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불공정을 손가락질 하는 마음들

운영자 2010.09.14 14:16:14
조회 320 추천 0 댓글 2

    며칠 전 유명언론사 주필을 지냈던 후배와 얘기를 나눴다. 예전에는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었는데 지금은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의견이었다. 돈이 없으면 대학도 로스쿨도 다닐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공정한 사회’라는 테마는 시의적절하다는 것이다.

 

    문득 대학시절 어느 비오는 날의 기억이 떠올랐다. 북한산 자락의 암자에서 들었던 뒷방 하숙생의 신세한탄이었다. 월남전에 참전한 그는 제대 후 우체국의 말단서기가 됐다. 어느 날 그는 무심히 담배를 문 채 돈을 세다가 목이 잘렸다. 별다른 배경이 없어도 독하게 공부만 하면 기회가 있던 시절이었다. 일 년 만에 그는 행정고시에 합격하고 5단계를 뛰어오른 중견공무원이 됐다. 그 시절 고시는 패자부활전의 좋은 통로였다. 또 다른 비유를 하자면 로또복권과 비슷하다고 할까? 당첨되는 것도 좋지만 무지개빛 꿈이 아픈 현실을 위로해 주곤 했다.

 

    내가 목격한 인생역전의 경우도 많았다. 신문에서 거명된 총리후보를 보고 피식 웃었다. 경례를 안했다고 억울하게 영창에 갔다 온 후 그는 고시공부를 했었다. 근엄한 서울의 한 법원장은 젊은 시절 기업에 취직하는 게 소원이었다. 형사 앞 철 의자에 앉아 조사받던 청년이 머리 희끗한 법원장이 되어 미소를 짓기도 한다. 상고를 졸업하고 토굴 속에서 고시를 준비하던 노무현 대통령도 역시 대표적인 인생역전이었다. 누구나 대통령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누구나 대통령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어야 공정한 사회가 아닐까? 가부장적 세습의 전제왕권에 공산주의라는 가짜 상표만 붙인 북한보다 회사원이 대통령이 된 대한민국이 훨씬 건강하다. 작은 거짓말에도 총리와 장관후보가 낙마하고 장관 딸의 특혜가 거론되자 즉각 각료가 경질되는 사회는 그래도 희망이 있다.

 

    20년 변호사 생활에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 세상이 왜 이렇게 불공정하냐는 것이다. 맞는 소리다. 세상은 그랬다. 그런데 천국이 아닌 한 정의가 강물같이 흘러가는 곳은 현실에는 없었다. 그런데 내가 화가 나는 것은 자신은 적당히 해도 세상은 공정해야 한다는 이중성이었다. 잘못을 하고도 책임은 지지 않으려고들 했다. ‘공정한 사회’라는 화두에 대한 개념정의를 분명히 해야 할 것 같다. 게으른 꼴등이 일등과 같다면 그리고 개미같이 노동한 사람과 베짱이 같이 놀기만 한 사람이 같다면 그건 공정이 아니다.

 

    우리사회는 ‘독 속의 게’같이 조금 올라가려는 것들은 모두 뒤에서 잡아끌어 바닥으로 내동댕이치고 통쾌해 한다. 백년 전통을 자랑하던 명문중고등학교는 평준화라는 명목으로 사라져 버린 지 오래다. 대학도 그렇고 개혁이란 명분으로 고시제도도 없어져 간다. 그럴싸한 명분은 넘치지만 이면에는 시기와 증오가 또아리를 틀고 있다. 청문회에서 각료후보들이 만신창이가 되는 걸 보면 피를 보고 관중들이 흥분하는 로마의 검투장이 연상된다. 공정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마음부터 바뀌어야 한다. 모두가 장관이나 교수가 될 수 없고 부자도 되고 싶다고 해서 모두 돈이 따라오는 것도 아니다. 조물주가 태어날 때부터 각자에게 준 지능과 배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키케로는 ‘각자에게 그의 것을’ 주는 게 정의라고 했다. 공부는 못하더라도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데 만족한 사회가 공정한 사회다. 영국의 경우 이튼스쿨은 나라를 다스릴 엘리트를 만들어 내는 곳이다. 그러나 아핑검 스쿨은 한 가지 기능이라도 철저히 갈고 닦을 수 있는 장인 교육장이다. 그걸 불공정하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자연도 그렇다. 나무들은 음침한 계곡에서 태어남을 원망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햇볕 좋은 산등성이에서 있는 것을 자랑스러워하지도 않는다. 소나무는 진달래를 무시하지 않는다. 진달래는 소나무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각자 자기 자리에서 나름대로 살아가면서 산을 푸르게도 하고 붉게 물들이기도 한다. 우리사회도 그런 조화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높고 낮음이 아니라 너는 빨강이고 나는 노랑이다라는 색깔의 차이정도로 다름을 인식하면 안 될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75 영혼을 마비시키는 금력시대 운영자 10.10.11 234 1
274 로스쿨 운영자 10.10.11 417 2
273 어느 음악선생의 감옥여행 3 [4] 운영자 10.10.04 435 1
272 어느 음악선생의 감옥여행 2 운영자 10.10.04 325 0
271 어느 음악선생의 감옥여행 1 운영자 10.10.04 388 0
270 정치인의 고소 [1] 운영자 10.09.28 302 0
269 의뢰인의 질 운영자 10.09.28 250 1
268 법조윤리협의회 운영자 10.09.28 226 0
267 망상환자 운영자 10.09.28 312 1
266 국가정보원에 대해 [1] 운영자 10.09.28 524 1
265 여군 조정사의 승리 운영자 10.09.28 325 0
264 배심제 [7] 운영자 10.09.21 587 0
263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 운영자 10.09.21 770 0
262 법원과 국민의 인식 차이 [1] 운영자 10.09.21 329 1
261 박철 판사의 문학 판결문 [4] 운영자 10.09.16 1036 0
260 이명박 정권의 법치주의 [1] 운영자 10.09.16 496 1
259 변호사의 소중한 무대 [1] 운영자 10.09.16 317 1
258 상어변호사들 [3] 운영자 10.09.14 728 1
257 사법공무원 [5] 운영자 10.09.14 663 0
불공정을 손가락질 하는 마음들 [2] 운영자 10.09.14 320 0
255 화타 노인의 분노 2 [3] 운영자 10.09.09 817 0
254 화타 노인의 분노 1 [1] 운영자 10.09.09 649 0
253 나의 훈련소 시절 [4] 운영자 10.09.09 657 0
252 넓은 사무실과 큰 책상의 해독 2 [1] 운영자 10.09.07 374 0
251 넓은 사무실과 큰 책상의 해독 1 운영자 10.09.07 407 0
250 상담료 [4] 운영자 10.09.07 719 0
249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8 결 론 운영자 10.09.02 454 0
248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7 어느 판사의 명 연출 [10] 운영자 10.09.02 3139 0
247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6 아름다운 판결문 [1] 운영자 10.09.02 700 0
246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5 이게 뭡니까? 운영자 10.08.31 348 0
245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4 언어가 다른 법정 운영자 10.08.31 345 0
244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3 투사가 된 변호사회장 운영자 10.08.31 345 0
243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2 써내도 읽지를 않아요 운영자 10.08.26 406 0
242 법관속의 밀과 가라지 - 1 소복 입은 여자 운영자 10.08.26 446 0
241 노인이 되는 법 운영자 10.08.26 398 0
240 늙은 농부 운영자 10.08.24 285 1
239 마음이 사는 방 운영자 10.08.24 233 1
238 상재, 중재, 하재 [3] 운영자 10.08.24 457 0
237 이웅섭 소아과 의원 [3] 운영자 10.08.20 651 0
236 오 해 2 [2] 운영자 10.08.20 373 0
235 오 해 1 운영자 10.08.20 369 0
234 지옥도(地獄圖) 2 운영자 10.08.17 409 0
233 지옥도(地獄圖) 1 운영자 10.08.17 521 0
232 검찰직원의 권위주의 운영자 10.08.17 727 1
231 지압사 황사장의 부자 관찰기 [1] 운영자 10.08.12 602 1
230 소설가 정을병씨의 죽음 13 [3] 운영자 10.08.12 456 0
229 소설가 정을병씨의 죽음 12 운영자 10.08.12 391 0
228 소설가 정을병씨의 죽음 11 운영자 10.08.10 361 0
227 소설가 정을병씨의 죽음 10 운영자 10.08.10 442 0
226 소설가 정을병씨의 죽음 9 운영자 10.08.10 35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