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뉴스줌인] 갤럭시 S24 FE 출시, 성능∙가격 모두 좋은데 무게가 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1.04 23:13:13
조회 2838 추천 0 댓글 12
[IT동아 김영우 기자] 본지 편집부에는 하루에만 수십 건을 넘는 보도자료가 온다. 대부분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 출시 관련 소식이다. 편집부는 이 중에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 몇 개를 추려 기사화한다. 다만, 기업에서 보내준 보도자료 원문에는 전문 용어, 혹은 해당 기업에서만 쓰는 독자적인 용어가 다수 포함되기 마련이다. 이런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 본지는 보도자료를 해설하는 기획 기사인 '뉴스줌인'을 준비했다.

출처: 삼성전자(2024년 11월 1일)
제목: 삼성전자, '갤럭시 S24 FE' 국내 출시



삼성 갤럭시 S24 FE / 출처=삼성전자



요약: 삼성전자가 '갤럭시 S24 FE'를 국내에 출시했다. 갤럭시 S24 시리즈의 디자인 헤리티지를 계승했으며 ‘갤럭시 AI’ 기능도 담았다. AI 기반의 촬영 및 편집 기능을 통해 전문가급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작(갤럭시 S23 FE) 대비 2배 빨라진 '엑시노스 2400e' 칩셋과 1.1배 더 커진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를 탑재한 것도 특징이다. 그 외에 약 170.1mm(6.7형)의 다이내믹 아몰레드(AMOLED) 2X 디스플레이와 4,7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했다. 색상은 그라파이트, 그레이, 블루, 옐로우로 출시된다. 출고가는 94만 6000원이다.

해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제품 중에는 제품명 끝에 ‘FE’가 달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팬 에디션(Fan Edition)’의 약자로, 기존에 나온 제품의 파생형 모델이다. 실제로 ‘갤럭시 노트7’, ‘갤럭시 S20’, ‘갤럭시 S23’, 갤럭시 S24’ 등의 FE 모델이 출시된 바 있다. 원본 모델의 결함을 수정해서 나온 갤럭시 노트7의 FE 모델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기본모델의 일부 기능이나 성능을 조정하고 가격을 약간 낮춰 ‘가성비’를 강조하는 제품으로 출시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출시된 ‘갤럭시 S24 FE’의 경우 기본적인 디자인은 기존 갤럭시 S24 시리즈와 유사하다. 특히 화면 크기가 갤럭시 S24+(6.7인치)와 동일해서 얼핏 보면 같은 기종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다만, 제품 무게의 경우, 동일한 화면 크기인 갤럭시 S24+(199g) 보다 무거운 213g이며, 화면 주변의 베젤 너비도 약간 더 넓고 두께 역시 갤럭시 S24+(7.7mm) 보다 약간 더 두꺼운 8.0mm다. 때문에 휴대성은 약간 더 떨어진다.

그리고 갤럭시 S24 FE에 탑재된 삼성 엑시노스 2400e 프로세서의 경우, 갤럭시 S24/S24+에 탑재되는 엑시노스 2400 프로세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동작 속도가 약간 낮다. 그리고 갤럭시 S24 FE의 램(RAM) 용량은 8GB로 갤럭시 S24(8GB)와 동일하고 갤럭시 S24+(12GB) 보다는 적다. 프로세서 속도가 높을수록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램 용량이 크면 덩치가 큰 콘텐츠를 불러오거나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할 때 유리하다.

카메라는 후면 기준으로 광각(5000만 화소), 망원(800만 화소), 초광각(1200만 화소) 3개로 구성되었고 망원 카메라는 광학 3배 줌을 지원한다. 갤럭시 S24 보다는 약간 낮은 스펙이며 전작인 갤럭시 S23 FE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대신 AI 기반의 카메라 보정 기술인 '프로비주얼 엔진(ProVisual Engine)'을 탑재하고 있다. 저조도 환경에서의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나이토그래피(Nightography)' 기능, 그리고 향상된 이미지 신호 프로세싱 기능이 적용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갤럭시 AI의 요소 중 하나인 '포토 어시스트'를 통해 '생성형 편집', '인물사진 스튜디오' 등의 향상된 사진 편집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삼성 갤럭시 S24 FE / 출처=삼성전자



그 외에 눈에 띄는 요소는 전작인 갤럭시 S23 FE 대비 1.1배 더 커진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를 탑재한 점이다. 이는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에 냉매를 넣어 구성한 열 전도체로, 시스템의 열을 분산 및 배출해 온도를 낮추는 데 효과를 볼 수 있는 구성품이다.

우수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어도 냉각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체감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데, 갤럭시 S24 FE은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한층 향상된 베이퍼 챔버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1, S22 시리즈의 미흡한 열 관리 능력 때문에 많은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 때문에 갤럭시 S23 시리즈부터 냉각 능력을 크게 강화했으며 갤럭시 S24 FE 역시 이러한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출고가는 94만 6000원인데, 이는 115만 5000원인 갤럭시 S24, 그리고 135만 3000원인 갤럭시 S24+ 대비 각각 20만원, 40만원 정도 저렴한 가격이다. 화면 크기 자체는 갤럭시 S24+와 동일하기 때문에 큰 화면을 중시한다면 갤럭시 S24 FE를 선택하는 것이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정리하자면, 갤럭시 S24 FE는 갤럭시 S24 시리즈의 주요 기능을 상단부분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좀더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인 제품이다. 전작인 갤럭시 S23 FE의 경우, 실질적으론 갤럭시 S22에 가까운 성능을 갖추고 있었으나, 갤럭시 S24 FE는 일반 갤럭시 S24 대비 격차가 상당부분 줄어들었다.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가까운 이용 감각을 얻고자 한다면 좋은 선택이다. 다만, 갤럭시 S24/S24+ 대비 확연히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갤럭시 스마트폰 바탕 화면·앱·폴더 활용 한 눈에▶ Arm, "토탈 디자인 1주년··· 파트너사와 한국 AI 반도체 생태계 강화"▶ [뉴스줌인] SKT가 5G 기지국에 도입한 AI 기술이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구, 시축 했다가 이미지가 더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8/11 - -
5678 성능은 '제법', 실사용은 '글쎄'··· 사용자 평가 엇갈리는 GPT-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5 3 0
5677 [주간투자동향] 퓨리오사AI, 1700억 원 규모 시리즈C 브릿지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8 15 0
5676 가상자산 거래소, 테마 지수·분할 주문 등 ‘거래 편의 기능’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92 0
5675 AI 프로젝트의 80%는 실패, '렛서'가 제시하는 구축·운영의 비책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7710 0
5674 [스타트업-ing] 바이버 “전문가 보증으로 신뢰 높인 명품 시계거래 플랫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14 0
5673 [투자를IT다] 2025년 8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43 0
5672 SKT 에이닷 4.0으로 보는 최근 AI 업계의 추구 방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78 0
5671 [농업이 IT(잇)다] 코트그린 "친환경 코팅기술로 노지 농업 스마트화 실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65 0
567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픽스업헬스 “미국 재활치료 모니터링 시장의 새 기준 만들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09 0
5669 "서울시민도 제주서 책 빌린다" 책이음 하나로 전국 도서관 이용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442 2
5668 [IT애정남] 단톡방 방장이 갑자기 나간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8152 0
5667 [퀀텀 스타트업] 8. '실행'하는 정부가 만드는 양자 경쟁력 우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96 0
5666 성장하는 한국 반도체 스타트업, '서울대 SIPC'의 숨은 노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27 0
5665 최용석 서경대 교수 “K팝 데몬 헌터스, 韓 콘텐츠 산업 성찰 계기 삼아야”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730 1
5664 [리뷰] 360도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DJI 오즈모 36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90 0
5663 [SBA x IT동아] “아내 설거지하는 모습서 영감” 리빙크리에이터, 한국형 이케아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60 0
5662 BMW 수입차 독주 체제 강화…벤츠와 격차 5720대로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28 0
5661 [주간스타트업동향] TEN “한국 포함, 세계 창업 협력 모델 만들고파”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97 0
5660 예금 보호 한도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 어떤 예금이 보호받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58 0
5659 [ETF Q&A] 퇴직연금으로 투자하는 TDF ETF는 무엇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886 0
5658 [리뷰] 존재감 발군의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스트릭스 G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29 0
5657 6년 만에 공개 모델 내놓은 오픈AI, gpt-oss에 깔린 의도는 순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559 0
5656 산불·산사태 신고부터 실시간 정보까지 한눈에…스마트산림재난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56 0
5655 반도체 수출 비중 높은 대한민국, 상호 관세 이어 반도체 품목 관세 파도 넘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50 0
5654 S2W “IPO 딛고 세계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407 0
5653 관세 타결...최악은 피했지만 여전히 과제 남은 車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331 0
5652 닻 올린 '한국형 AI'··· 각 컨소시엄 구성과 목표, 그리고 해외 동향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6562 1
5651 [신차공개] 현대차 ‘더 뉴 아이오닉 6’·’2026 ST1’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82 0
5650 리벨리온, 마벨과 전략적 관계···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로 소버린AI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58 0
5649 궁금한 제품 정보 당장 알고 싶다면? 네이버 ‘스마트렌즈 x AI 브리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33 0
5648 카방 “자동차 이전등록 시 의무보험 가입 필수” 소화기 증정 이벤트 진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26 0
5647 보안이 필요한 중요문서, 안전하게 전송할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04 0
5646 [리뷰] ‘무난히 좋은 노트북’의 미덕, 에이수스 비보북 S16(M3607KA)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0211 2
5645 [생활 속 IT] “범죄 악용 NO” 안전하게 지하철 물품 보관하려면 또타라커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969 1
5644 [투자를IT다] 2025년 7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475 1
5643 [농업이IT(잇)다] 그린씨드 “유통 관리 플랫폼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데이터 기반 농업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37 0
5642 [크립토퀵서치] 거래소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598 1
5641 [리뷰] AI·고연산 처리에 최적,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998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86 0
5640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834 1
563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97 0
5638 [생성 AI 길라잡이] 교사들이 직접 만든 생성 AI 기반 교육 플랫폼 ‘우리 아이(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06 0
5637 “AI 반도체는 GPU 대안 아닌 새로운 방향··· 메모리 접근해 LPU 차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97 0
5636 [스케일업] 릿툰 [1] 도영민 대표 “서비스 시작 전,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구축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72 0
5635 [스케일업] 퍼슬리 [1] 케어닥 “사업의 도구와 본질 구분하고, 성장 단계별 목표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55 0
5634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하이퍼센트 “백룸 시리즈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도전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85 0
5633 [KIDP 울산] 클로이수 “우리의 칠보, 세계인 사로잡을 ‘K럭셔리’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72 0
5632 틱톡 “이용자 신뢰·안전 위해 2조 7600억 원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89 0
5631 [주간스타트업동향] 펴다, 투자 경진대회 '공명전' 최종 우승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5452 0
5630 [스케일업] 우트 [1] 매드해터 "사업 방향은 명확하게, 브랜드·마케팅은 집요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90 0
5629 “비트코인 ETF, 명확한 제도적 기반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352 1
뉴스 美 팝스타 제니퍼 로페즈, 샤넬 매장 출입 거부 수모…왜? 디시트렌드 08.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