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sf설정) 우주전쟁에 대한 기본개념과 오해 -1-

ㅇㅇ(182.230) 2020.11.01 20:13:10
조회 2886 추천 30 댓글 0
														

출처 : 아이작 아서 - 우주전쟁

https://www.youtube.com/watch?v=xvs_f5MwT04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eca095095115207d46ec1959c16af23f9b041c52bd27e574aaf98553604655bbf


오늘 다룰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은폐


2) 사정거리


3) 무기


4) 방어수단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eca095095115207d46ec1959c16af23f9b041c52bdb2d544cad93513104655bbf


먼저 은폐로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은폐는 매우 단순합니다.


우주에서 은폐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논의는 너무나도 오래되어서 그 누구도 현대 물리학의 법칙을 위배하지 않는 은폐방법을 생각해낼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우주에서 은폐가 아예 불가능하다는 말은 아니지만, 저는 현실적인 은폐방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으며 제가 아는 사람들 중에도 이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eca095095115207d46ec1959c16af23f9b041c52b87715d4efe9c063e04655bbf


모두가 은폐기술을 원합니다.


전투에서 매우 유리하거든요.


전투의 제1법칙은 '적에게서 모습을 숨기는 것'이니까요.


은폐는 의심의 여지없이 전쟁에서 가장 필요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은폐기술을 원하지만 몇몇 이유로 은폐는 불가능합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eca095095115207d46ec1959c16af23f9b041c52bd47e561da69c083e04655bbf


첫째, 우리한테는 자체 엔진이 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우주선의 로켓이라는 것은 낮시간에 도심 광장에서 북과 장구를 치며 확성기로 고함을 지르면서 행진하는 광대 떼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아무리 숨기려고 해도 숨길 수가 없죠.


거대한 폭발 그 자체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eca095095115207d46ec1959c16af23f9b041c52bd07f074ea6cb023404655bbf


현재 우리가 우주 비행에 사용하는 엔진은 태양계 가장자리에 갖다놔도 지금 사용하는 장비들로 탐지해낼 수 있습니다.


SF에 등장하는 거대 우주선이라면 항성간 거리에서도 탐지가 가능합니다.


탐지기가 더 좋아지지 않았다고 가정해도 말이죠.


물론 탐지기술은 점점 더 개선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미 지금 있는 망원경보다 더 크고 좋은 망원경을 만들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단지 제작하는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안하고 있을 뿐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fe7decfec6fe64ae50cc565


둘째는 우주선이 차단하는 빛입니다.


만일 항성과 당신 사이에 무엇인가가 지나간다면 그것은 항성의 빛을 가릴 것입니다.


그리고 우주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항성들이 있지요.


자신이 차단한 빛을 모방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관찰자가 두 명이면 금방 들통이 나니까요.


관찰자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이미 알고 있다면 각 관찰자를 향해 레이저를 쏴서 가짜 별빛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매 순간마다 관찰자들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불가능한 얘기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cb2899fe23de74ae50cc565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해도 여전히 세 번째 문제가 남습니다


바로 우주선에서 나오는 열이죠.


우주선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은 우주선의 온도를 높이며, 열은 오로지 복사를 통해 방출됩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ae78bc8ed3ce04de50cc565


현재 우리는 1광시(약 10억 km) 떨어진 외항성계에서 방출되는 10~20W짜리 신호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몸이 적외선으로 방출하는 열은 이보다 더 많죠.


우주선에 있는 모든 선원들을 냉동시키거나 그냥 선원 없이 컴퓨터만 둬서 최소한의 연산을 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우주선은 상대론적 속도로 이동하는 대형 금속덩어리, 이른바 상대론적 미사일이 되는 셈입니다.


이건 나중에 다루겠지만 쉽게 말해서 큰 총알이나 다름없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8b58bcbe66de719e50cc565


문제는 우주공간이 진짜 진공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항성간 공간의 경우 입방미터당 약 백만 개의 수소원자가 있는데 당신의 우주선은 초당 수억미터의 속도로 날아가고 있죠.


폭이 1미터 밖에 안되는 미사일도 초당 수천조 개의 수소원자와 충돌할 것이며 이로 인해 수백 킬로와트의 복사열을 방출할 것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작은 미사일이라도 대도시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수신기처럼 소음을 내겠죠.


속도가 더 빠르거나 크기가 더 클수록 밝기도 더 커집니다.


게다가 별빛도 차단하겠죠.


짧게 말해서, 현대 물리학을 뛰어넘는 어떤 기술이 개발되지 않는 한 우주공간에서 은폐는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은폐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be48b9aed6db312e50cc565


다른 누군가로 위장을 하거나 적의 탐지망을 교란시키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건 아예 다른 얘기죠.


또 어떤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거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항성 근처의 대형 우주선 엔진은 탐지가 가능하겠지만, 온도가 낮고 아주 작은 미사일은 탐지가 어렵겠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8e38dc9e66fe118e50cc565


다음 주제인 사정거리는 매우 복잡한 성격을 가집니다.


사람들은 종종 레이저 같은 에너지 무기가 최대 사정거리를 가지는 것에 대해 불편을 느낍니다.


레이저라면 영원히 날아가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ae4dcc8ed6de248e50cc565


사실 우주는 아주아주 큰 곳입니다.


따라서 빛이 아주아주 빠른 속도로 이동하긴 하지만, 빛이 목표물에서 당신에게 도달하기까지, 그리고 당신이 쏜 레이저가 목표물에 도달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립니다.


목표물이 똑같은 자리에 계속 있지는 않을 것이며, 움직이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목표물이 얼마나 빨리,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안다면 이건 문제가 안 되겠죠.


어느 방향으로 레이저를 쏴야 되고 레이저가 도달할 쯤에는 목표물이 어디에 있을지 예측 가능하니까요.


그러나 상대방한테 여분의 연료가 있다면 가속을 할 수도 있습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fb08c9ee23ce64ee50cc565


SF에서는 이런 장면을 볼 수 없습니다.


심지어 연료가 무한한 우주선도 가속은 안하더군요.


그러나 우주선의 선장이라면 계속해서 우연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동임을 잘 알 것입니다.


한 방향으로 1분만 추진을 한 다음 우연한 방향으로 다시 추진을 하는 것이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ae1de9fb034e513e50cc565


만일 목표물이 1광분(약 1800만 km) 거리에 있다면 빛이 당신한테 도달하기까지 1분, 다시 되돌아가기까지 1분이 걸리므로, 상대방의 우주선은 2분간 가속을 할 수 있습니다.


가속을 1G만큼만 한다고 가정해도, 우주선은 예상 위치점을 중심으로 반경 70km의 구체 내에 어디든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속을 2G만큼 한다고 가정하면 구체의 반경이 140km로 늘어납니다.


만일 거리가 두배로 늘어나고 가속을 1G로 하면 구체의 반경은 280km가 됩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fe38bcfed68bc48e50cc565


물론 우주선의 폭이 70km라면 별 상관이 없겠죠.


그냥 우주선 중간을 향해 레이저를 쏘면 맞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큰 우주선을 향해 레이저를 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크기가 한 나라만한 우주선의 포격을 맞는 것은 별로 바람직한 전투가 아닐 테니까요.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8e6d9cdb039e04de50cc565


전투의 제1법칙은 '자신보다 더 큰 자와 싸우지 말라'입니다.


사실 공정한 전투라고 해도 그리 좋은 생각은 아닙니다.


따라서 자신보다 더 작은 상대만 골라 싸우는 것이 최선이며, 가능한 한 상대방을 속일 수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


화력의 우위는 의심의 여지 없이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목표물이 크고 가속이 느릴수록 레이저로 맞출 수 있는 사정거리도 늘어납니다.


하지만 큰 우주선이 반드시 느릴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크기가 두 배 큰 우주선은 가속에 연료가 두 배 더 들지만, 연료 저장공간도 두 배가 더 많기 때문이죠.


사실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습니다.


모든 것을 두배 더 늘릴 필요는 없으니까요.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ae78acbe53ab61ee50cc565


우주선의 크기가 두 배 늘어났다고 해서 커피메이커 개수도 두 배 늘릴 필요는 없습니다.


심지어 선원 수가 두 배로 많아졌다고 해도요.


물론 커피메이커가 최소 하나쯤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정신이 제대로 박힌 지휘관이라면 커피를 충분히 마련해두지 않고 전쟁에 나갈리 없겠지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크다는 것이 곧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추가로 다루겠습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1b5dfc2e23fe61ee50cc565


각 무기들마다 서로 다른 최대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사일은 유도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도중에 요격을 당하거나 연료가 떨어지지 않는 한 타격이 보장됩니다.


따라서 우주전쟁에서 사정거리의 개념은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목표물의 특성과 무기 자체의 특성에 따라 좌우됩니다.


이제부터 논의할 무기 주제는 엄청나게 다양한데, 매우 끝내주면서도 과학적으로 현실성이 별로 없는 것들은 제외했습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ce6db9fb13fbc18e50cc565


우주 무기에는 레이저, 메이저, 그래이저, 레일건, 핵무기, 미사일, 운동성 무기, 반물질, 입자빔, 이질적 입자빔, 블랙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점은 무기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지능형 vs 재래식,


광속 vs 아광속,


그리고 공간을 우회할 수 있는 무기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bbb8c9ae035bc4de50cc565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일반적인 총은 아광속 재래식 무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공간을 우회하지도 않습니다.


총알은 반드시 공간 자체와 그 안에 있는 물체를 통해 지나가야 하니까요.


이와 달리 SF소설에 등장하는 순간이동기는 폭탄을 특정 지점에 순간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공간을 우회한다'는 표현은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순간이동을 할 수 있거나, 이동하는 도중 무엇인가에 의해 약해지거나 방해받을 걱정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장갑을 뚫고 들어가는 철갑탄처럼 말이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bb68e9fed3fb44ae50cc565


참고로 총열의 경우 우주 진공일 때와 공기 중일 때의 역할이 확연히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총열 내 강선은 주로 총알을 회전시키고 공기 중에서의 비행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우주 무기에 있는 긴 총열은 그저 발사체 가속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걸 여기서 언급하는 이유는, 우리가 우주전쟁에 대해 얘기할 때 에너지 무기가 아닌 것들은 모두 지능형 무기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db0dd9ee63de648e50cc565


오늘날 우리는 강력한 컴퓨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총알 각각에 유도시스템을 넣는 것은 매우 좋은 생각처럼 보입니다.


사실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가속도를 견뎌내는 전자회로는 지금도 제작이 가능하지만, 문제는 철이나 우라늄 덩어리가 견뎌내는 가속도를 견뎌낼 수준은 아직 아니라는데 있습니다.


따라서 지능형 무기가 더 높은 가속을 견뎌낼 수 있는 시대가 오더라도 지능형 무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재래식 무기를 항상 비축해 두어야 합니다.


이는 더 짧은 길이의 총열에 더 빠른 반응시간을 의미합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bb4dfc2e768b64ee50cc565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디에 있든지 간에 당신은 지능형 무기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레이저의 경우 속도가 가장 빠른 무기이긴 합니다만 지능형으로 만들수는 없죠.


또한 우리는 모든 발사체가 탄두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이것은 우리가 가정하는 속도에 따라 좌우됩니다.


아주아주 빠른 무기들은 화학적 폭발물을 장착해도 별 소용이 없습니다.


그 자체로 동일한 무게의 폭발물에 들어있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운동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이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be3d69ee63ce74ee50cc565


상대론적 발사체, 즉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가는 물체는 핵탄두를 달아도 큰 효과가 없습니다.


이미 그 자체만으로 반물질과 맞먹는 에너지를 가지거든요.


반물질의 에너지 효율이 생소한 사람들을 위해 예를 들자면, 약간의 반물질이 들어있는 일반 총알은 핵폭탄처럼 터질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쏠 때마다 핵폭탄이 나가는 권총 또는 소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폭발 영향권에 당신도 들어갈 것이므로 더 작은 총알에 더 적은 양의 반물질을 넣는 편이 현명하겠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de0dccab03ce718e50cc565


그러나 망치로 때려도 손상만 입을 뿐 폭발하지는 않는 핵폭탄과 달리 반물질은 그 정반대입니다.


점화를 시키는데 복잡한 과정이 필요없죠.


오히려 점화를 막는 것이 더 힘든 일입니다.


왜냐하면 일반물질과 닿는 순간 폭발하니까요.


반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기병이 종종 거론됩니다만, 자기병은 높은 가속도를 견뎌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총알의 경우 수천 G를 견뎌내며, 단순히 지면에서 튀어오르는 것만 해도 1G는 훨씬 넘겠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fb1d6cab635b44fe50cc565


따라서 반물질은 완벽한 폭발물이자 완벽한 우주선 연료이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안전하게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할 때에만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만약에 소총이나 포로 쐈는데 자기병이 손상되어 반물질이 누출된다면, 그냥 포만 망가지는 것이 아니라 몇 킬로미터 반경이 초토화될 것입니다.


전투 제1법칙에 따르면, '자신과 동맹군을 적군처럼 쉽게 죽일 수 있는 무기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바로 이런 이유로 클레이모어 대인지뢰에는 어느 면을 적군에게 향해야 하는지 큼지막하게 적혀 있으며 생물무기가 인기가 없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


현재 가장 속도가 빠른 무기는 레이저로 가까운 거리에서는 절대로 빗나가지 않지만


먼 거리라면 이동경로를 바꿀 수 없으므로 빗나갈 수 있습니다.


레이저의 다른 종류로 극초단파를 쏘는 메이저와 감마선을 쏘는 그레이저도 마찬가지입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bb18dcab335e51be50cc565


미사일은 도중에 경로를 바꿀 수 있으므로 장거리에서 더 유용합니다.


또 미사일은 거울에 영향을 받지 않죠.


그 어떤 거울도 100%의 반사율을 가지지 않으며 특정한 범위 내에서만 거울처럼 기능합니다.


예를 들어 감마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극초단파의 경우 일반 거울은 닭장 철조망이랑 비슷합니다.


충분한 에너지를 주면 거울이 파괴되며, 거울이 반사를 못하거나 반사가 잘 안되는 주파수로 극초단파를 비춰도 파괴됩니다.


적한테 작은 조각들을 발사해서 거울을 손상시키면 파괴가 되겠지만, 그럼에도 거울은 충분히 레이저를 막아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미사일이 유용하겠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4de4ddcbe335b218e50cc565


그러나 꼭 광속으로 이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광속의 99.9%로도 충분하며, 이런 속도는 입자가속기입자빔포 또는 입자방출기로도 가능합니다.


이것들을 사용해도 거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죠.


하지만 이 장치들은 자기장에 취약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섞어서 쓰는 것이 좋다는 점입니다.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해도 말이죠.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7fa11d0283123a3619b5f9530e1a1316068e3dfca091c6840cb09f3805e54abea03f01e4751aa281fe1d7c8e36ae61ee50cc565


마이크로 블랙홀은 우회성 무기의 일종으로 예전에 한번 논의했던 적이 있습니다.


호킹에 따르면 블랙홀에는 정해진 수명이 있으며, 무게가 가벼울수록 수명도 짧습니다.


1톤짜리 블랙홀은 수 나노초만 존재할 수 있지만, 양성자보다 크기가 훨씬 작기 때문에 거의 모든 물체를 통과한 뒤 폭발할 수 있습니다.


폭발 시 방출되는 에너지는 너무나도 커서 가장 큰 핵폭탄도 폭죽처럼 보일 정도입니다.


viewimage.php?id=39bad92cefd63c&no=24b0d769e1d32ca73dec84fa11d0283195504478ca9b7677dc322d30c9349b41cde1c5c7e55dc576f28446f7fe8d6ebb26f721ff655b81ae253cf922bae639a8d327



블랙홀의 질량과 발사속도를 조절하면 폭발 시간을 알맞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런 블랙홀은 거의 멈추기가 불가능할 것입니다.


크기가 매우 작지만 관성은 엄청나기 때문이죠.


물론 블랙홀이라고 해서 완전히 검지는 않습니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방사선을 방출하니까요.


따라서 아주 강력한 레이저를 집중해서 쏘면 블랙홀의 경로를 바꿀 수 있을 것입니다.


저한테는 좀 황당하게 들리는 얘기지만, 블랙홀의 일종인 쿠겔블리츠 블랙홀을 만들려면 먼저 이런 레이저를 만들 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만일 적군이 블랙홀을 만들 수 있다면 당신도 블랙홀을 튕겨날 수 있겠지만, 여전히 블랙홀을 맞춰서 경로를 바꾸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며, 그 어떤 장갑이라도 통과할 것입니다.



-2- 편에서 계속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402428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30

고정닉 3

3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이번주 설문은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 AD 워터파크 지금이 제일 쌈! 운영자 25/07/11 - -
879671 공지 갤 규칙 통합 공지 V1.00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4 23873 29
1033343 공지 프라이빗 문의 공간 (메일) [1] thisda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08 13843 8
447147 공지 웹소설 연재 갤러리 공지사항 (2021.02.24) 밤톨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4 70472 70
958746 공지 신문고 ㅇㅇ(223.38) 24.06.09 24593 12
434755 공지 유입 뉴비들을 위한 갤통합공지(V1.06) [1]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5 115902 206
956351 공지 웹소설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ver.1.00 [47]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2 43691 122
1115051 일반 다들 왜 그렇게 사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2 6 0
1115050 문피아 주 7일 투배럭 돌아버리겠네 ㅇㅇ(220.117) 02:31 3 0
1115048 일반 피카레스물 쓰고 싶다 ㅇㅇ(124.61) 02:18 21 0
1115047 문피아 투베 5-6페인데 선인세 500 부르는 매니지는 뭐임? [1] ㅇㅇ(211.177) 02:17 72 0
1115046 일반 여기 나잇대가 [8] ㅇㅇ(125.190) 02:05 87 0
1115045 문피아 노리고 쓰는게 아닌데 50대이상이 젤많음 [2] ㅇㅇ(183.97) 01:59 67 0
1115044 일반 1화에 주인공 인생 갈아서 써본 사람 있음? [4] ㅇㅇ(119.206) 01:54 98 0
1115043 문피아 할배들 탓 하지마라 [2] ㅇㅇ(39.127) 01:53 101 0
1115042 일반 라온은 사이트나 블로그도 없네;; [5] ㅇㅇ(1.243) 01:49 91 0
1115041 일반 라인업 보니까 망한듯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7 67 0
1115040 일반 무술 용어에 대한 질문 [1] ㅇㅇ(112.171) 01:42 43 0
1115039 문피아 인증 조회수가 늘지 않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88 0
1115038 노벨피 30~50회차 야설 올리기 좋은 플랫폼은 어디야? [2] 흩날릴때쯤에(121.141) 01:21 71 0
1115037 일반 월억킥 하게 해줘 [2] ㅇㅇ(183.103) 01:17 99 0
1115035 문피아 연독 떨어지는 화 [2] ㅇㅇ(218.39) 01:16 115 0
1115034 일반 최근 선호작등록 선삭 추이. 선삭이 넘 많은데 이건 안좋은거지? [3] 시라소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63 0
1115033 일반 독자들 개패고 싶네 [2] ㅇㅇ(116.121) 01:12 89 0
1115031 일반 잠 안 오는데 ㅇㅇ(124.61) 01:04 29 0
1115030 노벨피 뚱냥이 [3] ㅇㅇ(114.207) 00:59 96 1
1115029 일반 글 쓰기 개같이 싫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9 77 0
1115028 노벨피 젠장 밤에 올리니 선작이 안 오른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8 70 0
1115027 문피아 신작 스타트가 좋다 [4] ㅇㅇ(210.100) 00:56 157 0
1115026 일반 설정에서 운이라는 요소가 참 애매한듯. [3] 고라니가아우아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4 95 0
1115025 노벨피 그래도 참 재밌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3 107 0
1115023 일반 사이버 펑크의 네크로맨서가 되었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2 119 0
1115022 일반 공포물에서 주인공이 능력 얻는건 흥미를 떨어뜨리나? [2] .(39.120) 00:52 54 0
1115021 문피아 시발 겨우 1페 찍먹했네 [4] ㅇㅇ(222.238) 00:50 127 0
1115018 일반 인정욕구가 강한 만큼 인생이 망가진다. [31] ㅇㅇ(110.11) 00:42 234 0
1115017 문피아 연중 고민 중이다 [2] ㅇㅇ(121.130) 00:40 113 0
1115016 일반 깡계에 쓰는 거랑 패러디라도 쓴 계정에 쓰는 거랑 [2] ㅇㅇ(124.61) 00:39 58 0
1115015 일반 와 진짜 내가 쓴 거 개재밌다고 생각했는데 [1] ㅇㅇ(59.20) 00:35 106 0
1115014 일반 패러디 쓰다 개인창작 쓰면 독자들 따라와? [9] ㅇㅇ(124.61) 00:30 123 0
1115012 일반 글을 쓰는 건 쉬면 안 된다 ㅇㅇ(210.100) 00:29 58 0
1115011 노벨피 독점까지 남은 선작, 80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7 73 0
1115010 노벨피 노벨피아 구작 6개월 만에 만 원 쌓였다 [3] 흑누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137 0
1115009 노벨피 오늘의 인기작이 선작순 몇등까지야?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4 85 0
1115008 노벨피 선작 1개 딸려서 오늘의 인기작 못들어간다 ㅅㅂ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137 0
1115007 문피아 선삭이 너무 많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8 54 1
1115006 일반 글 안 쓴지 몇 달 된 기분인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7 55 0
1115005 일반 갑자기 □□ 없이 살아남기 소재에 꽂혔네 [3] ㅇㅇ(175.124) 00:10 118 0
1115004 일반 연재까지 (0/100) [1] 걸음이느린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32 0
1115003 일반 웹붕이들 사랑하는 만큼 하튜♡ [3] ㅇㅇ(122.32) 00:05 46 0
1115002 일반 마크 스카이블럭 같은 웹소도 재밌겠다 [5] ㅇㅇ(175.124) 00:03 89 0
1115001 문피아 선작배너 제이플에도 풀렸나..?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2 146 1
1115000 일반 등근육? 날개죽지 통증 심한데... [17] ㅇㅇ(211.117) 07.13 122 0
1114999 일반 내가 굳이 망작을 읽는 이유 [5] ㅇㅇ(124.61) 07.13 149 2
1114998 시리즈 아 엔리즈 공모전 시리즈 직투 같은건 아니구나 [2] 소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3 146 0
1114997 일반 원래 2차창작하는 거 이렇게 재밌냐 [2] ㅇㅇ(122.32) 07.13 73 0
1114996 일반 내일 2빡하는 날이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3 50 0
1114995 문피아 요즘 문피아 신작 시작하기 좋나? [2] ㅇㅇㅇ(119.196) 07.13 163 0
뉴스 HITGS(힛지스), ‘박보검의 칸타빌레’로 데뷔 첫 뮤직 토크쇼 출격! ‘5세대 슈퍼루키’ 입증 디시트렌드 07.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