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 메랍 드발리쉬빌리(33∙조지아)가 UFC 밴텀급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발렌티나 셰브첸코(36∙키르기스스탄/페루)는 알렉사 그라소(31∙멕시코)를 제압하고 1년 반 만에 UFC 여성 플라이급 챔피언 자리에 복귀했다. 지난 15일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리야드 시즌 노체 UFC 306: 오말리 vs 드발리쉬빌리'에서 두 선수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드발리쉬빌리, 오말리 꺾고 밴텀급 정상 등극
메인 이벤트 밴텀급 타이틀전에서 드발리쉬빌리(18승 4패)는 챔피언 션 오말리(29∙미국)를 만장일치 판정승(49-46, 48-47, 48-47)으로 제압하며 새로운 밴텀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드발리쉬빌리는 오말리의 강력한 타격을 완벽히 회피하고, 그를 상대로 레슬링 전략을 펼치며 6번의 테이크다운에 성공했다. 특히 10여 분 동안 유리한 포지션에서 경기를 컨트롤하며 일방적인 승리를 거뒀다.
드발리쉬빌리는 마지막 5라운드에서 오말리의 강력한 복부 공격에도 불구하고 침착하게 대응하며 다시 테이크다운을 성공시키는 등, 철저히 경기의 흐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는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며 챔피언이 된 소감을 전했다. 또한, "오말리가 뛰어난 선수임을 알았지만, 그를 평범하게 보이게 만들었다"며 자신의 압도적인 경기력을 강조했다.
그는 다음 상대에 대해 랭킹 2위 우마르 누르마고메도프(28∙러시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며, 대신 전 플라이급 챔피언이자 밴텀급 랭킹 5위인 데이비슨 피게레도(36∙브라질)와의 대결을 원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서 드발리쉬빌리는 "누르마고메도프는 톱15 랭커 중 오직 한 명을 이겼을 뿐"이라며 피게레도와의 대결이 더 흥미롭고 적절하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셰브첸코, 압도적 경기력으로 그라소 제압
코메인 이벤트에서는 '불렛' 발렌티나 셰브첸코(24승 1무 4패)가 알렉사 그라소를 만장일치 판정(50-45, 50-45, 50-45)으로 꺾고 여성 플라이급 타이틀을 되찾았다. 셰브첸코는 9연승을 이어가다 지난해 3월 그라소에게 서브미션으로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이어 9월에 다시 그라소와 맞붙었지만, 무승부로 아쉽게 타이틀을 놓쳤다.
이번 경기에서 셰브첸코는 그라소를 상대로 완벽한 레슬링 전략을 펼치며 8번의 테이크다운에 성공했다. 경기 시간 16분 4초를 유리한 포지션에서 컨트롤하며, 지난 두 경기에서 보여준 타격전에서도 더 많은 유효타를 기록했다. 셰브첸코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정말 엄청난 기분이다. 스피어에서 경기했다는 게 마치 꿈만 같다"고 승리의 기쁨을 표현했다. 또한, 그는 그라소와의 4차전 가능성을 배제하며 새로운 상대와의 대결을 원한다고 밝혔다.
라스베이거스 스피어, 역사적인 UFC 첫 경기
이번 '리야드 시즌 노체 UFC 306: 오말리 vs 드발리쉬빌리'는 라스베이거스의 새로운 랜드마크인 스피어에서 열린 첫 스포츠 대회였다. UFC는 유명 아티스트들과 협업해 내외부 LED 스크린으로 화려한 연출을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UFC와 스피어 역사상 최고 수준인 2200만 달러(약 290억 원)의 입장 수입을 기록했다. 스피어의 압도적인 무대와 함께 펼쳐진 이 대회는 앞으로 UFC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말리는 이번 패배로 슈퍼스타로 도약하려던 계획에 제동이 걸렸지만, 그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많은 걸 약속했지만 지키지 못해 미안하다"며 재기를 다짐했다.
이처럼 드발리쉬빌리와 셰브첸코는 이번 대회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챔피언과 복귀한 챔피언의 모습을 보여줬다. 앞으로 UFC 밴텀급과 플라이급의 새로운 판도가 어떻게 전개될지 팬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