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고] 구글이 공간으로 말하는 일과 삶의 방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23 15:25:50
조회 5395 추천 2 댓글 0
[IT동아]

디지털 시대, 공간은 여전히 말한다.

구글에게 '공간'은 단순한 일터가 아니다. 일하는 방식이며, 조직 문화의 형상화, 브랜드 철학을 경험으로 풀어내는 물리적 언어다. 디지털 기술이 업무의 효율을 이끌었다면, 공간은 그 기술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를 묻는 질문이다.

구글은 그 질문에 '사람 중심의 공간'이라고 답한다. 책상과 회의실의 집합이 아닌, 다양한 개인이 창의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구조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집중한다. 이는 단지 기술기업으로서가 아니라 '사람과 기술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구글의 존재론적 질문에 대한 답변이라 생각한다.

구글은 여전히 전 세계 곳곳에 새로운 오피스를 짓고, 공간을 실험하며, 지역과 문화를 반영한 형태로 물리적 환경을 진화시켜 나간다. 창의성, 포용성, 지속 가능성, 이 세 가지 키워드는 전 세계 구글 오피스를 설계, 디자인하는 기준이자, 브랜드가 공간으로 말하는 방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무형의 문화를 유형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오늘날 오피스가 어떤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조망해본다.


구글 베이 뷰 빌딩 / 출처=구글 홈페이지


구글의 오피스 철학과 글로벌 전략


"세상의 정보를 정리하고, 모두가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Organizing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ing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 구글의 미션이다. 단지 제품과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정신은 오피스 공간 설계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구글에게 오피스란 1차원의 업무 환경이 아니라, 브랜드 철학과 조직 문화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플랫폼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2024년 기준, 구글은 전 세계 50개 국 이상에 70개 이상의 오피스를 운영하고 있다. 각 오피스는 공통된 철학 아래, 지역의 문화와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설계가 이뤄진다. 또한 다양성과 포용을 핵심 가치로 삼는 구글은 오피스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강화하고, 구성원이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있다.

태국 방콕 오피스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구글은 태국의 대중교통인 ‘BTS 스카이트레인’에서 착안한 그래픽 디자인을 내부 공간에 반영하고, 현지 사진작가와 협업한 벽화를 배치했다. 회의실에는 태국의 유명 섬 이름을 붙였으며, '툭툭(Tuk Tuk)'과 같은 전통 교통수단을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해 지역적 상징성을 강화했다. 이는 단순한 장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오피스는 지역성과 브랜드 철학이 만나는 지점이자, 직원들이 문화적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캠퍼스형 오피스 구조와 구글만의 차별 전략


구글의 오피스는 협업, 창의성, 유연성을 중심으로 구성된 '캠퍼스형 오피스'로 진화해왔다. 단순한 사물인터넷(IoT) 기술 적용이 아닌, 물리적 구조 자체를 창의적 사고와 교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글플렉스 캠퍼스 / 출처= 구글 홈페이지



대표적인 공간 전략 중 하나는 '우연한 만남'을 유도하는 구조다. 구글은 회의실, 라운지, 식당, 키친 등을 Z자형으로 배치해 다양한 팀 간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고, 복도 너머의 비형식적 대화가 아이디어로 연결되는 구조를 지향한다.

또한 구글의 상징색(파랑, 빨강, 노랑, 초록)을 활용한 색채 구획은 공간별 기능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며, 구성원의 감성에도 긍정적인 자극을 준다. 이러한 색 배치는 브랜드 표현을 넘어 공간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구글 오피스는 고정석 없는 구조와 모듈형 가구, 이동형 파티션 등 '사용자가 바꾸는 공간'을 실현하고 있다. 업무 목적에 따라 공간을 유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여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 창의적 몰입, 개인 집중 등 다양한 업무 방식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주요 사례로는 마운틴뷰의 구글플렉스(Googleplex)와 2022년 개관한 베이뷰 캠퍼스(Bay View Campus)가 있다. 베이뷰 캠퍼스는 곡선형 지붕과 자연채광 중심의 설계, 탄소중립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미국 내 최초로 구글이 자체 설계한 오피스이기도 하다. 이 공간은 일반적인 업무 공간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창의성이 공존하는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구글의 캠퍼스형 오피스는 그저 물리 공간이 아니라, 구글의 조직 문화와 철학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는 무대이자 실험실이다.

고객 접점 공간 – 구글 스토어 체험 중심 설계


오피스 공간이 조직 내부 문화를 설계하는 장치라면, 구글 스토어는 고객 접점 공간은 브랜드 철학을 외부에 보여주는 무대다. 구글은 이러한 공간 또한 제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장소만이 아니라, 브랜드 세계관을 '경험'이라는 언어로 전달하는 플랫폼으로 정의한다.


구글 스토어 첼시 / 출처=구글 홈페이지



뉴욕 첼시의 '구글 스토어 첼시', 이 공간은 전통적인 매장과는 다른, 체험 중심의 쇼룸으로 설계됐다. AR/VR 기술을 활용해 픽셀폰, 네스트 기기, 크롬북 등 구글 제품이 실제 일상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 지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디지털 기술과 물리 공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브랜드가 '사용자와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시연하는 것이다.

내부는 모두 친환경 자재로 구성됐으며, 제품 배치는 사용자의 행동 동선을 고려한 UX 기반 설계가 적용됐다. 예컨대, 사용자가 매장을 들어와 한 바퀴를 도는 동안 자연스럽게 구글의 제품 생태계를 이해하고, 기술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선이다.

구글 스토어는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맺는 거점이기도 하다. 매장 한쪽에는 다양한 문화 이벤트와 워크숍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어, 방문자가 소비자에서 브랜드 공동체의 일원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기술의 인간화와 브랜드의 감성화를 시도하는 구글의 전략이자, '기술과 사람의 관계형성'을 공간화한 접근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구글 스토어 공간은 비물리적 구글의 기술력을 물리적 경험으로 번역하는 실험 공간이다. 단지 기능을 시연하는 공간이 아니라, 기술이 인간의 삶에 어떤 방식으로 스며들 수 있는 지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브랜드 미디어로 작동한다.

구글의 공간 실험은 기술 기업의 전략을 넘어, 현대 도시와 일터, 생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문화 코드가 되고 있다. 구글은 공간을 통해 일과 삶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창의성, 포용성, 지속 가능성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공간 설계를 주도하고 있다. 이는 기능성뿐 아니라 철학, 감성, 지역성, 경험이 통합된 미래형 공간 설계의 방향을 제시한다.

글 / 정훈구 담장너머 대표 (wjdgnsrn95@naver.com)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공간기획사인 담장너머의 공동대표. 연세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전문가이며, 마포문화재단 전시 코디네이터, 하나금융 소셜벤처 창업 퍼실리테이터로도 활동했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민원제로] 3. 충성 고객과 극성 민원인은 같다!▶ [퀀텀 스타트업] 2. 양자컴퓨팅, 왜 '지금'인가?▶ AWS 서밋 서울 2025 '생성형 AI· 사업 현대화에 초점'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1 14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44 11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6 1578 2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5 17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0 1518 0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9 27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05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66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65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02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071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69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59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03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97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45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37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703 3
6051 운약근답올핏 "누워서 하는 AI 재활 운동, 건강 약자의 새로운 희망"[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28 0
6050 "누구나 제빵 즐기도록" 토스터즈, 개인화 발효종 관리 기술 개발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27 0
6049 스마트드림 “뇌 자극으로 식욕 완화, 두루미다이어트”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22 0
6048 “AI가 만드는 따뜻한 돌봄” 마크노바, HW·SW 통합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26 0
6047 AI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로 음악 산업 활성화 뒷받침…‘사운드엣’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6 0
6046 스타트업 교육·인력·해외진출 복합 서비스 구축하는 '인트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21 0
6045 “데이터는 버려지지 않는다”… AI로 기업 내 문서 정리하는 넥톤 ‘유링파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8506 2
6044 [고려대 초창패 2025] 912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음성 보안 기술, 피싱 폐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26 0
6043 프론트웍스 “블루프린트·작업실 기능 추가로 영상 제작 워크플로 완성”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18 0
6042 켐바이 “AI·데이터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동물실험 없는 안전한 사회 꿈꾼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23 0
6041 [스케일업] 릿툰 [2] 인스타툰 작가 3인이 말하는 숏툰 플랫폼의 가능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9 0
6040 파워테스크 “전문가도 놓치는 정보, 에이전트로 끝까지 찾아냅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2 0
6039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은? “공익 추구하는 기술기업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7 0
6038 오아시스 스튜디오 “영화 IP 확보로 OVP 활용도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3 0
6037 "마케팅·광고 대중화 시대" 팔레트, AI 기술로 경계 허문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8 0
6036 일상 맞춤형 모빌리티, PBV가 주도하는 이동 패러다임의 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15 0
6035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스토어, '지구박스 실속형'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18 0
6034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작업복 렌탈/관리 플랫폼 ‘데어바이’로 시장 바꿀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16 0
6033 인텔, 11월 한 달간 '서울 팝업스토어' 열고 AI PC 소개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64 0
6032 성북구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에서 꿈을 키우는 스타트업 2025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5 0
6031 마케팅 효율 높일 최적의 인플루언서 데이터 기반 매칭…‘스타일메이트’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52 0
6030 릿툰 “네이버 웹툰처럼 숏툰의 대명사 되고 싶어요”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62 0
6029 [위클리AI] 챗GPT 아틀라스 이어 챗GPT 포 카카오 출시…오픈AI 영향력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88 0
6028 아뮤즈8 "AI 데이터 자동 태깅 기술로 정보관리, 데이터 처리 혁신"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40 0
6027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세무] 스타트업 창업 시 놓쳐서는 안 될 혜택 ‘창업 세액감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58 0
6026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 [2] "생태계교란 식물에서 K-뷰티를 싹틔운 비결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5880 2
6025 파타고니아 꿈꾸는 인베랩의 도전 "AI·드론으로 생태계 복원"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41 0
6024 진교훈 강서구청장, “수출상담회로 우리기업 해외 진출 적극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33 0
6023 AI 시대, DX의 새로운 열쇠는 '노코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76 0
6022 중소기업 브랜딩을 위한 토털 솔루션, '핫한'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70 0
6021 AI 튜터로 소프트웨어 교육 효율 개선한다…’악어에듀’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68 0
6020 [KIDP 울산] 비어포트브로이 “성심당처럼 울산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 꿈꿔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5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