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코로나 19로 성장한 헬스케어 산업, 그 배경에 기술기업 협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01 17:04:04
조회 2106 추천 1 댓글 8
[IT동아 남시현 기자] 코로나 19는 전 세계 헬스케어 시장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헬스케어 시장은 바이오 기업이 주축을 이루며, 기술 기업들이 협력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모델이 변화하면서 기술 기업들이 전면에 나서는 상황이 됐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코로나 19로 인한 헬스케어 서비스의 변화로 △구성원 개별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서비스 및 케어 장소 변화 △ 환자와 의료진의 상호 작용에 가상 진료 도입 △ 경쟁 체제가 아닌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 체제 구축 △ 다른 산업에서의 성공한 기업이 새롭게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 △ 공평한 의료 서비스로 인종과 사회 경제적 지위 간의 건강 불균형 해소 등을 꼽았다.

코로나 19 직전과 달리 전 세계인의 공중 보건 확보라는 궁극적 목표를 두고 기관과 기업들이 힘을 합치고,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의 진보를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나 딜로이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60%가 건강 관련 가상 기술을 통해 개인 건강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고, 의사의 85%가 전자 의료 데이터를 통합하고 공유하는 방안이 향후 표준 관행이 될 것으로 보고 있어 의료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도 더욱 빠르게 진행될 예정이다. 코로나 19 기간 동안 헬스케어 서비스와 역량 확대에 집중한 인텔의 사례로 기술 기업들의 향방을 짚어본다.

인텔, 기술 기업의 헬스케어 시장 진출의 모범 사례



휴스턴 감리교 병원에서는 Medical Informatics Corp.의 식베이(Sickbay) 플랫폼을 활용해 환자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이 플랫폼은 인텔의 기술이니셔티브의 지원을 받았다. 출처=휴스턴 감리교 병원



인텔은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반도체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물론 인터넷 기반 기술과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 초연결시대에 통용되는 다양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헬스케어 사업 역시 2005년 당시 최고 경영자인 폴 오텔리니(Paul Otellini)의 주도로 본궤도에 올랐으며, 2022년 현재 의료 영상이나 로봇 공학, 원격 의료 및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예측 분석 등 인프라는 물론 정밀 의학 및 유전체학, 디지털 병리학까지 전방위적인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코로나 19 초기였던 2020년 4월, 전염병 대응 기술 이니셔티브(Pandemic Response Technology Initiative, 이하 PRTI)에 5천만 달러를 빠르게 지원했던 이유도 헬스케어 시장에 대한 확고한 역량이 있었기 때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당시 인텔은 코로나 19 테스트 및 코로나 바이러스 염기서열 해독을 위한 인텔 클라이언트 및 서버 솔루션을 배포하기 위해 인도 과학 산업 연구 위원회 및 국제 정보 기술 연구소와 협력했고, 일반 침대를 임상적 거리두기 및 치료 모니터링 용도로 변환하는 플랫폼의 제작을 지원하는 등 가능한 분야 전반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인텔코리아의 PRTI의 지원을 받은 삼텔 랩스의 ‘환자용 항바이러스 자율 이동체’. 출처=인텔코리아



인텔코리아 역시 국내 코로나 19 상황에 맞춘 지원을 이어왔다. 지난해 인텔코리아가 발표한 코로나 19 대응 기술 이니셔티브 국내 사례 공유에 따르면, 전 세계 170개 조직 230개 프로젝트가 PRTI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유전체 분석, 의료 인공지능, 의료 모빌리티 등 총 9개의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GC녹십자지놈은 유전체 분석에 특화된 인텔 셀렉트 솔루션을 활용해 코로나 19 혈장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유전자 분석 연구를 진행해 치료제의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의료 인공지능 기업 제이엘케이(JLK)는 인텔의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개발 도구인 오픈비노(OpenVINO)를 토대로 인공지능 의료 알고리즘을 탑재한 폐질환 분석 인공지능 솔루션인 ‘제이뷰어엑스(JVIEWER-X)’를 개발했다. 이 솔루션은 휴대용 엑스레이 카메라로 코로나 19를 비롯한 16가지 폐질환을 검출한다. 의료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 딥노이드(Deepnoid)는 인텔 제온 SP 서버 시스템을 활용해 코로나 19 원격 협진 서비스를 구축했으며, 인공지능 제조업체 삼텔 랩스(SAMtel Labs)는 코로나 19 감염 환자를 이송할 때 의료진을 보호하는 ‘환자용 항바이러스 자율 이동체’를 개발한 바 있다.

인텔코리아 김정욱 상무는 “2020년 팬데믹 상황 개선에 기여하고자 인텔 팬데믹 대응 기술 이니셔티브(PRTI)의 일환으로 국내 의료 파트너사들의 주요 프로젝트들을 지원해 왔다.”며 “CPU 및 오픈비노 툴킷 등 인텔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국내 AI 의료 솔루션의 적용과 확산에 기여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코로나 19 지원 넘어, 헬스케어 시장 성장에 공헌


코로나 19 대응 기술 개발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넘어 헬스케어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으로 성장하는 사례도 나왔다.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Lunit)은 GE 헬스케어와 협력해 인공지능 기반 흉부 엑스레이 분석 솔루션 ‘흉부 케어 스위트’를 구축했다. 여기에 GE 엑스레이 장비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인텔 오픈비노 기술을 활용해 솔루션을 연동했고, 그 결과 성능을 약 네 배까지 향상시켰다.


루닛 인사이트 CXR이 판독할 수 있는 증상에 대한 예시. 출처=루닛



이후 2021년 8월에는 폐 질환 진단 보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인 ‘루닛 인사이트 CXR’이 GPU는 물론 CPU에서도 동작하도록 만들었다. 루닛 인사이트 CXR은 흉부 엑스레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열 가지 비정상 소견을 97~99% 정확도로 검출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폐암 조기 진단부터 WHO가 전문의를 대신할 수 있는 결핵 진단 소프트웨어로 소개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루닛 인사이트 CXR의 인공지능 기술은 병렬 연산 처리 기능이 뛰어난 GPU를 활용해서 동작했지만 이를 범용성과 보급률이 높은 CPU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다. 덕분에 고가의 GPU 솔루션을 CPU로 대체함으로써 더 넓고 많은 분야에서 루닛 인사이트 CXR이 사용될 수 있게 됐다.


루닛 인사이트 CXR이 의료 현장의 엑스레이 판독에 활용되는 모습. 출처=루닛



루닛 인사이트를 도입한 의료기관은 올해 6월 500곳을 돌파한 지 4개월만에 10월 기준 1천 곳을 돌파했으며, 이중 80%는 아시아, 유럽, 중동, 중남미 등 해외 의료기관이다. 루닛은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루닛 인사이트 제품군을 허가받은 이후, 지난 6월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8월 대만 식품의약품청(TFDA) 등 주요 국가에서 루닛 인사이트 제품의 판매 승인을 획득했다. 또한 전 세계 흉부 엑스레이 및 유방촬영기기 시장 점유율 약 50%를 차지하는 GE헬스케어, 필립스, 후지필름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헬스케어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앞으로의 헬스케어 시장, 협력과 지원 밑바탕 되어야


코로나 19 이후 변화를 겪지 않는 산업 분야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중에서도 헬스케어는 공중 보건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급격한 체질 변화를 겪었다. 인텔은 PRT의 경험을 바탕으로 2021년에도 2천만 달러 규모의 인텔 라이즈 테크놀로지 이니셔티브를 통해 의료 및 교육, 경제 회복 등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과 쓰레기 발생 저감을 위한 자원 절약 프로젝트 투자, 다양성과 포용적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글로벌 포용 협의체(Alliance for Global Inclusion)에 대한 노력, 미국 전역의 산업과 연계하는 인공지능 연구소를 설립하는 AI 인큐베이터 네트워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인텔과 같은 기술 기업들의 협력이 있기에, 다양한 산업에서 더 높은 기준을 달성하는 셈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진일보한 시뮬레이션 기술로 자율주행 안정성 검증한 '모라이'▶ 이루다가 돌아왔다... 더 창의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인텔, 와이파이 7 2024년 상용화 위해 '주도적 역할'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영포티룩도 멋지게 소화할 것 같은 40대 스타는? 운영자 25/10/27 - -
6047 AI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로 음악 산업 활성화 뒷받침…‘사운드엣’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0 0
6046 스타트업 교육·인력·해외진출 복합 서비스 구축하는 '인트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9 0
6045 “데이터는 버려지지 않는다”… AI로 기업 내 문서 정리하는 넥톤 ‘유링파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4157 2
6044 [고려대 초창패 2025] 912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음성 보안 기술, 피싱 폐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4 0
6043 프론트웍스 “블루프린트·작업실 기능 추가로 영상 제작 워크플로 완성”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0 0
6042 켐바이 “AI·데이터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동물실험 없는 안전한 사회 꿈꾼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5 0
6041 [스케일업] 릿툰 [2] 인스타툰 작가 3인이 말하는 숏툰 플랫폼의 가능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40 0
6040 파워테스크 “전문가도 놓치는 정보, 에이전트로 끝까지 찾아냅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37 0
6039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은? “공익 추구하는 기술기업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42 0
6038 오아시스 스튜디오 “영화 IP 확보로 OVP 활용도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39 0
6037 "마케팅·광고 대중화 시대" 팔레트, AI 기술로 경계 허문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44 0
6036 일상 맞춤형 모빌리티, PBV가 주도하는 이동 패러다임의 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35 0
6035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스토어, '지구박스 실속형'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39 0
6034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작업복 렌탈/관리 플랫폼 ‘데어바이’로 시장 바꿀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32 0
6033 인텔, 11월 한 달간 '서울 팝업스토어' 열고 AI PC 소개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80 0
6032 성북구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에서 꿈을 키우는 스타트업 2025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46 0
6031 마케팅 효율 높일 최적의 인플루언서 데이터 기반 매칭…‘스타일메이트’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75 0
6030 릿툰 “네이버 웹툰처럼 숏툰의 대명사 되고 싶어요”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76 0
6029 [위클리AI] 챗GPT 아틀라스 이어 챗GPT 포 카카오 출시…오픈AI 영향력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98 0
6028 아뮤즈8 "AI 데이터 자동 태깅 기술로 정보관리, 데이터 처리 혁신"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72 0
6027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세무] 스타트업 창업 시 놓쳐서는 안 될 혜택 ‘창업 세액감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74 0
6026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 [2] "생태계교란 식물에서 K-뷰티를 싹틔운 비결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5777 2
6025 파타고니아 꿈꾸는 인베랩의 도전 "AI·드론으로 생태계 복원"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75 0
6024 진교훈 강서구청장, “수출상담회로 우리기업 해외 진출 적극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69 0
6023 AI 시대, DX의 새로운 열쇠는 '노코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11 0
6022 중소기업 브랜딩을 위한 토털 솔루션, '핫한'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06 0
6021 AI 튜터로 소프트웨어 교육 효율 개선한다…’악어에듀’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03 0
6020 [KIDP 울산] 비어포트브로이 “성심당처럼 울산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 꿈꿔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3 0
6019 장인홍 구로구청장 “G밸리 중소기업 해외 진출의 든든한 동반자될 것”…2025 수출상담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8 0
6018 금천구청, 2025 G밸리 수출상담회 성료…“지역 중소기업 해외 수출 활로 개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6 0
6017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제대로 확인해야 하는 이유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6 9089 3
6016 “우리나라 기술 기업들의 실력을 확인하다“ FIX 2025 이노베이션 어워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259 0
6015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96 0
6014 "하나 말고 다 쓸래" 개방형 찾아 떠나는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 기업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94 0
6013 글로벌 스타트업 플레이그라운드, 인바운드 활성화 위한 전략 공유로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83 0
6012 막대한 시간과 비용 드는 보험심사…AI로 전환해 효율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90 0
6011 코넥시오에이치 “전자상거래 데이터로 신용 증명…온라인 소상공인 금융 문턱 낮출 것”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81 0
6010 최용석·황성진 교수 “서경대 AI 퍼스널브랜딩, 누구든 9주만에 인생 책 작가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71 0
6009 지오그리드 “건물 수질 개선·관리하는 건물 정수기, 블로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214 0
6008 “피해자 구제가 나의 소명”…교통사고 전문 정경일 변호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213 0
60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공감 디지털 경영 혁신, NHN두레이가 한몫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219 0
6006 데이터스케쳐스 "누구나 3분 만에 웹사이트 제작 가능"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280 0
6005 카카오벤처스 ‘인사이트풀데이’ 개최···뷰티·헬스케어 산업 인사이트 공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275 0
6004 순천시 “2회 올텐가 성공리에 마쳐…세계 문화콘텐츠 도시 천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197 0
6003 SBA, 중남미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메르카도리브레 칠레’와 본격 협력 추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209 0
6002 [뉴스줌인] 삼성 갤럭시 XR 출시, 애플 비전 프로 넘을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6240 3
6001 화장품 소재 발굴부터 생산까지 과학자가 직접 책임진다…’위튼컴퍼니’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214 0
6000 AI 성능은 그대로, 용량은 더 적게··· 에너자이가 말하는 '극단적 양자화'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248 0
5999 [스타트업-ing] 이마고웍스 "글로벌 사업 확대…자동화 디지털 치과 생태계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204 1
5998 FIX 2025 “인공지능ㆍ로봇ㆍ모빌리티 등 미래 주도 기술이 한 자리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20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