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 보행자 안전 위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7.18 18:20:03
조회 9139 추천 3 댓글 19
[IT동아 김동진 기자] 스마트폰만 보면서 걷다가 주변을 살피지 못하는 스몸비족(스마트폰+좀비)이 사고를 유발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각 지자체는 횡단보도 바닥에서 신호 변화를 알리는 바닥형 신호등을 설치해 대응했다. 문제는 설치 후 유지 보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오작동하는 바닥형 신호등이 오히려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술 발전으로 스마트 교통체계는 갈수록 복잡해지지만 인력 부족과 불명확한 유지보수 주체로 인한 관리 소홀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양천구 신정3동에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의 모습 / 출처=IT동아



스쿨존 주변 고장난 바닥형 신호등 방치…아이들 건널 땐 아찔

지난 17일 저녁 서울시 양천구 신정3동에 설치된 바닥형 신호등이 오작동을 일으킨 채 방치 상태로 놓여 있었다. 주변에는 초중고와 학원 등 다수 교육 시설이 있어 일반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보행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양천구 신정3동에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의 모습 / 출처=IT동아



아이들이 신호를 기다리면서 스마트폰을 보는 모습도 포착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일명 ‘스몸비족’이 다수 사고를 유발해 학교 주변으로 바닥형 신호등이 집중 설치됐다. 문제는 설치 후 오랜 시일이 지나면서 여러 기능상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양천구 신정3동에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의 모습 / 출처=IT동아



예컨대 노면에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면 빛 반사로 바닥형 신호등 색깔 구분이 어려운 경우, 제품 위로 수많은 사람과 이륜차가 다니거나, 폭우가 쏟아지는 과정에서 신호등 파손, 오작동 등이 발생한 경우다. 오작동하는 바닥형 신호등은 스마트폰을 보며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를 잘못 안내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개선이 시급하다.

문제는 고장난 바닥형 신호등이 한두 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실제로 신정3동 바닥형 신호등을 비롯해 다수 장비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기능상 개선점을 노출하고 있다.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한 첨단 장비가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는 셈이다.

서울시 감사위원회(이하 서울시 감사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서울 시내에 총 6529열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설치됐다. 감사위가 25개 자치구에 요청해 지난해 10월 기준 고장 내역을 살펴본 결과 152개소가 고장 등으로 불이 꺼져 있었다. 2018년부터 누적 고장 현황을 살펴보면 고장 건수는 6529열 중 1862건으로 약 28.5%에 문제가 나타났다. 1862건 중 1344건은 등기구 소등, 322건은 신호 불일치, 153건은 색상 표출 오작동, 12건은 등기구 파손 사례다.


고장난 채 방치된 서울시 바닥형 보행신호등 사례 / 출처=서울시 감사위원회



바닥형 신호등 내부에 물과 이물질이 침투해 습기가 차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출부 덮개 파손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잦은 고장에도 유지 보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감사위가 확인한 결과 6개 자치구는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하자 검사를 해야 하지만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교통안전 기술개발 기업 관계자는 “3년~4년 전 설치된 바닥형 신호등을 중심으로 주간 시인성 확보의 어려움, 빨간불과 파란불을 동시에 표출하는 쌍불 현상, 주 신호등과 다른 신호를 표출하는 역불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당시 시험성적을 획득한 제품이라도 사계절 내내 가혹한 환경을 예측해 제품 시험이 이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 사람들이 계속 바닥형 신호등을 밟으면서 미세하게 안에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며 갈변이나 균열을 유발한다”며 “이에 바닥형 신호등 내구성을 강화하고 주간 시인성 확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태양광 필터를 적용한 제품이 출시됐다. 관리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신호등 고장이 감지되면 선제적으로 기능을 차단하고 고장 알람을 관리자 휴대폰으로 보내는 기능도 등장했다”고 말했다.

시·자치구 책임 떠넘기기 여전

한편 신정3동에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과 관련해 자치구에 문의하자 담당자는 “관리해야 할 신호 체계 기능과 개수는 점차 늘어나는데 전담 인력은 부족하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유지 관리 주체에 대한 불명확성도 언급했다. 지난 4월 서울시 감사위가 고장난 바닥형 신호등을 지적하며 유지 관리 주체를 명확히 하라고 시에 주문했지만 아직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모습이다.

양천구 교통과 관계자는 “시설물 개수가 많아 매일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민원이 들어올 때 또는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번씩 정기점검을 실시한다. 도로교통법상 서울시 교통시설물은 도로사업소에서 관리하므로 관리 주체 측면에서 애매한 부분도 있다”며 “오작동을 일으키는 바닥형 신호등의 경우 설치 업체와 맺은 하자 보수 기간 3년이 지나서 수리 비용 처리가 어려워 기능을 끄는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오작동하는 바닥형 신호등 해체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양천구 신정3동에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의 모습 / 출처=IT동아



서울시 신호시설팀 관계자는 “지난 4월 서울시 감사위에 지적받은 사항에 대해 후속조치 중"이라며 "양천구 바닥신호등 오작동의 경우도 자치구와 협조해 빠르게 조치하겠다”고 언급했다.

바닥형 신호등 유지보수를 두고 시와 자치구가 책임 소재 불명확으로 대치하는 사이 예산 오용과 안전에 대한 우려는 커진다. 실제로 서울시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바닥형 신호등 사업에 투입한 예산은 458억 원에 달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초중고 학생의 경우 스마트폰을 보며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가 십중팔구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바닥형 신호등이 있다면 그 신호를 따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바닥형 신호등이 오작동하면 사고 가능성도 같이 커진다. 잘못 작동한다면 차라리 바닥형 신호등이 없는 게 낫다”며 “갈수록 다양한 스마트 교통체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 시설 유지보수 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면 차라리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 이미 설치한 바닥형 신호등도 유지 보수가 어려워 해체하는 상황이라면 낭비된 세금은 차치하고 안전을 위해 스마트 교통체계를 도입한 취지 자체가 무색해진다.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경일 법무법인 엘앤엘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는 “바닥형 신호등도 보조장치로서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3에 법적 근거가 마련됐으며 신호체계의 일부분이다. 현재 바닥형 신호등의 잦은 고장과 함께 설치·관리 책임이 불분명해 서울시와 구청 간 혼선이 있다. 최근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유지 관리 주체를 명확히 하라고 주문한 이유”라며 “바닥신호등의 설치·관리 책임은 기본적으로 서울시에 있지만, 실제 유지보수나 사업체 선정 과정에서 자치구가 관여했다면 자치구도 책임이 있다. 바닥형 신호등은 단순 편의제공 시설이 아닌 교통안전시설의 일부다. 이러한 시설물의 고장을 방치해 사고로 이어지면 서울시뿐만 아니라 자치구도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IT동아 김동진 기자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서울시·KIST “퀀텀캠퍼스 2기, 세계 양자기술 사업화 인재 요람으로”▶ 서울 지반 침하 어디서 발생했을까…GPR 탐사지도 확인 방법▶ SBA, 규제해소라운지 개소 ‘규제·애로 해소 위한 열린 소통 공간’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이성 보는 눈 없어서 걱정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0 - -
6101 [신차공개] 볼보트럭, 스톱·스타트 기능 도입·현대차그룹,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5 0
6100 [투자를IT다] 2025년 11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315 0
6099 장성각 충남콘텐츠진흥원 실장 “타임스퀘어 울린 AI 영상, 디지털 창작자와 더 큰 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9 0
6098 누코드 “누구나 쉽게 IoT 제품/서비스 만드는 모듈기반 생태계 구현”[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5 0
6097 SBA, 서울시 출연기관 경영평가 ‘최우수 기관’ 달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6 0
6096 투디에피 “차세대 2D 소재로 반도체 기술 혁신 이끌겠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0 0
6095 네이버 단25, 양대 축 에이전트N과 소버린 AI 2.0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6 0
6094 SBA, 2025 BIXPO서 초격차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밋업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2 0
6093 진보하는 AI 개발자를 위한 자리, '데이원컴퍼니 젠콘 2025' 가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9 0
6092 [스타트업-ing] 마커스 “신개념 접이식 자전거 팝 사이클로 세계인 사로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32 0
6091 프로보틱스 "AI 기술로 K-김 글로벌 경쟁력 높일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7 0
6090 '제조 아이디어를 시제품 구현으로···' 서울과기대 시제품고도화 지원 짚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1 0
6089 디엑스알 “RoV·신스비전으로 제조 공정 자동화 돕는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6 0
6088 이노디테크 '닥터얼라인내비' CES 2026 혁신상 선정···"글로벌 진출 가속화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3 0
6087 부에노컴퍼니 “템플리, 10분 만에 전단 제작…오프라인 매장 홍보 자동화할 것” [부산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9 0
6086 "덕후가 만든 캐릭터 엔터테인먼트 목표" 네스팅, 한국의 디즈니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6 0
6085 오픈마인드 CEO “성장하는 로봇 OS 시장, 폐쇄형 아닌 개방형이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6 0
6084 830만 중소기업 책임지는 중소기업중앙회, 디지털 전환 출발점은 '두레이'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5 0
6083 콘텐츠 자산 체계적인 관리·활용 돕는 ‘텐밀리그램’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7 0
6082 AI 데이터센터 확보 경쟁, 사회적 갈등 극복이 관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6181 1
6081 펫나우 "수출, 기술이전...반려동물 비문인식 성과 속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7 0
6080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키라앤컴퍼니·퍼슬리·포플러플래닛·프론트웍스 “사업 방향을 구체화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9 0
6079 [스케일업] 넥톤·도미노이펙트·릿툰·아틀로·안심하이 “기업 맞춤형 지원이라 유용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5 0
6078 강동구 청년해냄센터·서울창업센터 관악, 연합 IR 개최 “유망 스타트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15 0
6077 인덱스핑거 “맞춤형 직원 찾아주는 AI 기반 채용 중개 플랫폼, 지금알바”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45 0
6076 맞춤형 AI 설계로 돋보이는 기업으로 탈바꿈 돕는 '도둠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36 0
6075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빙크리에이터, 日 돈키호테 입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8 0
6074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183 2
6073 프랜킷 "소모품 수급에서 AI 리뷰 관리까지, 외식업자용 토털 솔루션 노린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7 0
6072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3 0
6071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14 0
6070 넥스트챌린지,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항로 여는 '어라운드 X 코스믹 오디세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34 0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59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214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313 4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28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218 3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33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35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60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56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33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199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44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235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77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68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14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06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885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