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키엘연구원 "AR 3D HUD 화질 저하 막고 고품질 제품 양산 도울 국제표준 개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12 17:18:02
조회 3204 추천 0 댓글 1
[IT동아 김동진 기자] '헤드업 디스플레이(이하 HUD)'는 차량의 주행 안전을 확보할 핵심 기술로 꼽힌다. 주행 정보를 전방 유리에 투사, 운전자 시선 분산을 막는 덕분이다. 나아가 HUD는 현실 공간에 3D 콘텐츠를 겹쳐 보여주는 증강현실(AR) 3D HUD로 진화, 실제 도로 위에 다양한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식으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돕는다.

그런데, AR 3D HUD의 화질과 기능을 평가하는 국제 표준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3D 디스플레이의 특성과 기술 모두 복잡한 탓에 표준화된 측정 방식을 고안하기 어려워서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연구기관 키엘연구원이 3D 디스플레이 화질 저하를 일으키는 얼룩(Moire) 유무를 측정할 방법을 포함, AR 3D HUD의 화질 특성에 대한 국제 표준을 만들어 주목받는다.


AR 3D HUD 구현 원리 및 활용 이미지 / 출처=교세라



2022년, AR 3D HUD 광학성능 측정법에 대한 국제 표준 개발…제품 상용화 기반 마련

키엘연구원은 1999년 산업통상자원부와 조명기업조합의 공동 출자로 설립된 국내 유일의 조명 분야 전문 연구기관이다. ▲광·에너지 융복합 연구·시험 전문기관 ▲그린에너지 및 탄소저감 기술 개발 ▲ICT융합 빛환경 솔루션 기술 개발 ▲멀티미디어·무선·가정용 기기의 전자파적합성 및 무선인증 ▲조명·가전·전자기기에 대한 에너지효율, 안전인증, 신뢰성 시험 ▲북미 에너지 스타트(Energy Start) 및 DLC·UL·TUV-SUD 등 해외시험·인증 서비스를 기업에 제공해 왔다. 국내 제1호 빛 공해 검사기관으로 지정, 전국 지자체와 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빛 공해를 측정·분석해 쾌적한 빛 환경 조성도 추진한다.


키엘연구원 비전 / 출처=키엘연구원



키엘연구원은 현실 공간에 3D 콘텐츠를 겹쳐 보여주는 증강현실(AR) 3D HUD에 대한 국제표준을 주도, 상용화와 고품질 제품 양산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일례로 키엘연구원은 2022년 'AR 3D HUD 광학성능 측정법'의 국제 표준을 개발했다.

기존 2D HUD는 운전석 전방 수 미터 앞에 가상의 영상면을 만들어 숫자나 방향을 표시했다. 이러면 운전자는 전방에 있는 실제 사물과 2D HUD의 영상면을 번갈아 봐야 하고, 자연스레 눈이 피곤해진다.

반면, AR 3D HUD는 영상면을 최대 100m 거리 앞에 투사한다. 더 먼 거리에 영상면을 만드니 시청 각도가 넓어지고, 전방에 있는 실제 사물과 영상면을 나란히 보므로 눈이 덜 피곤하다.


기존 2D HUD와 달리 실제 사물과 HUD 영상이 일치해 시청 피로가 적은 AR 3D HUD / 출처=키엘연구원



다만 AR 3D HUD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실제 환경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더할 때 위치, 시청각 등에 왜곡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조건을 측정할 표준은 없었다. 국제 표준은 2D HUD 측정 방법만 규정했다.

키엘연구원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과 함께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국가기술표준원의 지원을 받아 AR 3D HUD가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와 색, 시청각, 3차원 공간상 위치와 왜곡 정도에 해당하는 광학 물리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해당 측정법으로 2022년 11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국제 표준(IEC 62629-62-11)을 획득하는 성과를 올렸다.


인접 차로의 주행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더 먼 거리에서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AR HUD / 출처=텍사스 인스트루먼트



2025년, AR 3D HUD 화질 특성 측정방법에 대한 국제 표준 개발…동일한 품질의 제품 양산 유도

키엘연구원은 AR 3D HUD 광학성능 측정법 개발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 사업의 일환으로 'AR 3D HUD 화질 특성 측정법'을 숙명여대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 성과로 2025년 6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표준(IEC 62629-62-12)을 획득하는 성과를 올렸다.


화질 특성 중 주행 환경 변화에 따라 AR 영상의 대비감과 색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 출처=키엘연구원



키엘연구원이 개발한 AR 3D HUD 화질 특성 측정법은 이중창 구조인 자동차 전면 유리 앞뒤로 HUD를 비췄을 때 글씨가 마치 두 개인 것처럼 보이는 고스트이미지 현상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물체 하나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볼 때 높이가 다르게 나오는 것, HUD 광학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는 방법, 주야간 환경변화에 따른 대비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했다.


고스트이미지 현상 사례 / 출처=키엘연구원



이 성과는 AR 3D HUD 분야에서 자동차 주행환경 변화에 따른 AR 영상의 대비감 및 색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첫 번째 국제표준이어서 의미를 더한다. 자동차 부품 및 완성차 기업이 생산하는 AR 3D HUD 제품의 객관적 평가 검증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주목받았다. 전장부품 개발, 제조사가 향후 몇 년 내 글로벌 자동차 기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제품 판매를 시도할 때 키엘연구원이 주도한 국제표준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질저하 일으키는 ‘3D 디스플레이 얼룩(Moire) 측정방법’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중

키엘연구원은 AR 3D HUD 화질 특성 측정법의 국제표준 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지금은 AR 3D HUD의 화질 저하를 막고 일관된 품질의 제품 양산을 도울 '3D 디스플레이 얼룩(Moire) 측정법'의 국제표준(IEC TR 62629-1-4)을 개발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 사업의 일환으로 2023년부터 올해까지 숙명여대와 협업한다. 지난 2024년 IEC TC110 (Electronic Display Technical Committee) 및 WG6 (3D Display Working Group)에서 국제표준개발 주제로 승인받은 후 2026년 출간을 목표로 과업을 추진 중이다.


주기와 각도,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3D 디스플레이 얼룩 패턴 / 출처=키엘연구원



3D 디스플레이 얼룩 측정법의 국제표준 개발이 어려웠던 이유는, 인간 시각 대비감(Human Contrast Sensitivity)에 국제 공감대가 없어서다. 쉽게 말해, 사람의 눈은 제각기 조금씩 다른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동일한 얼룩 측정방법에 대한 합의를 끌어내기 어려웠다. 사람에 따라 눈 특성이 달라 밝고 어두움을 인지하는 정도, 주파수에 따라 얼룩 패턴을 인지하는 정도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도 다양한 얼룩이 발생한다. 3D 디스플레이 기반의 HUD를 만들 때는 2D 패널 위에 다른 렌즈를 덮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때 기존 패널 픽셀의 주기적인 패턴 위에 또 다른 렌즈 어레이의 주기적인 패턴이 겹치면서 3D 디스플레이 특유의 얼룩이 생긴다. 이 얼룩이 사람 눈에 보이는지 여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로 밝기 차이가 나는지 등을 공통 기준으로 측정해야 동일한 품질을 지닌 제품 양산이 가능하다.

운전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AR 3D HUD에 얼룩이 생기면 경우에 따라 정보를 올바로 보지 못해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측정하는 국제표준이 없다면 동일 제품을 두고도 사람 눈의 특성에 따라 얼룩이 보일 수도,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키엘연구원과 숙명여대는 3D 디스플레이의 얼룩 패턴의 반복 특성을 주기(Period), 각도(Angle), 정도(Intensity)의 3가지 양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토대로 AR 3D HUD가 전 세계에 공급될 때 언제 어디서나 고품질을 유지하도록 공급자, 수요자 모두에게 객관적인 측정 데이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키엘연구원 관계자는 “본원이 개발 중인 국제표준은 자동차용 AR 3D HUD의 가상영상 화질 품질 측정 활용에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국제표준을 활용하면 관련 부품기업은 수요처에 국제표준 기반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고, 완성차 기업은 소비자에게 우수한 시인성과 화질의 AR 영상 검증 결과를 마케팅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며 “주행환경과 센싱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해서 주목받는 AR 3D HUD의 광학 및 화질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IEC 국제표준의 추가적인 개정 작업을 위해 연구에 매진 중이다. 2026년 제정 예정인 3D 디스플레이 얼룩 패턴의 측정방법 표준을 포함해 AR 3D HUD 분야의 표준을 우리나라가 주도해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위상을 드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IT동아 김동진 기자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인터뷰] 키엘연구원장 “급격한 산업 지형 변화…광-에너지 융복합으로 대응”▶ 키엘연구원 “광-에너지 융복합 기술 혁신…연구·시험으로 주도할 것”▶ ‘AR 3D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용화...국제표준 획득으로 앞당겨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구, 시축 했다가 이미지가 더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8/11 - -
5683 “이것은 영상인가 게임인가” 구글 지니3가 보여준 파격 행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7 0
5682 [자동차와 法] 사례로 살펴보는 교통사고 법적 진실과 실체적 진실의 차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61 0
키엘연구원 "AR 3D HUD 화질 저하 막고 고품질 제품 양산 도울 국제표준 개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3204 0
568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코르카 "연구자를 위한 AI 동료, 여기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43 0
5679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세무] 스톡옵션 행사하면 세금은 얼마나 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2 79 0
5678 성능은 '제법', 실사용은 '글쎄'··· 사용자 평가 엇갈리는 GPT-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2835 1
5677 [주간투자동향] 퓨리오사AI, 1700억 원 규모 시리즈C 브릿지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5916 0
5676 가상자산 거래소, 테마 지수·분할 주문 등 ‘거래 편의 기능’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356 0
5675 AI 프로젝트의 80%는 실패, '렛서'가 제시하는 구축·운영의 비책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7857 0
5674 [스타트업-ing] 바이버 “전문가 보증으로 신뢰 높인 명품 시계거래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92 0
5673 [투자를IT다] 2025년 8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93 0
5672 SKT 에이닷 4.0으로 보는 최근 AI 업계의 추구 방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27 0
5671 [농업이 IT(잇)다] 코트그린 "친환경 코팅기술로 노지 농업 스마트화 실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14 0
567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픽스업헬스 “미국 재활치료 모니터링 시장의 새 기준 만들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56 0
5669 "서울시민도 제주서 책 빌린다" 책이음 하나로 전국 도서관 이용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502 2
5668 [IT애정남] 단톡방 방장이 갑자기 나간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8267 0
5667 [퀀텀 스타트업] 8. '실행'하는 정부가 만드는 양자 경쟁력 우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27 0
5666 성장하는 한국 반도체 스타트업, '서울대 SIPC'의 숨은 노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64 0
5665 최용석 서경대 교수 “K팝 데몬 헌터스, 韓 콘텐츠 산업 성찰 계기 삼아야”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809 1
5664 [리뷰] 360도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DJI 오즈모 36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23 0
5663 [SBA x IT동아] “아내 설거지하는 모습서 영감” 리빙크리에이터, 한국형 이케아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96 0
5662 BMW 수입차 독주 체제 강화…벤츠와 격차 5720대로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60 0
5661 [주간스타트업동향] TEN “한국 포함, 세계 창업 협력 모델 만들고파”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24 0
5660 예금 보호 한도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 어떤 예금이 보호받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97 0
5659 [ETF Q&A] 퇴직연금으로 투자하는 TDF ETF는 무엇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7068 0
5658 [리뷰] 존재감 발군의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스트릭스 G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62 0
5657 6년 만에 공개 모델 내놓은 오픈AI, gpt-oss에 깔린 의도는 순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610 0
5656 산불·산사태 신고부터 실시간 정보까지 한눈에…스마트산림재난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80 0
5655 반도체 수출 비중 높은 대한민국, 상호 관세 이어 반도체 품목 관세 파도 넘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72 0
5654 S2W “IPO 딛고 세계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458 0
5653 관세 타결...최악은 피했지만 여전히 과제 남은 車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371 0
5652 닻 올린 '한국형 AI'··· 각 컨소시엄 구성과 목표, 그리고 해외 동향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6646 1
5651 [신차공개] 현대차 ‘더 뉴 아이오닉 6’·’2026 ST1’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03 0
5650 리벨리온, 마벨과 전략적 관계···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로 소버린AI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82 0
5649 궁금한 제품 정보 당장 알고 싶다면? 네이버 ‘스마트렌즈 x AI 브리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55 0
5648 카방 “자동차 이전등록 시 의무보험 가입 필수” 소화기 증정 이벤트 진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47 0
5647 보안이 필요한 중요문서, 안전하게 전송할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34 0
5646 [리뷰] ‘무난히 좋은 노트북’의 미덕, 에이수스 비보북 S16(M3607KA)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0383 2
5645 [생활 속 IT] “범죄 악용 NO” 안전하게 지하철 물품 보관하려면 또타라커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990 1
5644 [투자를IT다] 2025년 7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499 1
5643 [농업이IT(잇)다] 그린씨드 “유통 관리 플랫폼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데이터 기반 농업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56 0
5642 [크립토퀵서치] 거래소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664 1
5641 [리뷰] AI·고연산 처리에 최적,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998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408 0
5640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936 1
563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17 0
5638 [생성 AI 길라잡이] 교사들이 직접 만든 생성 AI 기반 교육 플랫폼 ‘우리 아이(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24 0
5637 “AI 반도체는 GPU 대안 아닌 새로운 방향··· 메모리 접근해 LPU 차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15 0
5636 [스케일업] 릿툰 [1] 도영민 대표 “서비스 시작 전,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구축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93 0
5635 [스케일업] 퍼슬리 [1] 케어닥 “사업의 도구와 본질 구분하고, 성장 단계별 목표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74 0
5634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하이퍼센트 “백룸 시리즈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도전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03 0
뉴스 정동원, 박진영과 ‘집대성’ 출연! “신곡 비하인드와 세대 공감 토크” 디시트렌드 08.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