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브룩스 라일리 - 음표 하나의 힘: 임윤찬의 시적 상상력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26 00:18:59
조회 224 추천 12 댓글 3


https://3quarksdaily.com/3quarksdaily/2024/12/the-power-of-a-single-note-the-poetic-imagination-of-yunchan-lim.html


음표 하나의 힘: 임윤찬의 시적 상상력


작성일: 2024년 12월 25일 수요일 오전 5시
작성자: 브룩스 라일리 (Brooks Riley)


리하르트 바그너의 방대한 <니벨룽의 반지> 사이클은 단일 음표로 시작된다. 화음도, 음계도, 주제 선율도 아닌, 단순히 확장된 내림마(E-flat) 하나다. 이 음은 너무나 깊어 소음으로 들리거나 대지가 비극을 탄생시키는 울림처럼 착각될 수도 있다. 이 '원초적 소리(Ur sound)'는 8대의 더블 베이스가 4마디에 걸쳐 연주하며 만들어낸다. 하지만 수많은 다른 소리들이 청중의 주의를 빼앗은 몇 시간 후에는 이 음을 거의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그 여운은 우리의 무의식 깊은 곳에 오래도록 남는다.


단 하나의 음이 가진 힘을 이해하는 또 다른 사람은 2022년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18세의 나이로 우승하며 클래식 음악계에 센세이션을 일으킨 피아니스트 임윤찬이다. 그는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과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 연주로 전 세계를 사로잡았으며, 이후 세계 각지에서 매진 사례를 기록하고 있다. 그의 명성은 완벽한 음들을 현란한 속도로 폭발적으로 연주하는 기술적 능력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는 피아노 한 음에서 뽑아낼 수 있는 소리에 깊이 몰두하는 음악가이다. 이는 지난 5월 한국 TV 인터뷰에서 그가 보여준 과정에서도 드러난다.


"제 마음속에는 항상 제가 생각하는 정말 완벽한 소리에 대한 느낌이 있습니다. 그 소리가 존재합니다. 내 마음 속의 소리가 현실의 소리가 완벽하게 일치할 때, 그 순간 제 심장이 움직이는 것을 느낍니다."


피아노는 타악기이기 때문에 소리를 자유롭게 변형하기가 어렵다. 한 음의 톤은 손가락이 건반을 눌러 망치가 줄을 때리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며, 손가락이 건반을 누르는 힘, 건반을 누르는 위치, 그리고 소리를 증폭하거나 길게 늘리거나, 혹은 소리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페달이 톤의 다양성을 결정한다. 피아노는 다른 악기들처럼 비브라토(vibrato)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많은 악기들이 비브라토에 얼마나 의존하는지 생각해보면, 이는 오히려 다행일지도 모른다.


"…G# 건반을 누를 때 그 소리가 제 심장을 움직인다면, 그다음으로 넘어갑니다. 하지만 A# 건반으로 옮길 때 제 심장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연습합니다. 만약 A# 건반에서 심장이 움직인다면, 첫 번째와 두 번째 음을 연결하는 연습을 합니다. 그리고 그 연결이 제 심장을 움직인다면, 세 번째 음으로 넘어갑니다."


이는 그의 연습 시간이 왜 그렇게 길고, 종종 밤늦게까지 길어지는지, 또는 그가 한 때 슈베르트 소나타의 두 마디를 몇 시간 동안 연습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임윤찬에게 있어 기술적 탁월함은 기본이다. 그가 중시하는 것은 음색, 색채, 루바토, 감정, 시적 표현, 비애감, 해석이다. 그는 지나치게 감상적이거나 과도한 감정을 경계하지만 말이다.

그는 자신의 데카 레이블에서 발매된 쇼팽 연습곡 전집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인공 정원은 우리를 속여 아름답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그 환상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모든 음을 완벽히 치는 것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더 음악적인 해석을 통합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또한 박자에 구속되지 않고 보다 자유로운 흐름의 음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임윤찬이 다른 젊은 콩쿠르 우승자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무엇일까?


임에게는, 아무도 정확히 이해하거나 감히 믿기 어려운 양자 도약이 있다.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지휘자 마린 올솝(Marin Alsop)은 그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는 나이를 훌쩍 뛰어넘은 음악가입니다. 기술적으로 그는 경이롭고, 색채와 역동성도 경이롭습니다. 그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음악적이고, 매우 오래된 영혼을 가진 사람 같습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viewimage.php?id=34a8de25edd336aa67b2&no=24b0d769e1d32ca73de887fa06c3233c75b00c782b6831a6ad1b48031ea1f338a04d5a79d253141dbc5bd83840a2a648ae340ae286c3d95dc34582c75f2a63b7213eeeebb71eaf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의 연주 모습 (마린 알솝 지휘)


이 '매우 오래된 영혼'은 20살의 수줍고 자신을 낮추는 청년 안에 깃들어 있다. 그는 음악을 너무나 사랑해서 음악에 살고 숨쉬며, 그의 인생의 목표는 산 속에 살면서 하루종일 피아노를 치는 것이다.


림은 7세라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피아노를 시작했지만, 정상에 오른 그의 궤적은 짧고 가팔랐다. 반 클라이번 콩쿠르 훨씬 이전에 이미 그는 한국에서 천재로 인정받았다. 현재도 그는 피아니스트 손민수와 함께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때로는 그가 지나치게 자기부정을 하며 심하게 자신을 낮추기도 한다.

"저는 단지 음악을 만드는 사람일 뿐이고, 대단한 사람은 아닙니다."
"저는 이런 박수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 아닙니다."


기립박수를 받을 때 그가 느끼는 불편함은 숨기려 해도 드러나곤 한다. 그가 무대에서 인사하는 모습을 보면, 빨리 무대를 떠나고 싶어 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러한 발언이 가식적인 겸손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이는 오히려 그를 순식간에 스타덤에 올려놓은 음악에 대한 깊은 존경심일 것이다. 림의 우주에서는 화려함이나 과장된 자존심이 자리할 여지가 없다. 그에게는 음악이 주인공이며, 연주자는 부차적인 존재다. 그의 겸손함은 깊은 내면에서 우러나온다.

쇼팽 연습곡을 녹음한 데카 앨범에서도 그는 자신의 모습이 음악 뒤로 거의 사라지는 느낌을 주는 앨범 표지 사진을 직접 선택했다.


viewimage.php?id=34a8de25edd336aa67b2&no=24b0d769e1d32ca73de887fa06c3233c75b00c782b6831a6ad1b48031ea1f338a04d5a79d253141dbc5bd83840a2a648ae340ae286c3d95dc34582955f7160b6304e13b304bf5c

데카의 앨범표지

연습하지 않을 때, 그는 과거의 거장들을 듣는다.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알프레드 코르토, 요제프 레빈, 이그나츠 프리드만, 아르투르 슈나벨, 에르빈 니레지하지, 에브게니 키신 등) 또는 작곡가의 삶을 연구한다. 예컨대 쇼팽에 대해 그는 이렇게 말한다.


"쇼팽은 자신의 예술을 위해 의도적으로 외로운 상황에 처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음악의 완벽한 결정체를 만들어낼 때까지 끊임없이 자신의 작품을 다듬었습니다." (림 자신에 대한 설명일지도 모른다)


그는 또한 원전 자료를 탐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의 단테 소나타를 연주하기 위해 그는 신곡을 읽고 일부를 암기했다.


나는 처음으로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임윤찬을 보았다. 그의 연주를 듣는 것은 마치 내밀한 대화를 엿듣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는 청중 앞에서 연주하지만, 마치 산 정상에 있는 것 같다. 우리는 그저 그 자리에 함께 있을 뿐이다. 이는 전형적인 연주자와 관객의 관계를 초월하는 연결감을 준다.


그가 연주하는 동안 그의 머릿속에는 생생한 서사가 흐르는 듯하다. 이는 간혹 드러나는 미소나 약간의 찡그림에서 나타난다. 쇼팽의 연습곡 Op. 25, No. 1 '에올리안 하프'를 연주할 때 무슨 생각을 했느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 곡은 거위가 세상으로 나가는 문을 열고 첫날밤에 초승달을 바라보며 자신의 꿈을 회상하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Gramophone의 제레미 니콜라스는 이렇게 썼다.


"유튜브에서 임윤찬을 따라가다 보면 토끼굴로 빠져드는 기분이다. 한 번 보기 시작하면 멈추기가 매우 어렵다."


임윤찬의 연주는 그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영상들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최근의 공연들, 예를 들면 베르비에 음악제위그모어 홀에서의 연주는 그가 한 음표에 대해 가지는 특별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그의 연주에서, 손가락 하나로 종소리를 울리듯 혹은 낮은 음역에서 천둥 같은 울림을 만들어내는 모습이 드러난다. 그의 손은 종종 건반 위에 맴돌거나, 마치 공기를 조각하는 듯하다가 건반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모습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특징은 차이콥스키의 <사계 Seasons>에서 '6월' 연주에서도 뚜렷이 드러난다.


그의 공연에 대해 "두고 보자"는 식의 반응을 보이는 비평가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그의 연주를 묘사할 최상급의 형용사가 고갈되는 중이다. 그가 노련한 프로페셔널처럼 얼마나 음악적으로 성숙한지, 얼마나 쉽게 연주하는지, 또는 이미 그가 긴 인생을 살았고 사랑의 기쁨과 고통을 경험한 것처럼 어떻게 감정을 담아내는지에 대한 찬사가 이어진다. 그의 음반은 ‘승리(triumph)’로 불렸다.


"이 세상의 진짜는 눈에 보이지 않아요. 음악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임윤찬은 자신의 마음속에 '산'을 만들었다. 이 기쁨과 소리의 공간인 ‘산’에서 그는 자신의 음악 레퍼토리를 연구하고 쌓으며 연습한다. 그는 때때로 음악가 친구들을 만나 영감을 얻기 위해 그 산을 떠나기도 한다. 남는 시간에는 그가 좋아하는 시인 릴케의 시를 읽거나, 선생님이 추천한 하이네의 작품을 읽는다.


반 클라이번 콩쿠르 이후 2년 동안 그는 키가 자랐고, 약간 덜 수줍어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어로 말할 때조차 말을 멈칫거리며 말한다.치 그의 말들이 음악의 음표들로 가득 찬 강을 건너 우리에게 다가오려는 것처럼 느껴진다.


한국의 내세를 인정하는 관습에 따르면, 임윤찬은 이미 자신의 음악적 도전을 이번 생과 다음 생으로 나눠 두었다. 그가 평생 동안 마스터하고 싶어 하는 작품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는 바로크부터 현대음악까지 모든 것을 연주할 수 있는 피아니스트 트리포노프 같은 연주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20년 한국 심포니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의 노트북 한 페이지를 보여주었다. 그곳에는 상상 속의 콘서트 프로그램이 적혀 있었다.


- 피에르 불레즈 <피아노 소나타>

- 올리버 크누센 <변주곡(Opus 24)>

- 토마스 아데스 <Powder her Face>

- 올리비에 메시앙 <론도>

- 프로코피예프 <Sarcasms>


무슨 16살짜리가 이런 계획을 세우는지?


이 생인가, 아니면 다음 생인가?

3dafdf21f7d335eb3def86ad44867773b6bcd080c1c62c633d08e387cddf


재생목록


- 반 클라이번 콩쿠르 2022 우승 연주: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이 연주는 1,600만 명이 시청한 영상으로,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임윤찬의 우승을 이끈 결정적인 무대입니다.

- 톤베이스 피아노(Tonebase Piano)에서 벤 로드의 분석

임윤찬의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3번(‘Rach 3’) 연주를 흥미롭고도 유쾌하게 분석한 영상. 두 명의 심사위원이 남긴 코멘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프란츠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준결승 연주

기술적이고 예술적인 경지에 오른 역사적인 무대로 평가받는 임윤찬의 초절기교 연습곡 연주.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황제), 광주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2022)

임윤찬이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 광주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특히 활기찬 연주에서 평소보다 더 생동감 넘치는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 NPR Tiny desk concert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

이 영상에서 임윤찬은 오래된 업라이트 피아노를 마치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처럼 변신시킵니다. 프란츠 리스트의 **‘페트라르카 소네토 104번’**을 포함한 첫 번째 연주는 압도적입니다.

- 클래식 음악가들의 리액션 (Classical Musicians React)

유튜브 채널로, 젊은 클래식 음악가들과 학생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NPR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에서 임윤찬의 연주를 보고 흥미롭고 교육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 멘델스존 '무언가; Op 85, no. 4'

2024년 베르비에 페스티벌에서의 연주.

- 차이콥스키 ‘사계 중 5월(May)’

이 텔레비전 공연에서 임윤찬이 곡에 접근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음악적 순간을 묘사하는 데 사용한 색채 표현에서 약간의 공감각적 특성이 드러납니다.

- 2022년 코리안 심포니2020년 코리안 심포니를 위해 진행한 짧은 인터뷰

인터뷰들은 그의 음악적 사고와 철학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저자 브룩스 라일리는 감독, 프로듀서, 영화 비평가, 편집자, 그리고 각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과거 Film Comment 잡지의 수석 편집자이자 WNYC-TV의 영화 비평가로 일했습니다. 그녀는 The New York Times, The Village Voice, The Boston Phoenix, Opera News, 그리고 The Washington Post에 글을 기고한 바 있습니다. 또한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의 Zoetrope Studios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장-뤽 고다르와 협업하기도 했습니다.

그녀는 Mee-Shee the Water Giant, Puckoon, Führer Ex를 포함한 여러 영화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10편의 오페라 작품을 TV와 DVD용으로 연출했습니다. 이 중에는 독일 바이마르에 있는 Deutsches Nationaltheater에서 제작한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와 마사다에서 열린 이스라엘 오페라 페스티벌의 아이다가 포함됩니다.

이메일: brooks.r [at] gmx.de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727 행복한 연말연시 보내세요 [2] ㅇㅇ(223.39) 24.12.26 218 16
726 파이낸셜 타임즈 - 위그모어 홀 피아니스트 라인업 기사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6 173 10
브룩스 라일리 - 음표 하나의 힘: 임윤찬의 시적 상상력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6 224 12
724 헤럴드경제 - 임윤찬이 선택한 피아노, 음악적 취향 나타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5 162 10
723 애플뮤직 (12/25) 전장르 7개국 차트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5 137 10
722 아이튠즈 (12/25) 이스라엘 2위, 호주 그리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5 123 10
721 한국경제 - 2025 주요 클래식 내한 공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274 11
720 경향신문 - 2024 연주자, 배우로 본 공연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49 10
719 매일신문 - 임윤찬 '쇼팽: 에튀드', 올해 최고 인기 클래식 앨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71 10
718 매일신문 - 2024 문화예술결산 세계홀린 K-음악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31 10
717 서울신문 - 이름만 봐도 설레는 새해 클래식 라인업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36 10
716 애플뮤직 (12/24) 한국 1위, 전장르 5개국 차트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26 11
715 아이튠즈 (12/24) 이스라엘 1위, 전장르 56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07 10
714 빌보드 정통클래식 차트 3위 (차트인 31주차)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280 21
713 이탈리아 신문 Il Foglio - 크리스마스 트리 아래 놓을 추천 선물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61 12
712 이번주 주간 애플뮤직 TOP 100을 보면서 느낀 점 (약간의 정보글)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238 15
711 Slippedisc - 2024최고의 라이브 공연은 무엇이었나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92 11
710 루드비히 반 토론토 - 2024 최고의 클래식 앨범 20 (인스타 추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57 12
709 애플뮤직 TOP 100 1위 (12/23) 3주째 유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65 10
708 프랑스 코부즈(Qobuz) - 2024 올해 최고의 앨범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61 10
704 애플뮤직 (12/23) 4개국 1위, 전장르 5개국 차트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42 10
703 아이튠즈 (12/23) 이스라엘 1위, 전장르 31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28 11
702 라디오 방송 (12/23) 프랑스 1건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19 10
701 서울경제 - 임윤찬 콩쿠르 스타 넘어 올해 앨범 1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45 10
700 한겨레 - 2024 클래식계 결산 : 공연 7953건, 티켓판매 985억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67 10
699 한국경제 - 임윤찬, 2년 연속 NYT '올해 클래식 음반' 선정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35 10
698 The New Yorker 기사 전문 번역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62 10
697 The New Yorker - 2024년 주목할만한 15개 앨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61 11
696 그리스 Η ΑΥΓΗ 신문 - 로얄필 아테네 협연 기사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38 11
694 The Week - 2024년의 얼굴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78 11
693 LA중앙일보-되돌아본 2024 문화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58 10
692 월간리뷰 - 임윤찬 예원 담임선생님 인터뷰 : 24년간 가장 강렬한 학생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643 13
691 애플뮤직(12/22) 쇼튀드 3개국 1위, 전장르 2개국 차트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3 134 10
690 아이튠즈 (12/22) 이스라엘 1위 (전장르 12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112 10
689 라디오 방송 (12/22) 한국 1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107 10
688 뉴욕타임즈 - 2024 최고의 클래식 앨범 전문 붙입니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138 10
687 ✨뉴욕타임즈 - 2024 최고의 클래식 앨범✨최고의 앨범, 공연 2관왕✨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296 17
686 뉴스1 - 식지 않는 임윤찬 신드롬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216 11
685 뉴스버스 - 내년 상반기 가장 주목받는 공연(임윤찬, 메켈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2 290 10
684 애플뮤직(12/21) 쇼튀드 2개국 1위, 전장르 3개국 차트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1 156 10
683 아이튠즈 (12/21) 태국 그리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1 110 10
682 영국 오피셜차트 3위 (35주차)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1 168 15
681 애플뮤직 (12/20) 쇼튀드 4개국 1위, 전장르 5개국 차트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31 10
679 아이튠즈 (12/20) 태국 그리스 대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27 10
678 라디오 방송 (12/19) 아일랜드 1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23 11
677 한국경제 - 쇼팽의 서정과 질풍노도 그려냈다...임윤찬의 독창적 재해석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48 10
676 내년 공연 라인업기사들 - 2025년도 임윤찬 시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82 10
675 KBS [잇슈 컬처] ‘해외 오케스트라’ 잇단 내한…임윤찬 협업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39 10
674 조선일보 - 오페라 아리아 노래하듯 피아노 연주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44 11
673 한국일보 - 임윤찬이 돌아왔다 그라모폰상 안겨준 쇼팽과 함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0 125 13
뉴스 십센치, 7년 11개월만 정규 5집 발매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