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서울서 비둘기 먹이 줬다간 과태료…" 다른 지역·동물은 괜찮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7.07 12:40:05
조회 8799 추천 6 댓글 37


한때 '평화의 상징'이던 비둘기는 이제 도심에서 '닭둘기'라는 멸칭으로 불리며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이달 1일부터 비둘기 개체 수를 관리하기 위해 주요 공원과 광장에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참새나 까치 같은 다른 새나 동물에는 먹이를 줘도 괜찮은 걸까. 또 서울에서만 금지가 되는 걸까. 적용 대상과 장소, 그리고 이런 제도가 마련된 배경을 살펴봤다.

참새·까치 등 '유해야생동물' 모두 금지…한강공원, 광화문광장 등 38곳


비둘기 먹이 주기 금지는 '서울특별시 유해야생동물 먹이 주기 금지에 관한 조례'에 근거한다.

시는 조례 제정 목적에 대해 "유해야생동물에 먹이를 주는 행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설물, 공중보건 및 생활상 등의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례에서 말하는 '유해야생동물'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지정된 종을 뜻한다. 도심에서 자주 보이는 집비둘기도 여기에 포함된다. 분변과 털 날림으로 인한 문화재 훼손, 건물 부식, 위생 문제 등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비둘기 외에도 참새, 까치,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등이 농작물과 시설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돼있다.

유해야생동물에는 꿩,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 맹수 등도 포함된다.

즉, 도심에서 흔히 마주치는 비둘기뿐 아니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된 동물 모두에 먹이를 주다 적발될 경우에도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먹이 주기'는 유해야생동물에 정기적 또는 일시적으로 먹이를 주거나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먹이를 두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한다.

과태료는 1회 위반 시 20만원, 2회 위반 시 50만원, 3회 위반 시 100만원까지 부과된다.

다만 서울 전역이 금지 대상은 아니다.


서울시는 별도 고시를 통해 유해야생동물 먹이 주기가 금지되는 지역으로 공원 33곳, 광장 4곳, 문화재보호구역 1곳 등 총 38곳을 지정했다.

한강공원, 서울숲, 북서울꿈의숲, 광화문광장, 여의도광장 등 시민들이 자주 찾는 장소들이 포함됐으며 금지구역은 시장이 3년마다 변경 또는 해제를 검토할 수 있다.

이런 비슷한 제도가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 자치법규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경기 성남, 파주, 의정부, 동두천, 강원 삼척, 속초, 대구 달서구 등이 올해 서울시와 같은 내용의 조례를 제정해 시행을 앞두고 있다.

또 경기 부천시는 먹이 금지 대상을 유해야생동물 전체가 아닌 집비둘기에 한정한 조례를 제정했고, 경기 평택과 광주 남구는 비둘기, 참새, 까치, 까마귀 등 유해조류만 대상으로 먹이 주기를 금지한다.

대구 달서구 관계자는 "향후 몇 달간 간 비둘기 밀집지와 주민 민원을 분석해 금지장소를 정하고, 계도기간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며 "과태료 부과보다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 예방이 목적인 만큼 주민과 갈등을 피할 수 있게 소통도 활발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둘기 개체 수 조절이 핵심…해외도 골머리


조례에는 먹이 주기 금지 대상에 여러 동물이 포함돼 있지만, 제도의 실질적 초점은 비둘기 개체 수 조절에 맞춰져 있다.

비둘기의 도심 정착은 20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의 '멸종위기 양비둘기 보전 및 증식·복원 연구'(2016) 보고서에 따르면 집비둘기는 1960년대 이후 국내 크고 작은 행사에 동원하기 위해 수입됐고 사육 농가도 급증했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각각 3천마리가 방사됐고, 1985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배 고교야구 개막식, 한민족 체전 등 비둘기를 날리는 행사가 90차례나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서울시청과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은 한때 옥상에서 수천마리의 비둘기를 사육하기도 했다.

천적이 없는 도시에서 비둘기는 고층 빌딩을 집으로 삼고 넘쳐나는 쓰레기들을 먹으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개체 수 급증은 다양한 문제를 동반했다.

강한 산성을 띤 분변은 오래된 건축물과 문화재, 차량 등에 복구가 어려운 손상을 일으켰다. 털 날림과 분변은 위생 문제와 함께 도시 미관 훼손의 주범이기도 하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4월부터 11월까지 비둘기 집단 서식지 50곳에서 분변 60건을 채취한 결과, 사람에게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이 각각 1.7%, 6.7% 확인되기도 했다.

비둘기로 골머리를 앓는 것은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다. 세계 각지에서도 이미 비둘기 개체 수 조절을 위해 여러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로 유명한 싱가포르는 전역에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면 최대 1만 싱가포르달러(약 1천만원)까지 벌금을 부과한다. 공원에서 먹이를 뿌리는 행위뿐만 아니라 창문턱에 모이를 두거나, 고층에서 조류를 사육하는 행위도 금지한다. 싱가포르 국립환경청 누리집에 따르면 2021년 2월부터 2년간 270명 이상이 경고와 벌금을 부과받았다.

영국은 먹이 제공·판매 행위를 금지하고 위반 시 벌금을 부과한다. 스위스는 먹이 주기를 금지하고 번식 방지를 위해 비둘기집의 알을 모조 알로 교체한다. 캐나다는 천적인 매를 사육·방사하고 공포탄을 사용해 비둘기를 쫓고 있다.



▶ "취약근로자도 가입" 고용보험 가입기준 '근로시간→소득' 개편…▶ "최대 4천원 감면" 수도요금 전자고지·자동납부 신청하세요▶ "서울서 비둘기 먹이 줬다간 과태료…" 다른 지역·동물은 괜찮나▶ "서울 전역에 올여름 첫 폭염경보…" 작년보다 18일 빨라▶ "배드뱅크 재원 절반 2금융권서도 부담…" 빚탕감 속도낼듯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1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13715 "규제 다 피해갔다" 6억원대 수도권 막차 '신축 대단지 아파트' 청약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6 0
13714 "대출 규제 허점 있었나?" 갭투자 우회 방법 공유되고 있다고? '논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9 0
13713 "이건 아니잖아?" 테슬라, 머스크 '아메리카당' 창당에 주가 대폭락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7 0
13712 "우리는 어떡하라고" 이미 미분양 쌓였는데 집값 더 떨어진 수도권 '이 지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6 0
13711 "이 정도면 해볼만하지" 연 38% 수익률에 AAA 등급 '이 채권' 투자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1 0
13710 "어차피 서울 집값 오를 것" 대놓고 아파트값 '상승' 전망한 오세훈 서울시장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73 0
13709 "라면·빵·커피, 최대 반값 할인" 정부, 식품·유통업계 손잡고 대규모 세일 [1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2831 1
13708 "삼성전자 어닝쇼크 남 일 아냐" 車·철강·정유도 2분기 부진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94 0
13707 "신차 사지 않는 20·30대" 60·70대 비중은 10년새 최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5 0
13706 "서울생활 더 스마트하게…"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10월 통합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70 0
13705 "최대 98% 할인" 에어부산, 휴가철 23개 노선 프로모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57 0
13704 "동학개미가 서학개미 앞섰다" 6월 주식 투자 수익률, 대체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58 0
13703 "韓에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트럼프, 14개국에 관세 서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8 0
13702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67 0
13701 "지역주택조합 30%는 분쟁 중" 정부, 45년만에 제도 '대수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43 0
13700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 MZ세대의 불신 잠재울까?"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8 85 0
13699 "우린 대출규제 안 받아요" 시세차익만 10억 예상되는 마지막 '서울 신축' 청약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34 0
13698 "여보 우리 이제 어떡해" 벌써 4억원 떨어진 '신축 대단지 아파트' 전망 분석 [2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6150 9
13697 "버텨도 소용없다" 맛보기 대출규제에 '반토막' 난 서울 부동산, 건설사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49 1
13696 "인근 대비 3억이나 저렴" 대출규제에 '착한 가격 아파트' 어디? 관심 폭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27 0
13695 "보름간 1500회 이상 지진 발생" 일본 '7월 대지진설' 불안 공포 현실로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18 1
13694 "요건 몰랐지?" 초강력 대출규제에 '편법' 공유하는 부동산 투자 커뮤니티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11 0
13693 "학력·경력 불문 '공정채용 방식'"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공모… [50]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9991 3
13692 "대출 규제에도…" 2명 중 1명은 하반기 집값 상승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26 0
13691 "이참에 나도 옮길까" SKT 위약금 면제 첫날 번호이동 3천800여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87 0
13690 "워터파크 이용권 등 할인" 롯데온, 5일간 '엘데이 행사'…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13 0
13689 "취약근로자도 가입" 고용보험 가입기준 '근로시간→소득' 개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09 0
13688 "최대 4천원 감면" 수도요금 전자고지·자동납부 신청하세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13 0
"서울서 비둘기 먹이 줬다간 과태료…" 다른 지역·동물은 괜찮나 [3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8799 6
13686 "서울 전역에 올여름 첫 폭염경보…" 작년보다 18일 빨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03 0
13685 "배드뱅크 재원 절반 2금융권서도 부담…" 빚탕감 속도낼듯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97 0
13684 "특고·1인사업자 출산급여 128억 증액" 올해 2만여명 지원 가능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96 0
13683 "성실상환자 혜택은?" '빚 탕감' 형평성 논란에 '이자 감면·만기 연장' 지원 [10]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2808 1
13682 "21일부터 1인당 15~55만원 지급"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방법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74 0
13681 "국내에서 유일하다니까요" 업계 재평가 후 폭발 상승한 '이 회사'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83 0
13680 "월세 120만원 더 내라고" 사라지는 서울 전세 세입자 '후폭풍' 장기 전망 분석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224 0
13679 "제발 살려주세요" 영끌로 갭투자 노렸던 3040 수도권 분양시장 '패닉' 전망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313 1
13678 "집값 주춤해서 행복하신가요?" 결국 오를 수밖에 없는 '서울 아파트'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82 0
13677 "1인당 150만원 고용장려금" 강남구, 신규 채용 소상공인 혜택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71 0
13676 "'6억원 제한' 초강수에..."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 '반토막' 났다 [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6427 4
13675 "정책서민금융상품 너무 많아…통합하고 민간금융사 연계해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45 0
13674 "연말 몰리면 4시간 대기" 올해 운전면허 갱신 대상 490만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52 0
13673 "앱이 불편하면 전화로 부르세요"…서울시 '동행 온다콜택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43 0
13672 "LH, 청년·신혼 매입임대 4천190가구 청약 접수 하세요" 7일~9일 기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51 0
13671 "삼성·LG전자, '으뜸효율 가전 환급사업' 맞춰 구매혜택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211 0
13670 "작년 폐업자 100만명 처음 넘었다…" 소매업·음식점이 거의 절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40 0
13669 "치매에도 날 기억한 할머니"…알츠하이머 단초 찾는 연구 됐다 [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6752 7
13668 "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40 0
13667 "코웃음 치더니" 아무 영향 없다던 '강남 아파트' 매수심리 하락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5 328 0
13666 "이러다 상투 잡을라" 활활 타올랐던 서울 아파트 '계약 취소'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5 272 0
뉴스 MBN, 제과제빵 오디션 '천하제빵' 하반기 방송 디시트렌드 07.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