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군 특공대는 말 그대로 특수한 공격 또는 침투 방식을 익힌 야전군 부대가 대규모로 적지종심에 침투하여 작전하는 정예 부대들을 뜻 하는데,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소속은 아닙니다.
헬리본(헬기 공중강습) 작전과 정찰 / 수색 / 요인암살 등을 수행하며 북한의 20만에 달하는 경보병 및 특공부대에 대항 하기위해 적어도 70년대 이후부터 유사부대가 창설되면서, 현재의 전술개념이 완벽하게 확립되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특공대의 임무개념 및 특수부대와 차이점

위 사진에서 윗쪽은 제 5군단 제 705 특공연대이고, 아랫쪽은 특수전사령부 소속의 공수특전여단 사진인데, 특공대와 특수부대의 차이를 모르시는 분들은 둘 다 같은 부대로 오인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공대는 어디까지나 특수한 공격/작전방식으로 정예화된 야전군의 대규모 인원이 적지종심에 침투해 전투작전을 수행하는, 그러니까, 공수부대나 강습부대 개념과 동일한 국가전략기동군 또는 정예부대라고 볼 수 있는데

(특전사 천마부대 장병)
반면 특전사는 특수전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은 그 분야 전문가이자, 적진에 소규모 팀단위로 침투해 비대칭 작전등을 주축으로 수행하는 좀 더 전문화된 특수부대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제한적인 특수전을 수행가능하고 정예화된 대규모 인원들이 야전군 편제에 포함되고 적진을 강습해서 줴다 때려부수고 다니느냐, 아니면 소규모 특수전 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이 프로페셔널하게 요인암살과 적 시설물 폭파와 사보타주 (조업중단 / 반란세력 규합) 등을 수행해 전세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느냐의 차이라 볼 수 있습니다.
특공대의 편제와 기본단위

특전사와 차이를 말씀 드렸다시피, 어디까지나 비대칭작전과 소규모 특수전을 수행하는 부대가 아니라, 일반 야전부대에 상위급에 해당된 정예인원에게 제한적인 특수임무와 강습작전을 부여한 것이기에, 특수전사령부와는 관계가 없고 야전군사령부급 부대나 예하 군단의 직할 부대로 독립되어 있는 상태인데, 제 1,3 야전군사령부에는 특공대가 직할로없고 제 2 작전사령부에 특공여단 단위가 존재하며,

국군에는 4군단이 없고 수도군단과 함께 8군단까지 존재하나, 제 7기동군단은 전차만 600대 가진 기갑군단 격이라 마찬가지로 없고, 대신 기갑장비 기동속도에 맞게 강습대대급이 존재하고 있는데, 8군단도 특공대대급이니, 나머지 6개의 군단에는 각 1개씩 연대급 그러니까, 특공대의 대표격인 특공연대가 직할 편제되어 있습니다.
물론, 특전사령부에서 위탁교육도 받고 특공무술도 하고 어느정도 특수전은 수행이 가능한데, 완전 전문화한 수준이 아닐 뿐 입니다.

편제는 준 특수부대답게 특전사와 거의 비슷한데, 차이점은 야전군 부대라 그런지 편제되는 인원이 특수전 보다는 화력과 제한적인 정보작전 인원을 두는 경우가 많고, 지원인원도 좀 더 많다는 것인데, 팀 (소대) 급에 기관총사수 / 유탄수 / 소총수 같은 일반 보병분대 편제인원에 폭파 / 정작 / 정찰 / 의무 / 통신 등 특수전 인원을 넣어서 팀장과 부팀장과 함께 12명 정도로 구성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게 여러개 모여서 지역대 (중대) 단위가 만들어지고, 지역대에는 지역대장과 함께 통신 / 보급 / 행정 장교와 인원을 두고 이게 다시 대대급으로 모이면 일반 야전보병부대와 유사 형태로 편제됩니다. 현재, 2010년대 이후 간부 개편으로 바뀌면서 좀 변한게 있습니다.
글 CCBB 오토앤군사
시시비비랩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