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탁드립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인이 기자들에게 한 말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6.11 14:31:01
조회 2027 추천 2 댓글 2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봉준호 감독이 기자들에게 한 말은?




영화 ‘기생충’과 ‘어벤져스’ 감독이 말한 스포일러 

스포일러의 기준과 홀드백(Holdback) 

진화심리학에 기반한 스포일러의 심리 


“실례를 무릅쓰고 간곡히 부탁드린다. 이 영화에 대한 기사를 쓰실 때, 스토리 전개에 대해서 최대한 감춰주신다면 저희 제작진에게 큰 선물이 될 것 같다”



영화 '기생충' 스틸컷 캡처


봉준호 감독이 5월말 칸 영화제에서 영화 ‘기생충’을 처음으로 공개할 때 한 이야기다.  

감독이 직접 ‘스포일러 금지령’을 내린 것이다. 스포일러(spoiler)란 영화나 소설의 내용을 예비 관객이나 독자들에게 미리 밝히는 것이다.영화의 주요 내용이나 결말, 반전 등을 미리 알려 예비 관객의 흥미를 떨어뜨린다.  


영화계 종사자들은 스포일러에 민감하다. 예비관객들이 영화를 보기도 전에 주요 정보를 알면, 영화관을 찾아 직접 볼 가능성이 줄 수밖에 없다. 스릴러나 추적 영화의 경우 스포일러로 인한 피해가 더 크다. 영화 속 범인의 정체가 궁금해서, 반전을 보는 맛에 극장을 찾는 사람이 많다. 영화 수익에도 영향을 미친다.



감독 몰래 영화의 부제를 스포했던 톰 홀랜드(Tom Holland). /톰 홀랜드(@tomholland2013) 인스타그램 캡처



영화 '어벤져스:인피니티 워' 캠페인 영상에서 테이프로 입을 막고 등장한 톰 홀랜드(Tom Holland). /Facebook 'marvel.kr'


◇ 심지어 ‘어벤져스’ 등장인물들도 결말을 몰랐다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 ‘스파이더맨’을 연기한 톰 홀랜드는 마지막 장면을 촬영할 때까지도 결말을 몰랐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마블의 ‘스포일러 관리법’이었다. 톰 홀랜드는 5월 미국 ABC '지미 키멜 라이브'에 출연해 "'어벤져스4'의 후반부 장면이 토니 스타크(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결혼식이라고 해 그렇게 알고 있었다"라고 했다. 제작진은 톰 홀랜드에게 전체 대본이 아닌 맡은 역할 대사만 주기도 했다.  


또한 ‘헐크’의 마크 러팔로는 “영화의 엔딩을 여러 개 촬영했다. 그 중 하나는 ‘캡틴 아메리카’인 크리스 에반스가 결혼하는 장면이었다”고 말했다. 물론 실제 결말은 달랐다. 제작진들이 배우들에게 영화에 쓰지 않을 장면들을 촬영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마블은 출연 배우에게까지 결말을 숨기며 스포일러를 막기 위해 애를 썼다.



‘어벤져스4’ 안소니 루소·조 루소 감독과 마블 스튜디오 사장인 케빈 파이기의 '노 스포일러' 캠페인. /'어벤져스' 중국 웨이보


‘어벤져스4’ 안소니 루소·조 루소 감독도 봉준호 감독처럼 직접 스포일러를 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루소·조 루소 감독은 인스타그램에 ‘어벤져스4’ 개봉 전 "기억하세요. 타노스는 여전히 당신의 침묵을 요구합니다"(Remember, Thanos still demands your silence)”라는 글을 올렸다. 조 루소 감독은 5월5일 “스포일러 금지가 6일 풀린다”며 공식적으로 스포일러 해제 시점을 알리기도 했다. ‘스포일러 주의’ 마케팅은 성공적이었다. ‘어벤져스4’는 누적 관객 수 1384만9054명(4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을 모아 역대 국내 개봉 외화 중 최고 흥행 기록을 세웠다.


◇ “그 영화 재밌더라”는 말도 스포일러일까? 

스포일러의 기준은 무엇일까. 개봉한 지 10년도 더 지난 영화의 결말을 말하는 것도 스포일러일까. 내용이 아닌 ‘재밌더라’라는 후기를 전하는 것도 스포일까.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배우들의 '노 스포일러' 캠페인 영상. /Facebook 'marvel.kr'


일각에서는 스포일러의 기준을 홀드백(Holdback)의 기간으로 본다. 홀드백이란 한 영화의 부가 판권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영화의 경우 극장 상영 기간이 끝나고 VOD 서비스를 하기까지 약 한 달을 말한다. 방송은 실시간 방송 이후 VOD 서비스가 되기까지 약 1시간 정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방송의 경우 홀드백이 거의 없다. 인터넷을 통해 거의 동시에 방송을 보는 서비스가 많기 때문이다.  이른바 OTT(Over The Top) 사용자들은 방송이 전파를 타자마자 인터넷을 통해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관계자들은 ‘제작비를 회수하는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때’라는 현실적인 기준을 제안하기도 했다. 


법조계 일각에선 영상물을 불법 유통하는 것은 명백한 저작권 침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영상물의 내용을 거론하는 행위는 저작권 침해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법률사무소 서담의 최은미 변호사는 “스포를 한다고 해서 형사 처벌은 사실상 어렵다. 민사상 손해배상도 어렵다”고 했다. 현재 스포일러를 규정하는 법이나 스포일러를 처벌하는 법규는 없다. 만약 처벌 규정이 있다고 해도 영화사가 감독이 스포일러를 실제 고소, 고발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스포일러도 고객 혹은 관객이기 때문이다. 



식당에 붙은 스포일러 자제 공지문. /온라인 커뮤니티


◇ 스포일러에 대한 두려움은 19세기 


“식사중에 영화 스포일러 자제 부탁드려요. 다른 손님이 들으세요” 

영화관 근처 식당에 붙은 공지문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스포일러’라는 말만 들어도 치를 떤다. 스포일러를 한 사람이 집단구타를 당하거나 심지어 살해 협박을 받는 사건도 있었다.



책 '흰옷을 입은 여인'. /교보문고 홈페이지


스포일러란 말이 처음 나온 시기는 언제일까. 영국 엑스터 대학 영문학 강사 제임스 그린은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라고 말한다. 그린은 BBC와 인터뷰를 하면서 윌리엄 윌키 콜린스의 1859년 미스터리 소설 '흰옷을 입은 여인'을 예로 들었다. 이 소설의 결말을 두고 도박을 하는 사람들까지 생겨났다. 결국 윌리엄 윌키 콜린스는 비평가들에게 "책의 자세한 내용을 말하지 말아달라"고 부탁을 했다. 시작은 책이었지만 지금은 영화가 스포일러에 주로 피해를 본다. 



영화 '기생충' 스틸컷 캡처


◇ “영화 ‘OOO’에서 ‘XX’가 범인이야” 진화심리학에서 본 스포일러를 하는 이유 


스포일러들은 왜 영화 속 중요한 반전이나 결말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하는걸까. 정신의학전문가들은 스포일러들의 심리를 ‘진화심리학’으로 설명한다. ‘진화심리학’은 진화론을 기반으로 인간의 심리를 풀이한다. 


정보를 선점하면 권력을 쥘 수 있다. 스포일러들은 정보를 선점해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며 일종의 희열을 느낀다. 정보를 선점한 ‘내가 우월하다’는 자기만족에 빠지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스포일러들의 행동이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는 이기적인 행위라고 지적한다. 최은미 변호사는 “스포를 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법은 최소한의 도덕“이라고 말했다. 법대로 해서 문제가 없다고, 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글 CCBB 임헌진 

시시비비랩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6107 청약 땐 '앗 뜨거', 입주 땐 '썰렁'..행복주택에 무슨 일이 [119]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8304 34
6106 8억 쓴 'I·SEOUL·U' 7년만에 바꾼다..이번엔 또 뭐? [308]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6534 51
6105 졸업 후 11개월 걸려 들어간 직장, 1년반 만에 떠나는 이유? [7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3171 19
6104 '달' 팔아 140억원 벌었다는 '현대판 봉이 김선달'은 누구? [4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9707 12
6103 "졸업하기 어렵네.."독후감∙한자부터 코딩까지 인증해야 [11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3833 15
6102 300개 국내기업이 연 '뉴 스페이스' 첫걸음 [20]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8158 2
6101 해외 취업에선 토익∙컴활∙한국사 대신 '이것' 봅니다 [51]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983 12
6100 600만원짜린데 감자보다 작은 스테이크, 담요도 없다 [66]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5111 20
6099 독박숙직부터 임금차별까지..'이것' 어기면 1억원 물어야 [126]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8788 6
6098 개인정보 유출 공무원의 말로는?.."이젠 즉시 파면" [36]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3571 30
6097 디카프리오와 SK도 투자했다는 '이곳'..정체는? [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282 2
6096 "비자 발급해 드립니다" 원격근무자 유치 경쟁 [1]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11 2
6095 키스신도 찍는 AI 배우..연기 실력은? [6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8754 10
6094 동요부터 여성 위한 센슈얼 콘텐츠까지.. [9]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3034 3
6093 '여름 특수' 노리는 여행업계, 연봉인상·특별 보너스 지급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071 0
6092 "12시에 만나요 부라보콘~"..소리없는 CM송의 탄생 [11]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3509 2
6091 BMW, 벤츠 꺾은 올 하반기 가장 기대되는 신차 1위는? [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2642 1
6090 10대도 쉽게 구한다더니… '악마의 마약' 펜타닐 비상 [64]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6893 29
6089 '굿샷'보다 '인증샷'..MZ세대는 왜 '이 운동'에 빠졌을까? [58]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5873 4
6088 K-드라마 시즌2 확정한 넷플릭스의 속내 [3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5167 9
6087 '리틀포레스트' 꿈꾸지만..농촌 향한 청년들의 현실은? [20]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2622 2
6086 "하늘에서 편의점이 내려옵니다" 드론 배달 경쟁 시작 [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748 0
6085 시간당 9620원, 알바생 10명 중 7명은 만족..사장님은? [4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3459 4
6084 어디서 일해도 괜찮다는 한국 회사, 어디? [21]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3530 6
6083 요즘 정리해고 움직임 활발하다는 '이곳' [1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3717 3
6082 "글램핑, 인공수정 비용도 내줍니다"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607 0
6081 삼성·SK·현대차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나선 이유 [2]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985 1
6080 마흔 넘어 일본서 창업한 개발자의 도전 [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791 0
6079 선장 없이 가는 '바다의 테슬라'..선박도 '자율운항' 시대 [2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1958 3
6078 공무원 5년간 안 늘리고, 신규 채용 줄여..'작은 정부' 시동 [64]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3575 18
6077 게임처럼 레벨 오르면 월급도 오르는 회사 [2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5783 11
6076 두유 노 '갑질(gapjil)'?..해외서 주목한 한국의 직장 내 괴롭힘 [3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4196 26
6075 '믿고 싶은' 100년 미 증시 교훈 [10]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3560 21
6074 물가 오르고, 주가 빠져야 수익률 뛴다..'청개구리' 투자에 쏠린 눈 [10]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3381 1
6073 '의사 연봉킹'은 4.9억 흉부외과..성형외과 전문의 2배 넘어 [99]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7219 4
6072 비장애인이 장애인 연기 잘하면 연기파 배우? [124]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9493 19
6071 "집밥보다 싸다"..고물가에 날개 단 밀키트 [81]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4853 3
6070 웹에선 1만원, 앱 1만2000원..앱 결제하면 호구? [8]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4696 7
6069 "퇴사해서 고마워"..급성장 멎은 곳엔 해고 바람만 [1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4039 11
6068 "언제는 모셔가더니.." 잘 나가는 회사가 돌변한 이유 [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1586 1
6067 "바닥은 언제?"..국내·외 유니콘 기업들 몸값 폭락 [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1718 2
6066 창업·취업으로 뜨는 자격증 따로 있다던데.. [2]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1430 2
6065 "주방서 넘어져도 산재"..재택근무법 만든 프랑스·독일 [15]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2709 3
6064 VJ 울린 '폐지 할머니' 기억하시나요? [84]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7255 20
6063 "반바지 운동화 차림으로 출근하세요" [2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3630 1
6062 싸이월드가 쏘아올린 '디지털 유산 상속'..애플·구글의 해법은? [40]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7559 8
6061 한국서 잇따라 철수하는 해외 공유 킥보드 업체, 왜 [246]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1836 47
6060 철없는 노동부..주52시간 개편 기로에서 '야근송' 추천 [13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0128 55
6059 "이번에 내릴 역이 하나은행역이라고?" [53]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8070 8
6058 "그가 아니었으면, KF-21 전투기도 없었다" [37] CCBBL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9351 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