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경기 2002 - 규제완화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03.17 10:05:11
조회 326 추천 0 댓글 2


껍데기는 가라-각종 토지이용 규제의 완화 이러한 다양한 지역개발전략들이 실질적으로 구현되기 위하여는 앞에서 이야기된 토지이용 및 개발에 관한 각종 규제들이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맞추어 완화되거나 해제되어야 한다. 최근 5년간 경기도지역 토지이용 변화의 특징은 도시적 토지이용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토이용계획상 경기도의 용도지역 지정현황을 보면 개발용도로 사용 가능한 도시지역과 준도시지역은 전체 면적의 25.3%를 차지하고 있고, 원천적으로 개발이 불가능하고 보전목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농림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이 42.3%를, 그리고 개발과 보전목적을 동시에 가진 준농림지역이 32.4%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지역의 지정에 더하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은 경기도의 개발가용지 부족문제를 야기하고 있다.최근에 발표된 [제1차 경기발전 5개년계획](1997, 경기도)에서 사용된 권역기준으로 볼 때 서울 인접권의 경우 총면적 중 개발제한구역이 73.4%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북내륙권은 58.4%, 동남내륙권 41.0%, 서북해안권 28.7%, 남부임해권 18.2%를 점하고 있다. 또한 시 군별로 보면 과천시, 의왕시, 시흥시, 하남시는 행정구역의 90% 이상이 개발제한구역이고, 광명시, 안양시, 군포시, 구리시는 전체 면적의 70% 이상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바, 특히 하남시의 경우 98% 이상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정상적인 도시 성장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경기 북부지역은 군사시설보호구역이 과다하게 설정되어 토지이용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주민들은 재산권 행사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경기도는 전체 면적 중 24%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를 경기 북부지역에 한정하여 보면 전체 북부지역 면적 중 절반에 가까운 49% 정도가 군사시설보호구역이다. 특히 연천군과 파주시는 90%를 넘고 의정부시, 고양시, 남양주군 등은 50% 이상이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개발 및 토지이용 규제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이 토지이용 및 개발이 강하게 제한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인구증가에 따른 가용토지에 대한 수요의 증대는 개발이 제한된 지역에 대한 개발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개발압력은 개발제한구역안에 있는 취락수로 잘 표현된다. [제1차 경기발전 5개년계획]에 나타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내 개발제한구역 안 취락수는 714개로, 이 중 남양주와 고양시는 각각 100여 개가 훨씬 넘고 하남시도 82개나 된다. 그러나 취락구조 개선사업이 이루어진 곳은 37개 마을에 불과하고, 665개의 자연부락은 대부분 정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개발제한구역과 관련된 민원 중 80% 이상이 취락지구와 관련된 사항임을 보면 현실적으로 취락지구 문제가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다. 다양화 및 특성화로 표현될 수 있는 지방화 정보화시대의 지역개발은 이러한 획일적 규제를 과감히 타파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양호한 자연환경과 경관을 지닌 곳에 대하여는 적극적 관리개념을 도입, '보전을 위한 방치'가 아니라 '보전을 위한 개발'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경기만 연안지역, 팔당호와 한강 주변 지역에 대해서는 수변토지이용계획 개념을 적용, 각 개발행위에 대한 개별적 관리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시흥, 광명, 의정부, 하남 등 서울 외곽의 공장이전 적지와 서해 연안지역에 위치한 폐염전 등에는 대형 컨벤션센터, 유통단지 등을 건설하거나 교육시설, 문화시설, 체육시설 등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의 건설을 허용함으로써 기개발된 토지에 대한 적극적 이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지이용 규제로 인한 주민의 재산권 침해를 줄이기 위하여 토지선매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이것은 규제지역 내의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매각할 의사가 있을 때 이를 국가나 공공기관에서 우선 매수함으로써 토지소유자에게 재산권 행사기회를 부여하고 또한 규제지역 내의 국공유지를 점차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다. 이를 위한 재원은 공영개발방법 등을 통하여 개발된 토지의 개발이익으로 일부 충당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남한강 및 북한강 상류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이천, 여주, 양평, 가평, 용인 일부 지역에 대하여 이제는 더 이상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해서는 안된다. 현재 하루 800만 톤 정도의 물을 생산하여 그 중 반 가량을 서울에 공급하고 있는 이들 지역에 앞으로도 계속 맑은 물 공급의 책무를 부여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한 합당한 정도의 교차보조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적어도 개발소외감를 느끼는 만큼 수혜자들도 부담을 지는 규제수익자부담제도 등을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한편, 전체 면적의 절반 가량이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지역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경기 북부지역에 대하여는, 불요불급하다고 판단되는 군사시설보호구역은 지정을 해제하도록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이며, 보호구역 내의 행위 제한에 대하여는 행정당국의 재량권을 확대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개발행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경기도의 시대가 오고 있다. 21세기무한경쟁시대라는 국제 축구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하여 한국의 센터 포워드 경기도는 공격의 일선에 서서 공을 몰아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 이제는 경기도의 발목에 채워진 족쇄를 풀어 주어야 한다. 지금과 같은 각종 제도적 행정적 규제가 경기지역의 발목을 잡고 있는 한, 지역 특화개발과 이를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는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총량 규제를 통한 개발의 원천적 봉쇄와 공장설립에 대한 중과세 등 '경기지역의 발전이 국토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억지논리를 그 배경으로 한 각종 규제장치는 하루빨리 해제되어야 한다. 최근 외국의 유수 첨단기업들이 파주에 공장을 설립하려고 애쓰다 포기하고 만 사실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이제는 특정지역의 희생만을 강요할 시기는 지났다. 지역간 선의의 경쟁을 통하여 공동체적 발전을 추구하여야 할 때이다. 나를 위하여 남이 희생되어야 한다면 나는 그 희생에 대한 대가를 분명히 지불하여야 한다. 도토리 키재기식의 '획일적 균형'은 구시대적 사고방식의 소산이다. IMF시대를 살아가기 위하여 그리고 무한경쟁이 요구되는 21세기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하여 이제는 서로간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인정하고, 그 바탕 위에서 상호 협력과 조화를 통한 공동체적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균형발전을 위한 길이라 생각된다. 우리 안에서 아웅다웅하는 식의 지역균형개발의 논리를 벗어던지고,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국제적인 균형논리체계로 발상을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73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중앙정부의 전격적인 지원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07 263 0
71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마침내 손을 들어준 군 [7]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05 542 0
70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공배법 시행령 2차 개정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02 250 0
69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중앙지원반'으로 전방위 지원대책 전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01 166 0
68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2단계 T/F 팀의 구성과 그 운영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30 220 0
67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산업단지 지정을 위한 선행절차들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29 310 0
66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접경지역지원법 개정 저지에 나선 경기도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26 222 0
65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파주공장을 무산시키려는 검은 손길들 [5]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24 841 0
64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투자양해각서 체결 이후 엇갈린 반응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23 230 0
63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행사축소를 희망한 LG. PHILIPS LCD(주)사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22 367 0
62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투자양해각서(MOU)의 체결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9 307 0
61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헬기로 현장 돌아본 최초의 투자가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7 353 0
60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1단계 'T/F 팀'의 구성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6 317 0
58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공업용지 50만 평 확보 및 개발방법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5 203 0
57 파주현장 돌아본 LG. PHILIPS LCD(주) 임원단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2 392 0
56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외국 기업을 한수 이북, 파주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1 212 0
55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100억불 첨단기업 유치를 위한 경기도의 전략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10 284 0
53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공배법 시행령 1차 개정을 둘러싼 공방전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08 226 0
52 25조원 투자유치의 비밀 - 수도권을 묶고 있는 규제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04 386 0
50 경기 2002 - 하나됨,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02 271 0
49 경기 2002 - 21세기+IMF+경기도=?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01 282 0
48 경기 2002 - 재정구조의 개혁을 위하여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8 220 0
47 경기 2002 - 경기도의 재정현황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7 398 0
46 경기 2002 - 작은 것부터 충실히 하는 행정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5 265 0
45 경기 2002 - 환경, 도시계획, 복지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4 225 0
44 경기 2002 - 도민이 주인이 되는 행정을 위해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1 197 0
43 경기 2002 - 실질적인 지방분권화가 필요하다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20 238 0
42 경기 2002 - 중앙과 지방의 역할 분담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9 251 0
41 경기 2002 - 다시 실사구시의 정신으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8 203 0
40 경기 2002 - 모든 자원을 자산으로 만들자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7 278 0
39 경기 2002 - 바람직한 발전을 위하여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3 329 0
38 경기 2002 - 경제규제와 행정규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2 219 0
37 경기 2002 - 지역개발을 위한 수출지원과 인력관리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1 206 0
36 경기 2002 - 지역개발을 위한 토지개발과 기금운용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10 250 0
35 경기 2002 - 21세기형 지역개발기구의 설립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07 479 0
34 경기 2002 - 취업알선을 위한 공공행정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06 261 0
33 경기 2002 - IMF를 넘어서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05 274 0
32 경기 2002 - 여성의 잠재능력을 활용하자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04 294 0
31 경기 2002 - 포근한 경기, 복지경기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03 258 0
30 경기 2002 - 삶과 문화가 만나는 공간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31 214 0
29 경기 2002 - 경기도를 문화관광단지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30 235 0
28 경기 2002 - 교육복지의 실현이 필요하다 [3]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9 256 0
27 경기 2002 - 경기도를 대표하는 대학이 설립되어야 한다 [5]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8 464 0
26 경기 2002 - 사람의 도로, 동식물의 도로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7 233 0
25 경기 2002 - 쾌적한 환경으로 삶의 질을 높이자 [4]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4 303 0
24 경기 2002 - 공공임대 주택의 공급 확대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3 232 0
23 경기 2002 - 주택, 삶의 질을 높이는 거주지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2 227 0
22 경기 2002 - 지능형 교통체계 실현을 위하여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1 291 0
21 경기 2002 - 인간중심형, 지역통합형 교통네트워크 건설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20 237 0
경기 2002 - 규제완화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 손학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17 326 0
123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