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간투자동향] 위밋모빌리티, 2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07 12:10:49
조회 173 추천 0 댓글 0
[IT동아 한만혁 기자] 바야흐로 스타트업 시대입니다. 2010년부터 시작한 국내 스타트업 열풍은 지난 10년 동안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 대한민국은 어느새 유니콘 기업 11개를 배출한 세계 5위 스타트업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는데요. 쿠팡, 우아한형제들, 야놀자, 블루홀 등 경쟁력을 갖춘 스타트업이 우리 실생활 속으로 파고들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성공을 꿈꾸는 수많은 스타트업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에 IT동아가 이러한 국내 스타트업의 현장을 [주간투자동향]으로 정리해 제공합니다.

위밋모빌리티, 2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인공지능(AI) 모빌리티 솔루션 ‘루티’를 운영하는 위밋모빌리티가 200억 원 규모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에는 한국앤컴퍼니(한국프리시전웍스), 키움인베스트먼트, 베이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특히 한국프리시전웍스는 위밋모빌리티와의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갈 예정이다.


위밋모빌리티가 2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위밋모빌리티



위밋모빌리티는 물류 효율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우수한 경로 최적화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루티’, 온도에 민감한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지원하는 ‘루티 온도 관제’, 루티 기술을 적용해 제주도 내 당일 배송을 실현한 ‘제주오늘’ 등 다양한 시장에 최적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콜드체인 영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100여 개 이상의 기업에 루티 온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향상된 제품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계획이다.

위밋모빌리티 관계자는 “위밋모빌리티는 고객 요구를 반영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빌리티 분야의 선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은 기술 및 기능 고도화에 활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전했다.

우나스텔라, 195억 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국내 최초 민간 유인 발사체 스타트업 우나스텔라가 195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사인 하나벤처스, 스트롱벤처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인터밸류파트너스, 대교인베스트먼트, 에이스톤벤처스가 후속 투자를 진행했으며, HB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우리벤처파트너스,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KDB캐피탈이 신규 투자사로 합류했다. 우나스텔라의 누적 투자금은 280억 원이다.


박재홍 우나스텔라 대표 / 출처=블루포인트파트너스



지난 2022년 2월 설립된 우나스텔라는 국내 최초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고도 100km까지 비행할 수 있는 유인 발사체를 개발해 준궤도 우주여행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로, 전기 모터 펌프 사이클 엔진 시스템 기반의 자체 엔진을 설계 및 개발하고 있다.

우나스텔라는 지난해 1월 자체 개발 연소기의 지상 연소 성능 시험에 성공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형 로켓 엔진용 전기 펌프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해 전기 모터 펌프 엔진 관련 특허 두 건의 통상실시권을 부여받았다. 또한 우주발사체 가압식 추진제 공급시스템 기술의 기술 이전 계약을 추가로 체결해 추진제 공급 시스템 관련 기술 통상실시권을 부여받고 핵심 설계 기술과 노하우도 전수받았다. 우나스텔라는 올해 안에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를 발사할 예정이다.

우나스텔라는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핵심 경쟁력인 전기 모터 펌프 엔진 기술 고도화 및 후속 발사체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세중력 실험 플랫폼 및 위성 발사용 우주 발사체의 상업화를 가속할 예정이다.

메디웨일, 158억 원 규모 시리즈B2 투자 유치


의료 AI 스타트업 메디웨일이 158억 원 규모 시리즈B2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는 구주 및 신주 거래가 동시에 이뤄졌으며, 한국산업은행, 우리벤처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증권 등이 참여했다. 메디웨일은 지난 2021년 33억 원의 시리즈A 투자를 조달한 이후 2023년 시리즈B1 라운드를 통해 114억 원 규모의 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메디웨일이 158억 원 규모 시리즈B2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메디웨일



지난 2016년 설립된 메디웨일은 간편한 망막 촬영을 통해 1분 안에 심혈관 질환 발생을 예측하는 ‘닥터눈 CVD’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메디웨일은 세계적인 의학 저널을 통해 닥터눈 CVD가 심장 전산화단층촬영(CT)과 동등하게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지난해에는 국내에서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로 확정돼 상급종합병원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등 다수 의료기관에서 비급여로 처방되고 있다.

메디웨일은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닥터눈 CVD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AI 고도화, 글로벌 사업 확장, 신규 제품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투자 라운드를 주도한 한국산업은행은 “메디웨일은 간단한 눈 검사만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상용화한 세계 최초 기업으로, 기존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수한 사업성과 기술성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심혈관-대사 질환 예측 AI 분야에서 새로운 역사를 쓸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최태근 메디웨일 대표는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한 ‘오리지널 신의료 기술’로 전 세계 심혈관-대사 질환 관리 시장을 선도하겠다”라며 “FDA가 최초 의료 기술에 부여하는 드 노보(De Novo) 인증 이후 미국에서 론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경쟁자가 따라올 수 없는 압도적 기술 격차를 위해 AI 성능을 강화하고 만성콩팥병 예측 영역으로 제품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차봇모빌리티, 12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모빌리티 라이프 플랫폼 차봇모빌리티가 120억 규모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에는 한화투자증권, 현대투자파트너스, 지엘케이에쿼티인베스트, 하나벤처스, 현대해상, SK네트웍스가 참여했으며, 퀀텀벤처스는 최종 투자 납입을 앞두고 있다. 차봇모빌리티의 누적 투자금은 약 226억 원이다.


차봇모빌리티가 12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차봇모빌리티



지난 2016년 설립된 차봇모빌리티는 완결형 오토커머스 솔루션 기업으로, 운전자를 위한 통합 차량 솔루션 앱 ‘차봇’, 신차 딜러의 영업 관리 파트너 ‘차봇프라임’, 중고차 딜러들의 필수 앱 ‘차팀장’ 등 자동차 구매부터 맞춤 보험, 금융, 차량 관리에 필요한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봇모빌리티는 7년 동안 연평균 150%의 매출 증가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확장 중이다. 누적 서비스 사용자는 120만 명, 서비스 누적 거래액은 7200억 원이며, 국내 6만여 명의 딜러 중 50%인 3만여 명이 차봇 멤버십에 가입되어 있다.

차봇모빌리티는 올해 신차 구매 서비스 중심의 디지털 오토커머스 사업에 집중하며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구조를 갖춰 오는 2026년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자 한다.

현대투자파트너스 관계자는 “차봇모빌리티는 국내 신차 및 중고차 딜러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선점하여 마케팅 비용 없이도 고객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강력한 채널과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라며 “AI 수리 견적과 수입차 정비 등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 확장하는 점에서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크다”라고 평가했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차봇모빌리티는 신차 및 중고차 구매부터 보험, 에프터케어까지 차량 관련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모바일 중개 플랫폼으로, 국내 자동차 모바일 중개 플랫폼 시장에서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강력한 시장 지위와 확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앞으로의 성장과 IPO를 통해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강성근 차봇모빌리티 대표이사는 “이번 투자 유치는 차봇모빌리티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자 오토커머스 사업에서의 시장 경쟁력과 가치를 재확인한 성과”라며 “신규 자금, 투자사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오토커머스 사업 모델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익 구조를 개선할 것”이라고 전했다.

나노일렉트로닉스, 45억 원 규모 투자 유치


나노 소재 전문 기술 스타트업 나노일렉트로닉스가 4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나노일렉트로닉스가 45억 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나노일렉트로닉스



나노일렉트로닉스는 전기 방사 방식의 미세한 구리 나노실을 이용해 전도성 발열체를 개발했고, 이를 이용해 기존 선상 발열체, 면상 발열체를 뛰어넘는 3D 발열 기술을 개발했다. 3D발열 기술은 높은 발열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 발열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일렉트로닉스는 3D 발열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별 최대 89%의 전력 효율을 지닌 3D 나노 면상 발열 필름을 상용화했다.

나노일렉트로닉스는 해당 기술을 통해 CES 2024에서 에너지 소재 분야 혁신상을 받았으며, 프랑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복합 소재 분야 행사인 JEC 2024에서 글로벌 스타트업 파이널리스트 20에 선정되기도 했다.

나노일렉트로닉스는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으로 3D 발열 필름의 대량 생산 체제 구축 및 제조 공정 고도화, 제품군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더욱 강화해 자동차, 전자제품, 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할 계획이다.

나노일렉트로닉스 관계자는 “이번 투자 유치는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혁신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 소재 시장에서 리더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23세기아이들, 12억 원 규모 시드 투자 유치


버추얼 엔터테인먼트 스타트업 23세기아이들이 12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에는 카카오벤처스, 퓨처플레이, 패스트벤처스가 참여했다.


23세기아이들이 12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카카오벤처스



23세기아이들은 디지털 세상에서 활동하는 버추얼 아티스트를 제작하고 있다. 게임 엔진 기반의 실시간 모션캡처 렌더링과 툰 셰이딩(Toon Shading) 기법을 통해 라이브 공연, 팬 미팅 등 다양한 환경에서 팬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버추얼 아티스트를 선보일 계획이다.

23세기아이들은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통해 버추얼 보이 그룹 제작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데뷔를 목표로 멤버별 캐릭터를 고도화하고, 아티스트를 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다각화하고자 한다. 게임 엔진 및 영상특수효과(VFX) 전문가도 영입하며 완성도 높은 버추얼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혜원 카카오벤처스 선임 심사역은 “23세기아이들은 팬덤 커뮤니티 구축과 매니지먼트에 대한 압도적 이해도를 가진 팀”이라며 “빠르고 유연한 IP 개발 방식을 통해 버추얼 아이돌 시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형민 23세기아이들 대표는 “버추얼 아티스트와 대중의 끊임없는 접점을 만들어내며 이전에 없던 새 시대의 재미와 매력을 선보일 것”이라며 “실험적인 비주얼과 혁신적인 콘텐츠로 세상에 영감을 주는 미래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라고 밝혔다.

디든로보틱스, 시드 투자 유치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는 디든로보틱스가 블루포인트파트너스와 컴퍼니케이파트너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김준하 디든로보틱스 대표(오른쪽에서 두 번째)와 KAIST 휴보랩 박해원 교수 연구팀 / 출처=블루포인트파트너스



디든로보틱스의 핵심 경쟁력은 사족보행 기술력이다. 김준하 대표는 카이스트 휴보랩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회사를 설립했다. 해당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은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의 표지 논문 등재와 지상 보행 속도 기네스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

디든로보틱스가 개발 중인 사족보행 ‘승월로봇’은 철제 환경 작업에 특화된 산업용 로봇이다. 수직 벽과 천장을 포함한 복잡한 장애물을 넘나들며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높고 협소한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인명 사고 위험을 줄이고 작업 효율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크게 높인다는 것이 디든로보틱스의 설명이다. 디든로보틱스는 올해 하반기 대기업과 본격적인 실증사업(PoC)을 계획하고 있다.

김준하 디든로보틱스 대표는 “국내외 조선업계에서 자동화 로봇의 도입은 필수적이며, 디든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은 고위험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라며 “이번 투자 유치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로봇 기술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에임인텔리전스, 초기 투자 유치


생성형 AI 보안 진단 및 취약점 자동 탐지 솔루션 ‘에임 레드(AIM Red)’를 개발하는 에임인텔리전스가 매쉬업벤처스로부터 초기 투자를 유치했다.


생성형 AI 취약점 진단 및 보안 성능 평가 솔루션 에임 레드 / 출처=매쉬업벤처스



에임 레드는 생성형 AI에 특화된 보안 성능 평가 솔루션으로, 공격 프롬프트 생성을 자동화해 기업의 레드팀 과정을 보조한다. 레드팀은 조직의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기 위해 실제 해커처럼 시스템을 공격하고 문제점을 진단하는 보안 전문가 그룹이다. 에임인텔리전스는 최근 생성형 AI 취약점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방어하는 ‘에임 가드(AIM Guard)’도 출시했다.

에임인텔리전스는 네이버 D2SF, SKT-하나은행 AI랩, KT 믿음 진단 등 생성형 AI 보안 시스템 구축에 관심 있는 국내 대기업과 협업했고, 최근 메타가 주관한 메타 라마 임팩트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수상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투자 라운드를 주도한 매쉬업벤처스의 박은우 파트너는 “AI 기술 발전과 함께 딥페이크 등 기술 오남용 사례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생성형 AI 특화 보안 솔루션에 대한 기업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투자를 진행했다”라고 설명했다.

유상윤 에임인텔리전스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 이후 다양한 공격 프롬프트를 수집해 보안 진단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라며 “향후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 복잡해질 보안을 사전에 대비해 안전 가드레일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하이픈, 투자 유치


유튜브 광고 검색 및 분석 서비스 ‘유광기’를 제공하는 하이픈이 더벤처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하이픈이 더벤처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더벤처스



하이픈은 광고 레퍼런스 작업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해 AI 기반 유튜브 광고 검색 및 분석 서비스 유광기를 개발했다. 유광기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매일 5만 개 이상 브랜드와 25만 개 이상 유튜브 채널 광고 및 데이터를 정리해 제공한다. 사용자는 유튜브 광고 데이터 수집 작업을 단 10분 만에 완료할 수 있으며 대시보드를 통해 분석한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광기는 경쟁사 광고 모니터링, 산업군별 후원사, 크리에이터 정보까지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산업별 트렌드와 광고 전략을 즉각 분석할 수 있다. 현재 300개 이상의 기업 마케터가 유광기를 사용하고 있다.

김철우 더벤처스 대표는 “유튜브 등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글로벌 광고시장 규모는 2022년 290조 원을 넘어선 큰 시장으로,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은 기업과 마케터, 크리에이터 모두에게 필수적인 핵심 서비스”라며 유광기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장세준 하이픈 대표는 “기존에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기 위해 인력과 자금 등 많은 리소스를 소비해야 했다”라며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한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해 유튜브 광고 레퍼런싱 작업에 필수적인 도구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글 /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서울시 핀테크 스타트업이 한 자리에’ 서울 핀테크 위크 2024 개최▶ [스타트업-ing] 제주오늘 배송 기사 “이동 경로 알려주니 배송 업무가 수월합니다”▶ 수원대 “세르파 프로그램, 스타트업 문제해결 실전 코치 육성”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5546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인데 모니터 2대 이상 연결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7919 4
5545 “경찰청·금융사 공동대응” 시티즌코난 앱, 보이스피싱 범죄 해결책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59 0
5544 [농업이IT(잇)다] 초롱팜바이오 “식물ㆍ종균 조직 배양, 미래 위한 녹색 기술에 집중하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49 0
5543 구글의 식탁 빼앗기나··· 오픈AI·퍼플렉시티도 뛰어드는 '브라우저 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48 0
5542 [생활 속 IT] AI로 간편해진 맛집 검색, 카카오맵 ‘AI메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38 0
5541 [투자를IT다] 2025년 7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98 0
5540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35 0
5539 [기술영업人] 소비재 산업의 든든한 바탕, AWS코리아 '리테일·소비재' 조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30 0
5538 [월간자동차] 25년 6월, 기아 쏘렌토·테슬라 모델 Y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20 0
5537 지스케일러 “제로 트러스트와 AI 결합해 강력한 보안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90 0
5536 [스케일업] 프론트웍스 [1] 페인터즈앤벤처스 “사업 방향성 명확히 하고 매력 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18 0
5535 [퀀텀 스타트업] 6. 작은 가능성을 큰 전환점으로... '링(Ring)' 사례로 보는 스타트업 창의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18 0
5534 [IT’s 가성비] 신형 보급형 사느니 구형 플래그십? 에코백스 디봇 X1 옴니 로봇청소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05 0
5533 자동차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차대번호'에 담긴 의미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6535 0
5532 휠체어·유모차 최적 길 안내…서울동행맵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51 0
5531 ‘무게ㆍ두께에 자존심 걸었다’ 삼성 갤럭시 Z 폴드ㆍ플립 7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66 0
5530 전기 화재의 주범은 '에어컨' ··· 화재없이 안전하게 쓰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09 0
5529 각기 다른 꿈 품은 청년 30명 태우고 출발한 “청년괴짜 인생버스 시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12 0
5528 [생활 속 IT] 여름철 해수욕장 실시간 안전 가이드 ‘안전해(海)’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01 0
5527 알아두면 유용한 자동차 버튼 속 기능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2445 1
5526 [주간스타트업동향] 펀진, 2025 방위산업 부품·소재 장비대전 참가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86 0
5525 [ETF Q&A] 고배당주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929 0
5524 [IT하는법] 스마트폰 벨소리, 원하는 음악으로 바꾸는 법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154 2
5523 “예약부터 굿즈 가격까지” 네이버 검색으로 팝업스토어 정보 ‘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183 0
5522 [스타트업-ing] 픽플리 “성실 이용자 확보로 데이터 품질 향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42 0
5521 [뉴스줌인] 화면 터치하며 즐기는 프로젝터, 삼성 ‘더 프리미어 5’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96 0
5520 걷거나 퀴즈 풀면 6만 원 준다…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43 0
5519 결혼자금 빌미로 가상자산 투자 유도 ‘로맨스 스캠’ 주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7939 1
5518 [신차공개] ‘BMW 뉴 iX' 사전예약 실시·’페라리 아말피' 출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709 1
5517 서울경제진흥원 “韓 초격차 스타트업·日 기업 개방형 혁신 교두보 마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65 0
5516 “판매 글·가격 자동으로” 당근마켓 AI 어떤 편의 주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878 0
5515 에이수스 젠북 팝업존 '젠세이션', 4000명 이상 방문하며 성료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6476 0
5514 SKT, “7월 15일부터 해지 위약금 환급”…예상 위약금 조회하려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7531 3
5513 금융기관에 제공한 개인 정보 확인·관리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449 0
5512 [생성 AI 길라잡이] 인공지능이 작성한 표절 논문 찾아내는 무하유 카피킬러 ‘GPT 킬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68 0
5511 승용차 70배 탄소 배출 ‘대형 트럭’…친환경 전환 대책은 부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8316 0
5510 [투자를IT다] 2025년 7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77 0
5509 [IT’s 가성비] 아직도 살만한 스테디셀러, LG 32UN650K 4K 모니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449 0
5508 [리뷰] 디지털 시대 눈 건강을 위한 투자,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90 0
5507 [IT신상공개] 성능·음질·편의성 개선, 소니 WH-1000XM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79 0
5506 SaaS 기반 협업 툴 NHN두레이의 첫 인상, ‘두레이온보딩팀’을 만나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7927 0
5505 “야근 걱정 끝” 폴라리스 오피스, AI 기반 NOVA로 활용도 높였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2676 1
5504 [농업이IT(잇)다] 백로앙금 “당도 낮춘 팥 디저트로 소비자 입맛 사로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4 315 0
5503 지하철역·공원서 책 대출·반납…스마트 도서관, 더 편하고 가까워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46 0
5502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에 신형 SSD, 달아도 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40 0
5501 데이터이쿠 “노코드 AI 플랫폼, 누구나 AI 에이전트 개발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26 0
5500 [시승기] 안정적인 승차감과 넓은 실내, 전비 효율 두루 갖춘 '아이오닉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25 0
5499 [IT애정남] 유튜브에서 ‘구간 반복’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23 0
5498 [스타트업-ing] 뉴머스 “뇌혈관막 여는 집중초음파로 뇌질환 치료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04 0
5497 ‘AI 자율 네트워크’ 강조하는 노키아, 韓 6G 인프라 투자 기회 엿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17 0
뉴스 이솔로몬, 메이저나인과 전속계약 체결…발라드 본가에서 새로운 출발  디시트렌드 07.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