.15 131 33
85 사직전공의 의료기관 평생 개설 개업 불가능 [1] (118.235) 03.15 114 0
84 빅4병원 매출적자를 사직전공의에게 구상권행사 및 손배소송 예정 (118.235) 03.15 67 0
83 의료대란 주범은 대한민국 행정부다 용산발 의료대란(122.44) 03.14 132 35
12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