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고] 구글이 공간으로 말하는 일과 삶의 방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23 15:25:50
조회 5378 추천 2 댓글 0
[IT동아]

디지털 시대, 공간은 여전히 말한다.

구글에게 '공간'은 단순한 일터가 아니다. 일하는 방식이며, 조직 문화의 형상화, 브랜드 철학을 경험으로 풀어내는 물리적 언어다. 디지털 기술이 업무의 효율을 이끌었다면, 공간은 그 기술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를 묻는 질문이다.

구글은 그 질문에 '사람 중심의 공간'이라고 답한다. 책상과 회의실의 집합이 아닌, 다양한 개인이 창의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구조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집중한다. 이는 단지 기술기업으로서가 아니라 '사람과 기술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구글의 존재론적 질문에 대한 답변이라 생각한다.

구글은 여전히 전 세계 곳곳에 새로운 오피스를 짓고, 공간을 실험하며, 지역과 문화를 반영한 형태로 물리적 환경을 진화시켜 나간다. 창의성, 포용성, 지속 가능성, 이 세 가지 키워드는 전 세계 구글 오피스를 설계, 디자인하는 기준이자, 브랜드가 공간으로 말하는 방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무형의 문화를 유형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오늘날 오피스가 어떤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조망해본다.


구글 베이 뷰 빌딩 / 출처=구글 홈페이지


구글의 오피스 철학과 글로벌 전략


"세상의 정보를 정리하고, 모두가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Organizing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ing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 구글의 미션이다. 단지 제품과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정신은 오피스 공간 설계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구글에게 오피스란 1차원의 업무 환경이 아니라, 브랜드 철학과 조직 문화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플랫폼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2024년 기준, 구글은 전 세계 50개 국 이상에 70개 이상의 오피스를 운영하고 있다. 각 오피스는 공통된 철학 아래, 지역의 문화와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설계가 이뤄진다. 또한 다양성과 포용을 핵심 가치로 삼는 구글은 오피스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강화하고, 구성원이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있다.

태국 방콕 오피스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구글은 태국의 대중교통인 ‘BTS 스카이트레인’에서 착안한 그래픽 디자인을 내부 공간에 반영하고, 현지 사진작가와 협업한 벽화를 배치했다. 회의실에는 태국의 유명 섬 이름을 붙였으며, '툭툭(Tuk Tuk)'과 같은 전통 교통수단을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해 지역적 상징성을 강화했다. 이는 단순한 장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오피스는 지역성과 브랜드 철학이 만나는 지점이자, 직원들이 문화적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캠퍼스형 오피스 구조와 구글만의 차별 전략


구글의 오피스는 협업, 창의성, 유연성을 중심으로 구성된 '캠퍼스형 오피스'로 진화해왔다. 단순한 사물인터넷(IoT) 기술 적용이 아닌, 물리적 구조 자체를 창의적 사고와 교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글플렉스 캠퍼스 / 출처= 구글 홈페이지



대표적인 공간 전략 중 하나는 '우연한 만남'을 유도하는 구조다. 구글은 회의실, 라운지, 식당, 키친 등을 Z자형으로 배치해 다양한 팀 간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고, 복도 너머의 비형식적 대화가 아이디어로 연결되는 구조를 지향한다.

또한 구글의 상징색(파랑, 빨강, 노랑, 초록)을 활용한 색채 구획은 공간별 기능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며, 구성원의 감성에도 긍정적인 자극을 준다. 이러한 색 배치는 브랜드 표현을 넘어 공간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구글 오피스는 고정석 없는 구조와 모듈형 가구, 이동형 파티션 등 '사용자가 바꾸는 공간'을 실현하고 있다. 업무 목적에 따라 공간을 유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여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 창의적 몰입, 개인 집중 등 다양한 업무 방식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주요 사례로는 마운틴뷰의 구글플렉스(Googleplex)와 2022년 개관한 베이뷰 캠퍼스(Bay View Campus)가 있다. 베이뷰 캠퍼스는 곡선형 지붕과 자연채광 중심의 설계, 탄소중립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미국 내 최초로 구글이 자체 설계한 오피스이기도 하다. 이 공간은 일반적인 업무 공간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창의성이 공존하는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구글의 캠퍼스형 오피스는 그저 물리 공간이 아니라, 구글의 조직 문화와 철학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는 무대이자 실험실이다.

고객 접점 공간 – 구글 스토어 체험 중심 설계


오피스 공간이 조직 내부 문화를 설계하는 장치라면, 구글 스토어는 고객 접점 공간은 브랜드 철학을 외부에 보여주는 무대다. 구글은 이러한 공간 또한 제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장소만이 아니라, 브랜드 세계관을 '경험'이라는 언어로 전달하는 플랫폼으로 정의한다.


구글 스토어 첼시 / 출처=구글 홈페이지



뉴욕 첼시의 '구글 스토어 첼시', 이 공간은 전통적인 매장과는 다른, 체험 중심의 쇼룸으로 설계됐다. AR/VR 기술을 활용해 픽셀폰, 네스트 기기, 크롬북 등 구글 제품이 실제 일상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 지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디지털 기술과 물리 공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브랜드가 '사용자와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시연하는 것이다.

내부는 모두 친환경 자재로 구성됐으며, 제품 배치는 사용자의 행동 동선을 고려한 UX 기반 설계가 적용됐다. 예컨대, 사용자가 매장을 들어와 한 바퀴를 도는 동안 자연스럽게 구글의 제품 생태계를 이해하고, 기술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선이다.

구글 스토어는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맺는 거점이기도 하다. 매장 한쪽에는 다양한 문화 이벤트와 워크숍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어, 방문자가 소비자에서 브랜드 공동체의 일원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기술의 인간화와 브랜드의 감성화를 시도하는 구글의 전략이자, '기술과 사람의 관계형성'을 공간화한 접근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구글 스토어 공간은 비물리적 구글의 기술력을 물리적 경험으로 번역하는 실험 공간이다. 단지 기능을 시연하는 공간이 아니라, 기술이 인간의 삶에 어떤 방식으로 스며들 수 있는 지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브랜드 미디어로 작동한다.

구글의 공간 실험은 기술 기업의 전략을 넘어, 현대 도시와 일터, 생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문화 코드가 되고 있다. 구글은 공간을 통해 일과 삶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창의성, 포용성, 지속 가능성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공간 설계를 주도하고 있다. 이는 기능성뿐 아니라 철학, 감성, 지역성, 경험이 통합된 미래형 공간 설계의 방향을 제시한다.

글 / 정훈구 담장너머 대표 (wjdgnsrn95@naver.com)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공간기획사인 담장너머의 공동대표. 연세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전문가이며, 마포문화재단 전시 코디네이터, 하나금융 소셜벤처 창업 퍼실리테이터로도 활동했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민원제로] 3. 충성 고객과 극성 민원인은 같다!▶ [퀀텀 스타트업] 2. 양자컴퓨팅, 왜 '지금'인가?▶ AWS 서밋 서울 2025 '생성형 AI· 사업 현대화에 초점'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연애 못할 것 같은 연애 하수 스타는? 운영자 25/08/04 - -
5676 가상자산 거래소, 테마 지수·분할 주문 등 ‘거래 편의 기능’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221 0
5675 AI 프로젝트의 80%는 실패, '렛서'가 제시하는 구축·운영의 비책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7568 0
5674 [스타트업-ing] 바이버 “전문가 보증으로 신뢰 높인 명품 시계거래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57 0
5673 [투자를IT다] 2025년 8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86 0
5672 SKT 에이닷 4.0으로 보는 최근 AI 업계의 추구 방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34 0
5671 [농업이 IT(잇)다] 코트그린 "친환경 코팅기술로 노지 농업 스마트화 실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27 0
567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픽스업헬스 “미국 재활치료 모니터링 시장의 새 기준 만들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75 0
5669 "서울시민도 제주서 책 빌린다" 책이음 하나로 전국 도서관 이용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402 2
5668 [IT애정남] 단톡방 방장이 갑자기 나간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8079 0
5667 [퀀텀 스타트업] 8. '실행'하는 정부가 만드는 양자 경쟁력 우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69 0
5666 성장하는 한국 반도체 스타트업, '서울대 SIPC'의 숨은 노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99 0
5665 최용석 서경대 교수 “K팝 데몬 헌터스, 韓 콘텐츠 산업 성찰 계기 삼아야”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673 1
5664 [리뷰] 360도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DJI 오즈모 36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66 0
5663 [SBA x IT동아] “아내 설거지하는 모습서 영감” 리빙크리에이터, 한국형 이케아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37 0
5662 BMW 수입차 독주 체제 강화…벤츠와 격차 5720대로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05 0
5661 [주간스타트업동향] TEN “한국 포함, 세계 창업 협력 모델 만들고파”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78 0
5660 예금 보호 한도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 어떤 예금이 보호받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34 0
5659 [ETF Q&A] 퇴직연금으로 투자하는 TDF ETF는 무엇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782 0
5658 [리뷰] 존재감 발군의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스트릭스 G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02 0
5657 6년 만에 공개 모델 내놓은 오픈AI, gpt-oss에 깔린 의도는 순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527 0
5656 산불·산사태 신고부터 실시간 정보까지 한눈에…스마트산림재난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40 0
5655 반도체 수출 비중 높은 대한민국, 상호 관세 이어 반도체 품목 관세 파도 넘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33 0
5654 S2W “IPO 딛고 세계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72 0
5653 관세 타결...최악은 피했지만 여전히 과제 남은 車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312 0
5652 닻 올린 '한국형 AI'··· 각 컨소시엄 구성과 목표, 그리고 해외 동향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6501 1
5651 [신차공개] 현대차 ‘더 뉴 아이오닉 6’·’2026 ST1’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67 0
5650 리벨리온, 마벨과 전략적 관계···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로 소버린AI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42 0
5649 궁금한 제품 정보 당장 알고 싶다면? 네이버 ‘스마트렌즈 x AI 브리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19 0
5648 카방 “자동차 이전등록 시 의무보험 가입 필수” 소화기 증정 이벤트 진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12 0
5647 보안이 필요한 중요문서, 안전하게 전송할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78 0
5646 [리뷰] ‘무난히 좋은 노트북’의 미덕, 에이수스 비보북 S16(M3607KA)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0077 2
5645 [생활 속 IT] “범죄 악용 NO” 안전하게 지하철 물품 보관하려면 또타라커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956 1
5644 [투자를IT다] 2025년 7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459 1
5643 [농업이IT(잇)다] 그린씨드 “유통 관리 플랫폼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데이터 기반 농업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23 0
5642 [크립토퀵서치] 거래소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543 1
5641 [리뷰] AI·고연산 처리에 최적,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998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69 0
5640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788 1
563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85 0
5638 [생성 AI 길라잡이] 교사들이 직접 만든 생성 AI 기반 교육 플랫폼 ‘우리 아이(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93 0
5637 “AI 반도체는 GPU 대안 아닌 새로운 방향··· 메모리 접근해 LPU 차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84 0
5636 [스케일업] 릿툰 [1] 도영민 대표 “서비스 시작 전,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구축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60 0
5635 [스케일업] 퍼슬리 [1] 케어닥 “사업의 도구와 본질 구분하고, 성장 단계별 목표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43 0
5634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하이퍼센트 “백룸 시리즈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도전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73 0
5633 [KIDP 울산] 클로이수 “우리의 칠보, 세계인 사로잡을 ‘K럭셔리’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60 0
5632 틱톡 “이용자 신뢰·안전 위해 2조 7600억 원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77 0
5631 [주간스타트업동향] 펴다, 투자 경진대회 '공명전' 최종 우승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5438 0
5630 [스케일업] 우트 [1] 매드해터 "사업 방향은 명확하게, 브랜드·마케팅은 집요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78 0
5629 “비트코인 ETF, 명확한 제도적 기반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332 1
5628 사람마다 다른 車 보험료...절감하는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457 0
5627 [리뷰] 가장 진화한 NAS용 HDD, 웨스턴디지털 WD Red Pro 26TB HD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341 0
뉴스 ‘전국노래자랑’ 김연자-박상철-영탁-유지나-윤태화, ‘서울 광진구 편’ 스페셜 공연! 시상식급 라인업! ‘눈길’  디시트렌드 08.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