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터뷰] 이혁재 서울대 교수 “반도체 전문인력 부족…서울대가 찾은 해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29 15:22:32
조회 2321 추천 5 댓글 9
[IT동아 김동진 기자] 반도체 업계는 전문 인력의 부족을 끊임없이 호소하지만, 인력난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전공 학생 수가 크게 늘지 않은 데다가, 자율주행차와 같은 첨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반도체의 중요성이 더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재 확보 전쟁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는 2020년 3월, ‘인공지능반도체공학 연합전공’을 신설해 매년 80명의 반도체 전공자를 추가로 배출하기로 했다. 인력난을 해소할 만큼 충분한 숫자는 아니지만, 매년 순수 정원 20~30명 안팎의 반도체 전공자를 배출하던 서울대로서는 전공자를 4배 가까이 더 많이 배출할 수 있게 됐다. 연합전공 신설을 주관한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학부장을 만나 그간의 교육 내용과 향후 계획을 들어봤다.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 인공지능반도체공학 연합전공, 어떤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나

본인의 주전공 외에 반도체를 추가로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다. 지원자격은 학사과정 2개 정규학기 이상을 이수하고 평점 평균 2.7 이상인 서울대 학생이다. 복수전공 개념이지만, 기존 복수전공 제도와 차이가 있다. 기존 복수전공생은 전기정보공학부의 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지만, 연합전공생은 반도체에 맞춤화한 교과과정을 수강한다는 점이 다르다.

연합전공의 교과과정은 부족한 반도체 전문인력의 추가 배출을 목표로, 이론과 실무를 두루 익히도록 구성됐다. 예컨대 실습과목인 AI 시스템 설계 프로젝트와 AI 반도체 회로 설계 프로젝트, AI 반도체 소자 설계 프로젝트 총 3개의 실무수업 중 2과목을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AI 시스템을 함께 설계하며 반도체 지식을 나누고 원래의 주전공도 고도화할 수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공학 전공생은 자율주행 칩 개발을 경험하며 기존 내연기관차 외의 또 다른 자동차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타 전공생의 전공지식도 협업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인공지능반도체공학 연합전공 모집 공고



—인공지능반도체 전공생을 집중 배출하는 것이 주목표라고 들었다

반도체는 메모리와 비메모리로 구분된다. 우리나라가 잘 만드는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른 처리를 담당하는 칩이다. 인공지능반도체는 시스템반도체로도 불리는 비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는데, 앞으로 우리가 집중적으로 인재를 배출해야만 하는 분야다.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자율주행차가 목적지로 장애물을 피해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으려면, 알고리즘을 구현할 인공지능반도체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이 인공지능반도체를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하고 발전시키려면, 시스템반도체 전문인력이 풍성해야만 한다. 그렇다고 메모리 반도체 인력 양성을 배제하겠다는 뜻은 아니니 오해는 없었으면 한다.

— 정규 교과과정 외에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생들이 빠르게 반도체를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연합전공 내 비교과과정으로 ‘학생 인턴 연구’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연합전공 과정에 참여한 학생 중 희망자에 한해 교과과정과 별개로 반도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협업 연구과제를 부여하는 것이다.

예컨대 원격 시험 감독 서비스를 개발하라는 과제를 부여하면, 수험생 얼굴을 탐지해 신원을 확인하고 책상 위 스마트폰과 같은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물체가 있는지 탐지하는 기능을 개발하게 된다. 식당의 잔반을 예측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라는 과제를 부여하면, 잔반 예측 알고리즘을 팀원이 협업해 구현하고, CCTV카메라와 연동해 실시간으로 잔반 여부를 판별하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교과과정을 수강하면서 별도로 시간을 내서 참여하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열의가 대단하다. 이같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전공지식을 더 빠르게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개발 경진대회를 열어 수상자에게 해외 우수학회 참가를 지원하거나 학업장려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실습 중인 연합전공 학생들



—연합전공 향후 계획과 목표는

연합전공에 관한 학생들의 호응은 예상보다 뜨겁다. 첫 학기(2020년 1학기)에는 65명이 지원해 40명을 선발했다. 당시 경쟁률이 1.63:1이었는데, 다음 학기인 2022년 2학기 지원자는 136명으로 늘었다. 이 중에서 38명을 선발할 예정으로 경쟁률은 2년 사이 3.58:1까지 올랐다. 매 학기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고무적인 성과로, 정원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는지 검토할 예정이다.

연합전공 개설로 반도체를 전공하는 학생이 늘어나는 만큼, 반도체 전문인재를 지도할 수 있는 교수도 풍성히 배출됐으면 한다. 반도체 전공생을 추가로 모집해도 이 학생들을 지도할 교수가 부족하다면, 성과를 내기 어렵다. 반도체 산업계에 전문인력이 부족하지만, 학계에도 반도체 전공생을 지도할 교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지도자 과정에 관심있는 학생이 있다면 이 또한 적극 지원하겠다.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반도체 전문인재가 다양하게 배출되려면, 반도체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첨단 기술이 발전할수록 반도체는 더욱 깊숙하게 우리 생활 속에 파고든다. 자동차의 창문을 올리고 내리는 단순 작업에도, 밥솥의 밥을 몇 분이나 조리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에도 반도체가 쓰인다. 실제로 반도체 품귀 현상으로 인해 신차를 주문해도 출고까지 1년 이상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지 않나.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알아서 목적지를 찾아가는 자율주행차와 같은 첨단 기술을 구현하는 핵심 기반은 반도체다. 인재 확보 경쟁이 글로벌 차원에서 펼쳐지는 이유다.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고, 국가 차원의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각계각층에서 반도체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시기를 당부하고 싶다.

글 / 김동진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글로벌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 속속 국내 진출…공급망 안정화·일자리 창출 기대▶ 반도체 수급난, 러시아 침공 등 이어지는 악재에 광학 기기 가격 줄인상▶ 인텔 품에 안긴 타워 세미컨덕터, 광학 업계 “영향 미미할 것”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6083 콘텐츠 자산 체계적인 관리·활용 돕는 ‘텐밀리그램’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5 5 0
6082 AI 데이터센터 확보 경쟁, 사회적 갈등 극복이 관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4 5 0
6081 펫나우 "수출, 기술이전...반려동물 비문인식 성과 속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3 6 0
6080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키라앤컴퍼니·퍼슬리·포플러플래닛·프론트웍스 “사업 방향을 구체화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8 13 0
6079 [스케일업] 넥톤·도미노이펙트·릿툰·아틀로·안심하이 “기업 맞춤형 지원이라 유용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7 15 0
6078 강동구 청년해냄센터·서울창업센터 관악, 연합 IR 개최 “유망 스타트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 19 0
6077 인덱스핑거 “맞춤형 직원 찾아주는 AI 기반 채용 중개 플랫폼, 지금알바”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4 0
6076 맞춤형 AI 설계로 돋보이는 기업으로 탈바꿈 돕는 '도둠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51 0
6075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빙크리에이터, 日 돈키호테 입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45 0
6074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5978 2
6073 프랜킷 "소모품 수급에서 AI 리뷰 관리까지, 외식업자용 토털 솔루션 노린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57 0
6072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51 0
6071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48 0
6070 넥스트챌린지,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항로 여는 '어라운드 X 코스믹 오디세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4 0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87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37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164 4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72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072 3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76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81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08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06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73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124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99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89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1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21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69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61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767 3
6051 운약근답올핏 "누워서 하는 AI 재활 운동, 건강 약자의 새로운 희망"[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47 0
6050 "누구나 제빵 즐기도록" 토스터즈, 개인화 발효종 관리 기술 개발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48 0
6049 스마트드림 “뇌 자극으로 식욕 완화, 두루미다이어트”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52 0
6048 “AI가 만드는 따뜻한 돌봄” 마크노바, HW·SW 통합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67 0
6047 AI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로 음악 산업 활성화 뒷받침…‘사운드엣’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55 0
6046 스타트업 교육·인력·해외진출 복합 서비스 구축하는 '인트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9 0
6045 “데이터는 버려지지 않는다”… AI로 기업 내 문서 정리하는 넥톤 ‘유링파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8552 2
6044 [고려대 초창패 2025] 912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음성 보안 기술, 피싱 폐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6 0
6043 프론트웍스 “블루프린트·작업실 기능 추가로 영상 제작 워크플로 완성”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4 0
6042 켐바이 “AI·데이터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동물실험 없는 안전한 사회 꿈꾼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0 0
6041 [스케일업] 릿툰 [2] 인스타툰 작가 3인이 말하는 숏툰 플랫폼의 가능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44 0
6040 파워테스크 “전문가도 놓치는 정보, 에이전트로 끝까지 찾아냅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6 0
6039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은? “공익 추구하는 기술기업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41 0
6038 오아시스 스튜디오 “영화 IP 확보로 OVP 활용도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40 0
6037 "마케팅·광고 대중화 시대" 팔레트, AI 기술로 경계 허문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42 0
6036 일상 맞춤형 모빌리티, PBV가 주도하는 이동 패러다임의 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6 0
6035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스토어, '지구박스 실속형'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1 0
6034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작업복 렌탈/관리 플랫폼 ‘데어바이’로 시장 바꿀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